반응형

인간은 완전한 존재가 아니다. 얼마든지 실수를 할 수 있는 존재다.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만약 인간이 완전한 존재라면 그 오만함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완벽주의를 경계해야 한다. 그것은 차디차고 비인간적인 금속성이다.
사람은 실수를 통해서 자신의 한계를 깨닫는다.
자신을 되돌아보면서 겸허해지고, 새롭게 배우고, 익힐 수 있다.
- 법정 스님


우리는 완벽한 행복을 꿈꿉니다. 그러나 완벽함을 꿈꾼 결과
열 명 중 여섯 명이 불만과 불행을 느낀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우주의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는 완벽한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완벽은 더 이상 개선될 여지가 없다는 말과 같습니다.
오스카상을 수상한 영국 배우 피터 유스티노프는 “행복이 불완전할 때
나는 특히 더 행복하다. 완전함은 개성이 없기 때문이다”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불완전주의자가 돼라.
완벽주의는 중요한 것을 희생하면서
중요하지 않은 작은 것들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일반적으로 결정을 내릴 때
고려하는 중요한 요인들은 5개에서 10개 정도이다.
이런 요인들을 정말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레이 달리오


적정기술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최고의 기술, 완벽한 기술이 아닌
그 상황에 적합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80에서 100까지 더 올리기 위해선
10배 이상 더 투자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80정도면 충분한 경우, 굳이 100을 만들려고 투자할 필요가 없습니다.
완벽주의가 가져오는 폐해를 잘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지 못해 힘겨워하는 사람들은

사실 신통찮은 아이디어도 별로 떠올리지 못한다.

반면에 좋은 아이디어가 많은 사람들은,

황당하고 터무니없는 아이디어를 그보다 몇 배는 더 많이 갖고 있다.

황당한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내놓다보면

좋은 아이디어도 몇 개쯤은 반짝 나타나는 법이다.

- 세스 고딘

 

헤지펀드 매니저 제임스 알투처는 말합니다.

“아이디어 10개가 떠오르지 않으면 20개를 생각하면 된다.

우리는 스스로에게 완벽한 아이디어를 꺼내라고

심한 압박을 가한다. 완벽주의는 아이디어 근육의 ‘적’이다.”

바보스럽다고 느껴지는 아이디어라도 많이 내다보면

자연스럽게 보석 같은 아이디어도 탄생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