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www.windy.com/?2020-09-06-03,32.741,129.419,6,m:ezRajIn

 

Windy as forecasted

Wind map and weather forecast

www.windy.com

2020-09-03
2020-09-04
2020-09-05
2020-09-06

반응형
반응형


힘이 있을수록 경청의 선물을 나누세요.
만약 당신이 주위 사람들 보다 더 힘 있는 위치에 있다면,
말하는 것 만큼 들으세요.
그리고 만약 당신이 힘이 덜 있다면, 듣는 것만큼 말하세요.
- 글로리아 스타이넘, 여성 운동가


힘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경청하기 힘들고,
힘없는 사람들은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힘 있는 사람들이 경청에 더 힘을 쓰고, 힘없는 사람들이
더 말할 수 있게 된다면 지금 보다 훨씬 더 좋은 조직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이런 조직을 만드는 것은 리더에게 주어진 책임입니다.
경청을 선물로 표현한 것도 크게 다가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예를 들어
한 걸음에 1미터씩 걸어서
30발자국을 간다면 30미터를 갈 수 있다.
이것이 산술급수적 변화다. 그런데 만일 기계의
도움을 얻어 첫걸음에는 1미터, 두 번째 걸음에는
2미터, 세 번째는 4미터, 이렇게 2배씩 30발자국을
간다면 얼마나 걷게 될까? 불과 29번째 발걸음에
달에 도착하게 되고, 30번째 발걸음이면 다시
지구로 돌아오고도 남게 된다. 기하급수적
변화는 인간의 상상을 뛰어넘는다.


- 이광호의《아이에게 동사형 꿈을 꾸게 하라》중에서 -


* 21세기를 사는 우리는
놀라운 기하급수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작은 칩 하나에 우주가 담기고, 인공지능이 인간의 뇌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한 걸음 한 걸음
열심히 걸으면서 일상을 살아가야 합니다.
아무리 기하급수적 변화를 겪어도
밥은 천천히 먹어야 합니다.
잠깐잠깐 쉬어야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을 잃어도 당신이 있음을 압니다  (0) 2020.09.07
향기와 악취  (0) 2020.09.07
사는 게 힘들죠?  (0) 2020.09.02
가볍고 무른 오동나무  (0) 2020.09.01
오래 볼수록 더 반짝이는 별  (0) 2020.08.31
반응형

 

 

국립제주박물관은 국립해양박물관‧제주대학교박물관과 공동으로 특별전 <해양 제주 OCEAN JEJU – 바다에서 바라본 제주바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제주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고, ‘탐라국’이 있었던 아주 오래전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한 번쯤 들어봤던 이름의 사람들, 혹은 이름을 남기지 않은 사람들, 그리고 언제인가 본 듯한 삶의 모습들을 이야기합니다.

<1부-바다를 건너다>는 제주바다를 건너간 사람들, 그리고 바다를 건너온 이방인들의 이야기입니다. 아주 일찍부터 제주사람들은 바다를 건너 육지와 왕래하였습니다. 오랜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어 제주바다에는 일정한 바닷길이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주바다의 독특한 해저지형과 계절풍, 해류, 조류에 따라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지식인들의 기록에 간혹 등장하는 진짜 제주사람들이 들려주는 제주바다 이야기는 육지에서 온 관리에게도, 제주에 사는 선비에게도 낯선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구 반대편에서는 16세기 이후 많은 유럽국가들이 무역과 탐험을 위해 아시아의 바다로 진출하였습니다. 한때 ‘Ilha dos Ladrones(도둑들의 섬)’, I.Fungma(풍마) 등으로 불렸던 제주는 18세기 항해자들에 의한 본격적인 탐사가 이루어지면서 드디어 ‘Quelpart(켈파트)’라는 확실한 이름을 갖게 됩니다. 특히 1653년 제주에 표류한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Hendrik Hamel)의 난파기는 제국의 바다를 꿈꾸던 사람들의 호기심을 더욱 자극하였습니다.

<2부-바다에서 살아가다>는 바로 그 제주바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제주사람들에게 섬은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조건이고, 바다는 살아가는 터전입니다. 바람에 날릴 만큼 얕은 토양, 비가 내려도 금방 말라버리는 하천, 장기瘴氣 가득한 바람과 습기 등 화산섬의 척박한 조건은 바다가 있어 그래도 살 만했습니다. 검은 해류를 따라온 고기를 쫓아 어부는 배를 띄우고, 바람이 멎는 날이면 해녀들은 바다밭으로 나갔습니다.
그러나 바다는 풍요롭지만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주섬은 무사한 항해와 풍어를 바라는 간절한 믿음을 들어줄 신들이 함께했습니다. 육지에서 온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눈 먼 바람과 괴이한 비도 제주사람들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 전시의 주제는 바로 사람입니다. 많은 사진작가들이 제주만의 독특한 삶을 카메라에 담아왔습니다. 허벅에 물을 길어 등에 메고 가는 여인들. 도롱이를 입고 털벌립을 쓴 테우리. 애기구덕에 동생을 재우는 아이. 테왁과 망사리를 들고 바다로 들어가는 해녀들. 사진 속의 제주사람들은 지금 우리의 눈에 낯설지 모르지만, 제주에서는 가장 보통의 존재들입니다.

제주바다가 시작되는 곳, 섬의 가장 끝에는 등대 이전에 도대불이 있었습니다. 해가 저물 무렵 가장 먼저 바다에 나가는 어부가 불을 켜고, 마지막에 포구에 들어온 어부가 불을 껐다고 합니다. 이 전시는 바람에 흔들리는 도대불을 등대 삼아 바다로 나가던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http://jeju.museum.go.kr/_prog/special_exhibit/index.php?site_dvs_cd=kr&menu_dvs_cd=0402&gubun=&GotoPage=&mode=V&mng_no=258

 

상세 > 특별전시 > 전시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은 국립해양박물관‧제주대학교박물관과 공동으로 특별전 <해양 제주 OCEAN JEJU – 바다에서 바라본 제주바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제주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고, ‘탐��

jeju.museum.g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