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s://www.museum.go.kr/MUSEUM/contents/M0701010000.do?schM=view&catCustomType=united&catId=128&arcId=22711

 

Home

국립중앙박물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museum.go.kr

정의 달 5어린이에 관한 정다운 이야기정담情談에 귀기울여보세요!

어린이의 교육·심리·건강·미래 전문가들의 박물관 인터뷰 -

 

우리는 모두 과거에 어린이였거나 현재 어린이입니다어린이에 관한 이야기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가정의 달을 맞아 아주 특별한 어린이에 관한 정다운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어린이의 교육심리건강미래 총 네 분야 전문가가 들려주는

어린이에 관한 전문분야개인적 가족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바라보는 박물관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의견까지 알차게 모았습니다.

 

2005년 용산에서 문을 열고 20주년을 맞이하는 어린이박물관이,

가정의 달 5매주 수요일 저녁 8국립중앙박물관 유투브네이버TV 채널에서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① 5월 07신종호(서울대 교육학과잘 놀면서도 똑똑한 어린이로 키울 수 있나요? (바로가기)


② 5월 14김경일(아주대 심리학과) - 어떻게 하면 어린이와 잘 소통할 수 있나요?

③ 5월 21천근아(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다양한 어린이를 어떻게 공감하며 키울 수 있나요?

④ 5월 28조영태(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저출산 시대에 어린이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하나요?


* 시청방법: 국립중앙박물관 유투브(https://youtu.be/o-KjIc9MqfY), 네이버TV(https://tv.naver.com/museumofkorea) 접속

 

 

 

 
최초 공개일: 2025. 5. 7.
 

명사들이 전하는 어린이에 관한 정다운 이야기!

 

일정 : 2025년 5월 매주 수요일 20시(총 4회) 채널 : 국립중앙박물관 유튜브, 네이버TV 공개 가정의 달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이 특별한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총 4명의 명사들이 어린이의 교육, 심리, 건강, 미래에 대한 전문적인 이야기, 개인과 가족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바라보는 어린이박물관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까지 꾹꾹 눌러 담았습니다. 5월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국립중앙박물관 유튜브와 네이버TV에서 최초 공개될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어린이에 관한 교육 '25.5.7.(수) 20시 신종호 교수(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잘 놀면서도 똑똑한 어린이로 키울 수 있나요?

📍어린이에 관한 심리 '25.5.14.(수) 20시 김경일 교수(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어떻게 하면 어린이와 잘 소통할 수 있나요?

📍어린이에 관한 건강 '25.5.21.(수) 20시 천근아 교수(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 다양한 어린이를 어떻게 공감하며 키울 수 있나요?

📍어린이에 관한 미래 '25.5.28.(수) 20시 조영태(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 저출산 시대에 어린이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하나요?

반응형
반응형

큐레이터와의 대화, 국립중앙박물관 2025년 3월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view/curator/2662976

 

2025년 3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 행사/참여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사정에 따라 큐레이터, 주제, 장소 등이 변경될 수 있음.   ■ 국립중앙박물관 야간개장 “큐레이터와의 대화” 프로그램 운영 ○ 일시: 매주 수요일 18:00~18:30 /

www.museum.go.kr

반응형
반응형

영산靈山의 모임, 진천 영수사 괘불

https://www.museum.go.kr/site/main/exhiSpecialTheme/view/specialGallery?exhiSpThemId=1855915

 

영산靈山의 모임, 진천 영수사 괘불 | 특별 전시

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2024년 괘불전 영산靈山의 모임, 진천 영수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은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여 열아홉 번째 괘불전 <영산의 모임, 진천 영수사 괘

www.museum.go.kr

반응형
반응형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view/curator/1978834

 

2024년 5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 행사/참여

국립중앙박물관,2024년 5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일정표 774회 (5/1) 18:00~18:30 19:00~19:30 선사·고대관 서화관 어린이박물관 선사·고대관 삶과 죽음의 경계, 고구려의 무덤 고구려실(105호) 교육과장 장

www.museum.go.kr

 

2024년 5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반응형
반응형

https://www.museum.go.kr/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국립중앙박물관 : 관람정보 > 전시 해설 > 큐레이터와의 대화 

 

 

 

■ 국립중앙박물관 야간개장 큐레이터와의 대화” 프로그램 운영

○ 일시매주 수요일 18:00~18:30 / 19:00~19:30

※ 공휴일이 수요일인 경우에는 큐레이터와의 대화” 없음.

○ 참여방법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현장에서 참여 가능(정원 제한 없음.)

○ 장소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선사·고대관·근세관기증관서화관조각·공예관,

세계문화관역사의 길특별전시실및 기획전시실과 야외 전시장

○ 관람료상설전시관(무료), 단 특별전시는 관람료 별도

○ 셔틀버스 운영단체 20명 이상(편도), 무료버스예약(02-2077-9042)
○ 기관 사정에 따라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2024 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일정표
763 (2/7)
18:00~18:30 19:00~19:30
·근세관 특별전시실 기획전시실 선사·고대관
유리건판 사진
대한제국실(120)
유물관리부 김영민
특별전 <탕탕평평, 글과 그림의 힘>(9)
특별전시실(121)
미술부 이수경
기획전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 이야기>(4)
기획전시실
전시과 박진일
광개토대왕릉비 원석탁본
고구려실(105)
고고역사부 김태영
764 (2/14)
18:00~18:30 19:00~19:30
기증관 특별전시실 기증관 선사·고대관
새로 단장한 기증관 소개(1)
기증·(208)
세계문화부 이원진
특별전 <탕탕평평, 글과 그림의 힘>(10)
특별전시실(121)
미술부 이수경
손기정 기증
<청동 투구>의 보존
기증(208)
보존과학부 박학수
백제의 건축장식과 기와
백제실(106)
미래전략담당관 정현
765(2/21)
18:00~18:30 19:00~19:30
·근세관 특별전시실 기획전시실 기증관
조선의 인쇄문화
조선(118)
고고역사부 김진실
특별전 <탕탕평평, 글과 그림의 힘>(11)
특별전시실(121)
미술부 이수경
기획전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 이야기>(5)
기획전시실
전시과 류승진
책거리 속 흥미거리
서화(202-2)
유물관리부 윤종균
766(2/28)
18:00~18:30 19:00~19:30
조각·공예관 특별전시실 기증관 역사의 길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
불교조각실(301)
미술부 양수미
특별전 <탕탕평평, 글과 그림의 힘>(12)
특별전시실(121)
보존과학부 박승원
새로 단장한 기증관 소개(2)
기증·(206)
세계문화부 권영우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
역사의 길
디지털박물관과 이태희
반응형
반응형

인간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은 불상 -반가사유상

오늘은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을 생각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주제 가운데 하나인 ‘반가사유상’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려 합니다. 반가사유상이란 불교의 기본적인 수행 자세인 결가부좌(結跏趺坐)에서 한쪽 다리를 내려뜨린 ‘반가부좌(半跏趺坐)’ 자세를 하고, 오른손을 살포시 뺨에 댄 채 ‘깊은 생각에 잠긴[思惟]’ 모습을 한 상을 뜻합니다. 이렇게 존재의 이름이 아닌 자세의 특징으로 반가사유상을 일컫는 까닭은 여전히 반가사유상의 존명(尊名)을 둘러싼 논의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많은 연구자들은 반가사유상이 태자 혹은 미륵보살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둘 다 미래에 부처가 될 존재로서 인간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현재 금동으로 만든 반가사유상은 약 70점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그 가운데 20점 가량이 우리나라에 전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사유의 방’ 에 전시 중인 국보 반가사유상 두 점을 포함하여, 이곳 불교조각실에서도 반가사유상 세 점을 선보이고 있습니다(그림 1, 2). 세 점 모두 지금으로부터 1,400여 년 전인 삼국시대 7세기 무렵의 작품으로 정확한 제작 시기나 제작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오늘 이 시간을 통해서 세 반가사유상이 지나온 1,400년 동안의 사유의 시간에 대해서 같이 생각해 보시면 어떨까요?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list/type1/curator

 

큐레이터와의 대화

국립중앙박물관,큐레이터와의 대화

www.museum.g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