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모른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하지 말라

모른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하지 말라. 무지는 자연스러운 것이고, 창의성은 무지의 상태에서 시작된다. 우리는 자신이 아무것도 모르며 해결책을 찾지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쁘게 인정해야 한다. 해답이 존재한다는 생각조차 함정이고 막다른 골목이다. 바보처럼 보이면 좀 어떤가? 실수하면서 겪는 정서적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라. - 로드 주드킨스, ‘대체 불가능한 존재가 돼라’에서 같은 책 내용 함께 보내드립니다. ‘창의성은 경계하고 조심하는 사람들과는 관련이 없다. 대신에 위험을 무릅쓰는 사람들 편에 존재한다. 가끔씩 우리는 사람들의 반응을 도발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모욕과 무례를 일으킬까봐 두려워할게 아니라, 아무도 듣지 않는 불행한 사태를 의식하고 예방해야 한다.’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부지런함이 천재를 만든다

내가 아는 한 책이든 문학 작품이든 예술 작품이든 어느 것 하나도 창조자의 고뇌 없이 세계적 명성을 얻은 것은 없다. 부지런함이 천재를 만든다. 그러므로 천재가 되려면 반드시 부지런해야 한다. - 해리엇 비처 스토,'톰아저씨의 오두막' 작가 결국 재능은 특별한 무엇이 아니라 평소의 생활에서 발휘하는 ‘지속적인 집중력’의 결과입니다. 지속적으로 집중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 일을 좋아해야 합니다. 자기가 하는 일을 사랑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끝없이 반복함으로써 투입의 양(量)이 질(質)로 바뀌는 순간 천재는 태어납니다.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스스로 선택하게 하면 어려움도 즐거움으로 인식한다

스스로 하고자 하면 뇌는 어려움도 즐거움으로 변경해서 인식한다. 억지로 따라온 산행은 투덜이를 만든다. 조그마한 언덕이 나와도 투덜거린다. 한편 자기비용으로 등반교육이나 도전을 웃으면서 하는 사람이 있다. 암벽을 오르느라 피부가 벗겨져도, 사막에서 발톱이 다 빠져도 그리 아프지 않은 표정을 짓는다. 자신이 선택했기 때문이다. - 김인백, ‘내 삶에 도전장을 던져라’에서 ‘보상은 행동의 의미를 바꿔버리는 유별난 연금술이라 하겠다. 보상이 있기에 흥미진진했던 일이 틀에 박힌 지루한 업무로 변형되고, 놀이는 일이 된다. 보상은 동기를 축소시키면서 성과와 창의성, 심지어 올바른 행동까지 모두 도미노처럼 무너뜨린다.’ 다니엘 핑크의 지적입니다. 스스로 알아서 하게끔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이 웬만한 금전적 보상보다 ..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잘 버릴 줄 아는 것이 경쟁력'

현상은 복잡하다. 법칙은 단순하다. 버릴 게 무엇인지 알아내라. 핵심을 잡으려면 잘 버릴 수 있어야 한다. 핵심에 집중한다는 것은 잘 버린다는 것과 같은 얘기이다. - 리처드 파인만, 물리학자 윈스턴 처칠은 '5분짜리 이야깃거리를 가지고 하루종일 떠들 수는 있지만, 주어진 시간이 5분밖에 없다면 그걸 위해 하루 종일 준비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핵심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은 곧 아깝더라도 대부분의 것을 과감히 버릴 줄 아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BpkvxxANoU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돈 보다는 좋아하는 일을 하라

1,500명 대상으로 부를 축적하는 법에 대해 연구했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나중으로 미루고 우선 돈 버는 직업을 선택한 사람들이 조사 대상의 83%를 차지했다. 나머지 17%는 돈은 나중이고 하고 싶은 일을 최우선으로 하여 직업을 선택한 사람들이었다. 20년 후 1500명 중 101명이 억만장자가 되었다. 그중 1명을 제외한 100명이 하고 싶은 일을 직업으로 선택한 사람들 중에서 나왔다. - 미국, 스롤리 블로트닉 연구소 사람들은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활력이 넘쳐 자신의 능력보다 더 많은 능률과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 놀라운 결과입니다. 공자도 이미 오래전에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보다 못하다고 설파한 적이 있습니다. 돈 보다 좋아 ..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하루에 한 개씩은 나를 불편하게 하는 일에 도전하라

내가 지금 도전하고 싶은,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매일 매일 나를 불편하게 하는 것에 도전할 수 있다면 놀라운 인생을 살게 될 것이다. 불편한 일을 계속 피하고 있으면 그건 정말 불편한 채로만 남아있을 것이다. 편안함을 의도적으로 깨는 행동을 지속해야만 현실이 바뀐다. 나는 최소한 하루에 한 개씩은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일에 도전했다. - 크리스 브로건, 휴먼비지니스 웍스 CEO ‘불편함을 감수하라. 불편한 데 익숙해져야 한다. 불편함은 꿈을 이루며 살아가기 위해 치러야할 작은 비용이다.’ (피터 맥 윌리엄스) 편안함은 죽음을 불러오지만, 불편함은 살아남을 수 있는 긴장감을 가져다줍니다. 우리는 편안함이 불편함과 만나는 외곽에서 성장을 맛보게 됩니다. 성장을 위해서는 불편을 기꺼이 감수해야..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경청은 잊혀져 가는 예술이다

대중에게 다가서는 지름길은 그들에게 혀를 내미는 것이 아니라 귀를 내미는 것이다. 내가 상대방에게 어떤 달콤한 말을 한다 해도, 상대방 입장에서는 자기가 말하고 싶어 하는 얘기의 절반만큼도 흥미롭지가 않은 법이다. - 신문 칼럼리스트, 도로시 딕스 (최염순 '미인대칭비비불'서 인용) 2천년 전 로마 정치가 키케로는 '침묵은 예술이다. 웅변도 예술이다. 그러나 경청은 잊혀져가는 예술이다. 경청을 잘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라고 경청의 중요성과 실천의 어려움을 역설한 바 있습니다. 들음으로써 타인의 마음을 얻는, 이청득심(以聽得心)의 지혜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실천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이청득심(以聽得心)이라는 말이 있다. ‘상대방의 말을 귀 기울여 들으면 그 마음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경청은 귀..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자신감이 낮은 사람이 진정한 대가가 된다

중요한 것을 얻으려 한다면 자기만족은 끔찍한 함정이다. 이 회사에서 우리는 한번도 성공에 만족한 적이 없었고, 처음 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전 세계에 매장이 있는 지금까지도 변함이 없다. 눈먼 긍정주의는 실수다. 반드시 항상 더 나은 것을 원하고, 절대적으로 자신을 비판하는 능력을 잃어서는 안된다. - 아만시오 오르테가, 자라 창업회장 자신을 의심하는 것은 고통스럽습니다. 남의 찬사에 내 몸을 맡기는 것은 행복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악마의 속삭임입니다. “이 정도면 충분하다. 너는 이룰 만큼 이뤘어. 이제부터는 즐기면서 살아.”라는 속삭임에 넘어가서 노력을 멈추게 됩니다. 샤모로 프레뮤직 교수는 “정말로 성공하고 싶다면 완벽주의적 자기비판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게 좋다.”고 지적합니다. 통념과는 달리 자신감..

홍반장水_
'생활의 발견/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