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이 세상이 더없이 변한다고 느끼며
자신이 물결치는 대로 표류하고 있다고 느낀다.
이는 불안을 야기한다. 이 세상이 덧없는 세상이면,
거기서 살아가는 나 또한 아무 의미 없는 존재가
된다. 이 때문에 정말 이 세상이 아무 의미 없는
곳이면 어쩌나 하는 일말의 불안이
잠재해 있는 것이다.
-강기진의 《50에 읽는 주역》 중에서-
* 살다 보면
일말의 불안감이 스멀스멀 밀려오는 때가
있습니다. 덧없는 세상에서 덧없이 소멸되어가는
것은 아닌가 하는 허망함도 느낍니다. 누구든 자신이
의미 없는 존재임을 느낄 때는 뜻 모를 불안감과
두려움에 휩싸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존재 의미는 무엇인가? 나 역시 덧없이
소멸되어 가는가? 이와 같은 질문은
인간을 더 깊은 명상으로 이끕니다.
불안감
- 일말의 불안감 2024.04.25
-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도 그렇게 된다 2023.02.20
- 퇴직 이후의 삶 2022.07.12
- 스트레스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자 2021.05.17
- 이래라저래라 말하고 싶은 순간 2019.09.25
- 더 불안한 것이 오히려 더 좋다 2016.04.29
일말의 불안감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도 그렇게 된다
대단히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조차 인간은 희망을 찾고,
선택을 내리며, 의미를 만들어낼 줄 아는 능력을 타고났다.
스트레스를 더 이상 거부하지 않는다면 스트레스는 연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도 그렇게 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성장의 기회로 생각했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켈리 맥고니걸 교수는 말합니다. “불안감을 흥분되는 일, 에너지 또는 동기부여로
여긴다면 여러분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는데 도움이 된다.
긴장감은 곧이어 저지를 실수의 징조가 아니라,
뛰어난 성과를 낼 준비에 돌입했다는 증거다.
자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요소를 회피한다면
오직 공포심이 커지고 미래의 불안감에 대한 걱정만 불어날 뿐이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Change)는 기회(Chance)다 (0) | 2023.02.23 |
---|---|
리더가 되기 전, 리더가 되고난 후 (0) | 2023.02.21 |
감사가 행복을 불러온다 (0) | 2023.02.17 |
현자(賢者), 부자(富者), 강자(强者) (0) | 2023.02.16 |
인생의 참 맛은 불확실성과 도전 속에 있다 (0) | 2023.02.15 |
퇴직 이후의 삶
퇴직 이후의
삶은 얼마나 자유로운가!
나만의 시간을, 나만의 자유를 마음대로
누릴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우리는 그 자유를
마음껏 누릴 수 있는데도 막연함과 불안감에
사로잡히는 것이다. 왜 그럴까?
막상 퇴직하면 하고 싶던 일과
소일거리조차 생각나지 않아
고민한다.
- 이종욱의《노후맑음》중에서 -
* 장수 시대,
퇴직 이후 삶의 시간이 길어졌습니다.
직업 전선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었지만
그 자유를 지탱할 만한 여건이 되어 있는지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따라서 퇴직 전에 버킷 리스트를
준비해야 합니다.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었던 것,
그것을 준비하고 실행에 옮기기에도 시간이
부족합니다. 건강은 최우선의 조건이고
그 다음은 약간의 경제적 자유입니다.
이 또한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의 수준과 깊이 (0) | 2022.07.14 |
---|---|
'나는 언제부터 책을 읽는 게 재밌었을까?' (0) | 2022.07.13 |
'공보다 사람부터 챙겨라' (0) | 2022.07.11 |
중년의 사색에 대하여 (0) | 2022.07.11 |
개인적인 절망감 (0) | 2022.07.11 |
스트레스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자
스트레스의 주요인인 불안감을 없애는 방법은 간단하다. 행동하면 된다.
불안의 근원인 노르아드레날린은 행동을 위한 에너지, 즉 ‘행동의 휘발유’이며,
우리를 고통에서 구해 줄 에너지가 바로 ‘불안’이다.
이불 안으로 들어가 ‘어떡하지, 어쩌면 좋지’하고 고민할수록 불안은 커질 뿐이다.
불안이라는 에너지를 태워 몸을 움직이자.
불안은 태울수록 줄어들고 마음은 그만큼 편안해진다.
- 가바사와 시온, 정신과 의사
스트레스는 없애는 편이 좋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스트레스가 전혀 없는 것도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잘만 대처하면 오히려 그로 인해 실력이 늘고
더 크게 성장하는 촉진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의학적으로도 적당한 스트레스는
뇌 기능을 활성화하고 집중력을 강화하며 기억력을 높여줍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안한 곳은 위험한 곳이다 (0) | 2021.05.21 |
---|---|
비전 그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다 (0) | 2021.05.18 |
고객불만과 고객충성도의 상관관계 (0) | 2021.05.14 |
남과 비교 따윈 필요 없다 (0) | 2021.05.13 |
정보를 가진 사람은 책임을 회피하지 않는다 (0) | 2021.05.12 |
이래라저래라 말하고 싶은 순간
통제는
내면의 불안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나는 보통 내가 불안함을 느낄 때 타인을
통제하려 든다. 그래서 이제는 다른 사람에게
이래라저래라 말하고 싶은 순간이면
나 자신에게 그 이유를 묻는다.
- 레이첼 켈리의《내 마음의 균형을 찾아가는 연습》중에서 -
* 내가 불안하면
다른 사람도 불안하게 보입니다.
그래서 이래라저래라 간섭하고 통제하려 듭니다.
다른 사람을 통제하려 들기 전에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것이 우선입니다. 자기 불안감을
타인에게 옮기는 것은 금물입니다.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섯 시간 감옥 (0) | 2019.09.27 |
---|---|
세계에서 가장 자극적인 나라 (0) | 2019.09.26 |
목재는 충분히 말려서 써야 한다 (0) | 2019.09.24 |
외로운 떠돌이 (0) | 2019.09.23 |
무엇을 해야 하는가? (0) | 2019.09.23 |
더 불안한 것이 오히려 더 좋다
불안함을 삶의 동력으로 삶는 지혜,
불리한 환경을 유리한 조건으로 바꾸는 것은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다.
불안하면 할수록 동력이 생긴다.
더 불안한 것이 오히려 더 좋다. 더 많이 불안하면
그것을 헤쳐 나가기 위한 더 큰 에너지가 나온다.
- 박범신 작가
연구 조사가 많이 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불확실한 미래의 위협에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더 좋다”고 했고,
앤드류 그로브 인텔 회장 역시 “창조적 힘의 원동력은
불안이다. 그것은 불가능해 보이는 어렵고 힘든 일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고 불안 예찬론에 가세했습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경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 (0) | 2016.05.03 |
---|---|
인간은 타인에게 행복을 안겨주고 싶어 한다 (0) | 2016.05.02 |
목표는 늘 장기적이어야 한다 (0) | 2016.04.28 |
결핍이 곧 삶의 원동력이 된다 (0) | 2016.04.27 |
이 공장은 사람을 만드는 공장입니다 (0) | 2016.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