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매력적인 성품을
100% 계발한 사람은
목소리 톤만으로 분노, 두려움,
호기심, 의심, 용기, 불안, 호의 등
모든 감정을 표현하는 게 가능합니다.
그리고 말하면서 목소리를 조절하는
훈련을 하지요. 다른 사람 앞에서
말하는 것에 능숙해지기 위해서는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 나폴레온 힐의 《놓치고 싶지 않은 나의 꿈 나의 인생 3》 중에서 -


* 목소리만으로도
그 사람의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말의 강약, 고저, 톤에 그의 마음 상태와
감정, 지적 수준까지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목소리 톤만으로 사람들의 호감을 얻는 것은
고도의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훈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삶입니다. 매력적인 목소리는
그 사람의 삶, 그가 걸어온 여정에서
도자기처럼 빚어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풍(逆風)  (0) 2025.03.24
최악  (0) 2025.03.24
어디론가 훌쩍 떠나면  (0) 2025.03.20
악취 대신 향기를  (1) 2025.03.19
과감하게 나갈 수 있도록  (0) 2025.03.18
반응형

가장 많은 학생을 가르치기보다는
가장 많은 스승을 키우는 사람이 진정한 스승이다.
가장 많은 추종자를 거느리기보다는
가장 많은 리더를 키우는 사람이 진정한 리더이다.
- 닐 도널드 월시


저는 늘 리더십의 시작은 인격과 성품을 배양하는 것이고,
리더십의 끝은 더 많은 리더를 만드는 일이라고 주장합니다.
랄프 네이더는 “나는 리더의 역할이
더 많은 추종자(팔로워)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리더를 만드는 데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고 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존경하는 마이드 장군!
이 작전이 성공한다면 그것은 모두 당신의 공로입니다.
그러나 만약 실패한다면 그 책임은 내게 있습니다.
만약 작전에 실패한다면 장군은 링컨 대통령의 명령이었다고 말하십시오.
그리고 이 편지를 모두에게 공개하십시오!
- 아브라함 링컨, 미국 대통령


링컨이 남북전쟁 중 가장 치열했던 게티즈버그 전투 때
마이드 장군에게 공격 명령을 내리면서 보낸 짧은 편지 내용입니다.
책임은 자신이 지고 영광은 부하에게 돌리는 링컨,
올바른 성품과 책임감에서 나오는
'바람직한 영향력(즉, 리더십)'의 표본이라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누구나 언젠가는 공을 떨어뜨릴 때가 있다. 하지만 주변 사람들과 잘 지내고,
사람들이 좋아하고, 또 사람들에게 잘 대하는 사람은
언젠가 실수로 공을 떨어뜨리더라도 주변 사람들이 집어줄 것이다.
함께 달려줄 것이고, 또 그 사람을 위해 터치 다운 해줄 것이다.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경우, 공을 떨어뜨리더라도 그냥 놔둘 것이고,
결국 곤란한 상황에 처할 것이다.
- 개리 맥컬로, 커리어 에듀케이션 CEO


평판이 좋은 사람이 성공하면 사람들은 “내 그럴 줄 알았다”고 합니다.
그 사람이 실패하면 “왜 그랬을까? 곧 좋아질거야”라고 이야기 합니다.
평판이 나쁜 사람이 성공하면 “웬일이야? 오래 가기 힘들거야.”라고 이야기 하고
실패하면 “내 그럴 줄 알았다”고 이야기 합니다.
좋은 평판은 올바른 성품, 그리고 늘 먼저 주는 행위가 쌓여 만들어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너의 마음을 즐겁고 기쁘게 하고자 한다면
네가 함께 어울리는 사람들의 좋은 점들을 떠올려보라.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성품 속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미덕들이 여기저기서 많이 나타나는 것을 생각해 볼 때만큼
즐겁고 기쁜 때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런 것들을 늘 너의 머릿속에 간직해두라.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우리는 보통 타인을 시기와 질투의 대상, 나와 경쟁해야 할 상대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타인은 나와 함께 더불어
더 나은 세상을 건설해 나갈 협력자이자 동반자입니다.
다른 사람의 강점을 찾아내고 이를 진심으로 기뻐할 수 있다면
진정한 인격자요, 세상을 이끌어갈 참된 리더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너의 마음을 즐겁고 기쁘게 하고자 한다면
네가 함께 어울리는 사람들의 좋은 점들을 떠올려보라.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성품 속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미덕들이 여기저기서 많이 나타나는 것을 생각해 볼 때만큼
즐겁고 기쁜 때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런 것들을 늘 너의 머릿속에 간직해두라.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우리는 보통 타인을 시기와 질투의 대상, 나와 경쟁해야 할 상대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타인은 나와 함께 더불어
더 나은 세상을 건설해 나갈 협력자이자 동반자입니다.
다른 사람의 강점을 찾아내고 이를 진심으로 기뻐할 수 있다면
진정한 인격자요, 세상을 이끌어갈 참된 리더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