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중추인
뇌가 복잡하듯, 뇌들의 사회가 만들어내는
현상들 또한 복잡하기 이를 데 없다. '사회학'이라는
하나의 학문으로 탐구하기엔 사회는 너무 복잡하다.
다양한 학문으로 바라보고 탐구해 얻은 '통찰력의 총합'이
아마도 사회의 본질에 좀 더 가까울 텐데, 그러려면
열린 마음으로 학문을 만나고 때로는 융합하고
잡종 되기를 거부해서는 안 된다. 두 학문이
만나는 곳에 '창의적인 눈'이
태어나기 때문이다.


- 정재승의 《정재승의 과학콘서트》 중에서 -


* '통찰력의 총합',
좀 어려운 얘기 같습니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뇌, 사회, 경제, 정치, 종교,
그 모든 것이 결국은 통찰력의 총합의 구조를 띱니다.
어느 것 하나 홀로 있는 것은 없습니다. 성격이 서로 다른
개체와 개체가 만나 수없이 교차되고 융합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것이 재창출되고 진화합니다.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 길만 택한다면  (0) 2025.05.14
나도 모르는 게 많다  (0) 2025.05.13
물은 바다로 흐른다  (0) 2025.05.12
퇴수(退修)라는 단어  (1) 2025.05.09
잠자리에 누웠을 때  (0) 2025.05.08
반응형

다른 변방족들은 서로
자기네들끼리 싸워서 멸망하고 말았다.
피비린내 나는 이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변방 민족은 몸을 망치고 무질서한 생활에 젖어 무위
무능한 도당으로서 목숨을 부지하다가, 마침내는
창조력이 싹트고 있던 새로운 정치 세력에 의해
멸망당하고 말았다. 후계 국가의 출현과 제국의
몰락은 종이 한 장의 앞뒤와도 같은 것으로,
제국의 몰락은 후계 국가의 몰락을 미리
예고하는 움직일 수 없는
전조였던 것이다.


- 아놀드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 중에서 -


* 역사의 흥망성쇠,
그야말로 종이 한 장 차이입니다.
한 시대를 호령하던 제국의 멸망과 몰락도
종이 한 장 차이, '자기네들끼리' 싸우다 그랬습니다.
그것이 역사이고, 역사가 말해주는 교훈입니다.
각 개인의 성공과 실패도 종이 한 장 차이,
반드시 그 전조가 있습니다. 그 전조를
놓치지 않아야 살아남습니다. 새로운
시대의 주역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남는 지식'  (0) 2023.05.04
동행, 함께 가는 것  (0) 2023.05.03
'아, 내가 이걸 놓치고 살았구나'  (0) 2023.05.01
역사  (0) 2023.04.29
우리가 잊고 사는 것들  (0) 2023.04.28
반응형

정치와 미디어의
이다음은 무엇인가.
또 다른 종류의 국가적 위기가
닥쳤을 때 대중의 불안과 혼란을 가중시키는
쪽보다는 좀 더 책임 있는 역할을 해주는
정치와 미디어, 그 행복한 미래로
가는 길은 어느 쪽일까.


- 조선희의《상식의 재구성》중에서 -


* 흔히 국가의 백년대계를
'교육'이라 합니다. 미래 세대의 미래를
책임지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에 우선되는
백년대계는 무엇일까요. '정치'와 '언론'입니다.
우리 모두의 현재는 물론 미래의 행복을
좌우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책임이 막중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마리 개(犬)  (0) 2022.11.11
선택은 당신의 몫  (0) 2022.11.10
지금 당장!  (0) 2022.11.08
아이를 현명하게 키우려면?  (0) 2022.11.07
몸으로 읽는다  (0) 2022.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