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기쁨은
명상 수행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기분 좋은 쾌감이나 즐거움 등을 뜻한다.
호흡에 집중하는 훈련을 해서 호흡을 통해
몸 전체를 느끼게 되고 나아가 몸의 작용을
고요하게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면 '아, 좋다!'
하는 기분이 느껴진다. 이게 기쁨이다.
누구나 느낄 수 있는
그런 '쾌감'이다.


- 김주환의 《내면소통》 중에서 -


* 사람의 기분과 느낌은 다양합니다.
일일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고, 너무도
변화무쌍해 종잡을 수가 없습니다.
그 최상위 느낌이 기쁨입니다. 미소, 웃음, 사랑,
감사... 기쁨의 재료들도 많습니다. 어느 순간
'아, 좋다!' 하는 기분만으로도 사람은 다시
살아납니다. 몸과 마음의 면역력이
높아지고 건강과 행복이
뒤따라 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로  (0) 2024.09.02
'나는 건강해 행복해, 그러니 감사해'  (0) 2024.08.30
왜 책을 읽어야 할까?  (0) 2024.08.28
빛과 어둠  (0) 2024.08.27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0) 2024.08.26
반응형
통쾌(痛快)는 아플 통(痛)과 쾌할 쾌(快)로 구성되어 있다.
아픈 다음 쾌감이 온다는 말이다.
진짜 짜릿함은 큰 고통 뒤에 오는 것이다.
큰 아픔 뒤에 오는 쾌감이 통쾌이다.
- 한근태, ‘재정의 사전’에서

낯선 곳을 회피하고, 도전을 거부하며
익숙하고 편안한 것만을 추구하면 아픔과 좌절,
실패를 겪을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집니다.
그러나 아픔과 좌절을 극복하고 한 단계 성장할 때 얻는
즐거움이야말로 참 즐거움, 진정한 통쾌(痛快)라 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 뇌는 목표지향적이다.
뇌의 사령부격인 전두연합령에서 어떤 목표를 설정하면
신체의 나머지 부분은 거의 맹목적으로 이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도전이 크면 응전도 빨라진다. 몰입도가 올라간다.
결과적으로 머리가 좋아진다.
- 황농문 교수, ‘공부하는 힘’에서

 

황교수는 주장합니다.
‘계속되는 도전이 우리를 끝없이 성장시킨다고,
도전이 없으면 뇌는 발전하기 어렵다고,,,’
설정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우리 뇌는
그 목표에 가까워지면 쾌감이나 즐거움을 준다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