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ython] python, rust 의 관계

 

파이썬(Python)과 러스트(Rust)는 서로 경쟁 관계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가깝습니다. 두 언어는 설계 철학부터 특징까지 매우 다르며, 각각의 강점을 활용해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두 언어의 근본적인 차이점

특징 파이썬(Python) 러스트(Rust)
언어 레벨 고수준 언어 (High-level) 저수준 언어 (Low-level)
컴파일 방식 인터프리터 방식 (실행 시 해석) 컴파일 방식 (실행 전 기계어로 변환)
타입 시스템 동적 타입 (Dynamic) 정적 타입 (Static)
메모리 관리 자동 (가비지 컬렉터) 수동 (소유권 시스템)
주요 강점 생산성, 쉬운 문법, 방대한 라이브러리 성능, 안정성, 메모리 안전성
주요 단점 느린 속도, 높은 메모리 사용량 어려운 학습 곡선, 긴 개발 시간

 

상호 보완적인 관계: 왜 함께 사용하는가?

파이썬은 개발 속도가 빠르고 배우기 쉬워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뼈대를 만드는 데 탁월합니다. 하지만 속도가 중요하거나 복잡한 계산을 처리해야 하는 작업에서는 성능의 한계가 명확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러스트가 파이썬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해 줍니다. 러스트는 뛰어난 성능과 메모리 효율성을 자랑하므로, 파이썬으로 만든 애플리케이션의 '병목 현상(bottleneck)'을 해결하는 데 이상적입니다.

예시: 파이썬으로 웹 서버를 구축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웹 서버의 전체적인 로직은 파이썬으로 빠르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분석이나 복잡한 이미지 처리와 같은 고성능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고성능 작업 부분만을 러스트로 작성합니다. 러스트는 이 작업을 매우 빠르게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파이썬으로 전달해 줍니다. 이렇게 하면 파이썬의 빠른 개발 생산성러스트의 탁월한 실행 속도를 모두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 협업 방식

러스트로 작성된 코드는 '파이썬 모듈' 형태로 컴파일될 수 있습니다. **PyO3**나 **rust-cpython**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러스트의 함수나 클래스를 마치 파이썬 함수처럼 호출할 수 있는 모듈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즉, 러스트는 파이썬의 '성능을 위한 보조 도구' 역할을 하며, 파이썬 생태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러스트 재단에서 개발되고 있는 메모리 안전성과 성능 및 편의성에 중점을 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가비지 컬렉터 없이 메모리 안전성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언어다. C++의 대체재로서 등장했다.

https://youtu.be/5C_HPTJg5ek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