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 5W1H를 활용한 프롬프트 설계 방법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가이드 : https://www.promptingguide.ai/kr
5W1H는 AI에게 명확한 컨텍스트와 목표를 제공하여 원하는 결과를 정확하게 얻기 위한 훌륭한 프레임워크입니다.
5W1H는 누가(Who), 무엇을(What), 언제(When), 어디서(Where), 왜(Why), 어떻게(How) 요소를 채워 프롬프트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모델에게 제공하는 정보와 맥락을 명확히 하여, AI가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5W1H를 활용한 프롬프트 설계 방법 📝
5W1H(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 어떻게) 각 요소에 맞춰 AI에게 정보를 제공하면, AI는 사용자의 의도를 훨씬 더 잘 파악하고 정확한 결과물을 생성합니다.
1. Who (누가) - 역할 지정
AI에게 특정 전문가의 **역할(Persona)**을 부여하여 답변의 관점과 깊이를 정합니다.
- Before: 쿼리 만들어줘
- After: 너는 20년차 MSSQL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야.
2. What (무엇을) - 작업 정의
수행해야 할 **핵심 작업(Task)**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지시합니다.
- Before: 직원 데이터 좀 줘
- After: 2024년도에 입사한 서울 지역 근무자들의 이름, 부서, 입사일을 조회하는 쿼리를 만들어줘.
3. When (언제) - 시점 명시
데이터의 시간적 범위를 지정하여 원하는 기간의 정보만 필터링하도록 합니다.
- Before: 판매 실적 알려줘
- After: 2025년 3분기(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일일 판매 총액을 알려줘.
4. Where (어디서) - 환경/출처 지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환경이나 데이터의 출처(Source)**를 알려줍니다.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명시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 Before: 직원 테이블에서 찾아봐
- After: SalesDB 데이터베이스의 Employees 테이블과 Departments 테이블을 사용해서 찾아봐.
5. Why (왜) - 목적 설명
이 작업을 수행하는 **궁극적인 목적(Purpose)**을 설명하여 AI가 더 나은 해결책을 제안하도록 유도합니다.
- Before: 오래된 주문 찾아줘
- After: 장기 미사용 고객에게 마케팅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최근 1년 동안 구매 기록이 없는 고객 목록을 추출하고 싶어.
6. How (어떻게) - 형식/조건 지정
결과물의 형식(Format)이나 스타일, 따라야 할 특정 조건을 구체적으로 요구합니다.
- Before: 쿼리 짜줘
- After: CTE(Common Table Expression)를 사용해서 쿼리를 작성해 주고, 각 코드 줄마다 한국어로 주석을 상세하게 달아줘. 결과는 Markdown 테이블 형식으로 보여줘.
반응형
'프로그래밍 > AI_Deep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파일럿의 95%가 실패하는 이유 — 그리고 당신이 피하는 법 (every.to) (0) | 2025.09.15 |
---|---|
[AI] 오픈AI '10년 판짜기'의 여정 (0) | 2025.09.08 |
[AI] 커서(Cursor)와 바이브코딩(Vibe Coding) (1) | 2025.07.04 |
[AI] 에인전틱(AgenticAI)와 생성형 AI(Generative AI) (0) | 2025.05.19 |
AI 시대의 기술 위축을 피하는 방법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