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온톨로지(Ontology)

: 사람들이 세상에 대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서로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합의를 이룬 바를 개념적이고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모델.

 개념의 타입이나 사용상의 제약조건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한 기술이다.

 일단 합의된 지식을 나타내므로 어느 개인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룹 구성원이 모두 동의하는 개념.

그리고 프로그램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여러 가지 정형화가 존재


온톨로지는 일반성 수준이 낮은 것에서 높은 순으로 아래의 네 가지 구분이 될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두 가지 다른 형태를 제시할 수 있다. 

  1. 영역 온톨로지(Domain ontology)
    : 전자,의학,기계,디지털 영역과 같이 특정 영역에만 통용되는 지식을 표현한 온톨로지
  2. 메타데이터 온톨로지(Metadata ontology)
    : 온라인 정보의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어희를 제공하는 온톨로지를 지칭한다.
  3. 일반 온톨로지(Generic or common sense ontology)
    : 시간, 공간, 상태, 사건 등과 같은 사물의 기본적 관념과 개념을 제공하는 세상에 대한 일반 지식을 포함하는 온톨로지이며, 결과적으로 이 형태의 온톨로지는 여러 영역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4. 표현 온톨로지(Representational ontology)
    : 영역 온톨로지처럼 특정영역을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무엇을 표현해야 하는지 언급하지 않고 표현개체(representational entities)를 제공하는 온톨로지.

* 추가적인 두가지 온톨로지는 방법 온톨로지(Method)와 과업 온톨로지(Task)다.

   전자는 특정 문제해결 방법(Problem Solving Method)에 제한된 용어(terms)를 제공하고,

   후자는 특정과업에 제한되는 용어를 제공한다.


시맨틱 웹(Semantic Web)

: 현재의 인터넷과 같은 분산환경에서 리소스(웹 문서, 각종 화일,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와 자원 사이의 관계-의미 정보(Semanteme)를 기계(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온톨로지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자동화된 기계(컴퓨터)가 처리하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자 기술이다.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가 1998년 제안했고 현재 W3C에 의해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시맨틱 웹의 목표

: 지금과 같이 사람만이 웹에 산재한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아닌, 자동화된 기계가 해석할 수 있는 일종의 표준 의미정보 교환의 수단 이 되는 것이 시맨틱 웹의 목적이다. 시맨틱 웹의 이상향은, 인터넷에 방대한 양의 온톨로지가 산재하고, 이를 자동으로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는 에이전트 소프트웨어에 사람 또는 에이전트가 질의를 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분산된 온톨로지를 탐색하고 추론하여 원하는 결과를 돌려주는 것이다.


http://www.foaf-project.org/


FOAF is about your place in the Web, and the Web's place in our world. FOAF is a simple technology that makes it easier to share and use information about people and their activities (eg. photos, calendars, weblogs), to transfer information between Web sites, and to automatically extend, merge and re-use it online.

The Friend of a Friend (FOAF) project is creating a Web of machine-readable pages describing people, the links between them and the things they create and do.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