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삶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그중 하나는 넓고 평탄한 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택하는 이 길을 걸어가면 어디에도 도달하지 못한다.
넓고 평탄한 길은 사람들에게 이렇게 약속한다.
“이 길은 무난해! 걷는데 별 문제가 없을 거야.”
하지만 이는 뻔뻔스러운 거짓말이다. 문제가 없으면 사람들은 약해지기 때문이다.
- 보도 새퍼, ‘멘탈의 연금술’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좁고 험한 길 대신에 평탄한 길만 찾으려고 합니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처럼 평탄한 길은 사람을 약하게 만듭니다.
평탄한 길만 걸으려고 하는 사람은 자꾸 문제를 피하려고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더욱 가난해지고, 더 자주 불행해집니다.
성공으로 가는 길은 좁고 험한 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업은 사람이다.
기업(企業)은 문자 그대로 업(業)을 기획(企劃)하는 것이다.
그런데 세상의 많은 사람들은 사람이 기업을 경영한다는
이 소박한 원리를 잊고 있는 것 같다.
나는 내 일생을 통해서
약 80%는 인재를 모으고 기르고 육성시키는 데 시간을 보냈다.
- 삼성 이병철 회장, 1980년 7월 3일 전경련 강연에서


잭 웰치 회장도 자신의 시간 중
75%를 사람 관련된 일에 투자했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삼성과 GE의 성공은
바로 이와 같은 인재제일경영의 자연스런 결과라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인 최고경영자의 시간과 관심을
역시 가장 중요한 자원인 인재에 집중 투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제대로 실행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 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애플의 목표는 돈을 버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목표는
위대한 제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해 시장에 출시하는 것입니다.
좋은 제품을 시장에 내놓으면 사람들이 그 제품을 좋아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그 제품을 좋아하면 우리는 돈을 벌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선적 목표가 무엇인지 아주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 스티브 잡스


‘세상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한 우리의 노력을 시장과 고객이 알아봐서
우리를 선택한 것’이 바로 매출이고,
‘더 좋은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원천 자본’이 되는 것이 바로 이익입니다.
회사는 분명 매출과 이익 없이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매출과 이익에 집착하는 대신,
세상과 고객을 위해 더 좋은 가치를 창출하는데 집중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 바로 매출과 이익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위기는 산불과 흡사하다. 산불 자체는 위험하다.
하지만 오래된 나무를 일거에 없애고
새로운 숲이 조성되는 놀라운 기회를 제공한다.
누구나 산불을 좋아하지도, 일어나는 것을 바라지도 않는다.
그래도 산불은 세상을 위해 숲을 재생한다.
- 짐 로저스


물론 산불은 미리 방지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러나 최악의 산불이라 하더라도
분명코 그 안에 긍정적 요소가 숨겨져 있습니다.
인생은 새옹지마라 했습니다.
위기(危機)는 위협뿐만 아니라, 더불어 함께 오는 기회까지 포함한 말입니다.
전화위복(轉禍爲福)이 불가능한 위기는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자기 스스로 일에 높은 동기를 부여하지 않은 사람이
관리자로 성공한 경우를 결코 보지 못했다.
사람에게 최고의 동기를 부여하는 사람은
대부분 자신들의 업무에 최선을 다해 몰두하여 열심히 일한 사람들이다.
- 밴 플리트, '22가지 관리함정'에서


상대방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비전 제시, 성장에 도움 주기,
좋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기, 칭찬과 높은 기대, 가치있는 업무 등이
급여와 근로조건 보다 더 중요한 동기부여 요인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최후의 동기부여 요인, 그리고 가장 효과가 높은 것 중 하나는
바로 리더가 몸으로 실천하는 솔선수범입니다.
구성원에게 요구하기 전에 먼저 실행해 보십시오.
분명 놀랄만한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경제학자 케인즈는 “왜 의견을 자주 바꾸느냐?”는 지적에
“사실이 달라지면 생각을 바꾼다.
(when the fact change, I change my mind. what do you do, sir?)”
라고 반문했다. 우리는 어떤가?
- 신문 칼럼에서 발췌


일관성도 중요하지만 생각을 바꿔야 할 땐 과감히 바꿀 줄 알아야 합니다.
환경이 바뀌고, 사실 관계도 바뀌었는데,
과거 주장만 되풀이하면서 고집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생각을 바꾸는 대신,
그 배경을 정확히 설명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사과를 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오히려 더 큰 신뢰를 얻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