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즐기면서 일하는 사람들을 동경한다.
만일 당신이 현재 하는 일로 즐거움을 느낄 수 없다면
나는 다른 일을 찾아보라고 권하고 싶다.
스코틀랜드의 속담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살아 있는 동안 행복하라. 죽어 있는 시간이 길 것이니.’
- 데이비드 오길비


열정 없이 이루어진 위대한 업적은 없습니다.
그리고 이 세상에는 ‘약간의 열정’ 은 없습니다.
대신, 열정적이거나 열정적이지 않거나 둘 중 하나밖에 없는 것입니다.
열정은 많은 경우 일을 즐기는 데서 생겨납니다.
일찍이 막심 고리키가 말한대로
‘일이 즐거우면 세상은 낙원이요. 일이 괴로우면 세상은 지옥’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언제나 지나친 낙관론과 자만심에 사로잡힌 리더는 위험합니다.
우리에게는 적당히 겸손하고 자신의 실수를 솔직히 인정하고,
모든 문제의 해답을 알고 있다고 큰 소리 치지 않는 리더,
그리고 조직과 개인의 장단점을 인정하고,
늘 장밋빛 렌즈를 통해 사물을 바라보지 않는 리더가 필요합니다.
- 존 로저스 주니어, 아리엘인베스트먼트 창업 회장


리더에게는 자신감과 낙관주의가 절대 필요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론 목표 달성이 쉽지 않고, 늘 다양한 리스크가 동반된다는 점,
실패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을 동시에 인정하는 겸손함이 필수적입니다.
한 손에는 자신감, 한 손에는 불안과 걱정...
리더는 늘 양손잡이 경영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물살을 거슬러 헤엄쳐가라. 다른 길로 가라는 것이다.
사회적 통념은 무시하라.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방법으로 일하고 있다면
정반대 방향으로 가야 틈새를 찾아낼 기회가 생긴다.
수많은 사람들이 당신에게 길을 잘못 들었다며 말릴 것에 대비하라.
살아오면서 내가 가장 많이 들은 것은 “인구 5만명이 되지 않는 지역에선
할인점이 오래 버티지 못한다”라고 말리는 말이었다.
- 샘 월튼, 월마트 창업 회장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우리네 옛말이 있습니다.
반면 유태인들은 (어렸을 때부터) 탈무드에서
‘남과 다르게 하라’라고 가르칩니다.
진정한 강자라면 대중적 지지를 받는 것은 스스로 경계하는 대신,
많은 반대에 부딪치는 일은 오히려 자신감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열매를 준비하는 나무는
꽃을 남김없이 다 떨어뜨린다
현상은 복잡하다. 법칙은 단순하다. 버릴 게 무엇인지 알아내라.
핵심을 잡으려면 잘 버릴 수 있어야 한다.
핵심에 집중한다는 것은 잘 버린다는 것과 같은 얘기이다.
- 리차드 파인만


열매를 준비하는 나무는 꽃을 남김없이 다 떨어뜨립니다.
꽃을 아까워하다가는 열매 맺을 시기를 놓치기 때문입니다.
물은 강을 버려야 바다로 나아가듯, 나무도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큰 것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버릴 줄 알아야 합니다.
버려야 더 새롭게 더 많이 채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들만이 매장에서의 실상을 제대로 알고 있다.
최고 아이디어는 평사원으로부터 나온다.
조직 하부에 까지 책임감을 부여하라.
그리고 그 안에서 아이디어가 솟아나도록 하라.
당신은 동료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들어야만’ 한다.
- 샘 월튼, 월마트 창업 회장


경영자가 10번을 얘기해야 직원들이 비로소 이해하기 시작하듯이
직원이 10번은 얘기해야 경영자도 비로소 관심을 기울이게 됩니다.
경영자는 많은 정보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직원들은 경영자에게 좋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매우 꺼려합니다.
경영자는 직원들의 자그마한 소리를 온전히 듣는 자세로 경청해줘야 합니다.
말을 안하기 시작하는 조직은 죽어가는 조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성공한 기업들이 고배를 마시는 것은
리더들이 게으르거나 멍청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지금까지 하던 방식대로
너무 열심히 하는 데서 비롯된다.
- 도널드 설, 교수


피터 드러커 교수는 ‘성공의 법칙은 반드시 배반한다’고 말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과거의 성공은 과거 특정 시기에 특정한 조건이 맞아 떨어졌기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모든 것이 변화했는데 성공법칙만 그대로 일리는 없습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변화는 삶의 법칙이다.
과거와 현재만을 고집하는 사람은 틀림없이 미래를 놓치고 말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