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많은 기업에서 팀워크와 협력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토론을 꺼린다.
그러나 이는 토론의 본질을 오해한 것이다.
토론은 일종의 갈등이며, 갈등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면
토론과 그에 따른 갈등은 매우 생산적일뿐만 아니라,
탐구와 학습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다.
- 게리 피사노, ‘혁신의 정석’에서


우리는 갈등이 두려워 토론을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루한 토론이 매우 비생산적으로 느껴질 때도 많습니다.
그러나 건설적 충돌과 생산적 갈등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먼저 상대방을 신뢰하고 존중하고(신뢰), 치열하게 토론하며(충돌),
그 결과에 대해서는 나와 의견이 다르더라도 실행을 위해 헌신하는
신충헌 토론 문화가 필요합니다.


신충헌이란, 신뢰/충돌/헌신을 줄여 쓴 표현이다.

‘서로 신뢰하는 관계 속에서 각자의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해 마음껏 충돌하되, 결정된 사항은 충실히 따르고 헌신한다’는 의미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1/article_no/8549

 

[DBR] ‘공유와 신충헌’ 몰입도 높은 수평조직 만들다!

Article at a Glance지인에게 자신이 다니는, 혹은 다녔던 회사를 추천하는 비율인 ‘지인 이직 추천율’이 90%에 달하는 카카오는 ‘수평적이고 논쟁적인, 그러나 몰입이 이뤄지는 조직문화’로 최

dbr.donga.com

 

반응형
반응형


올바른 결정은 반대되는 의견이나 다른 관점의 충돌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의견의 일치가 아니라 불일치이고,
모두의 의견이 일치한 경우라면 결정해서는 안 된다.
성과를 올리는 사람은
의도적으로 의견의 불일치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 피터 드러커


유대인들 역시 "만장일치, 전원찬성이 된 안건은
실행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칩니다.
의견 불일치가 있으면 충분히 시간을 갖고 다각적으로 검토하게 되어
참가자들의 이해도 깊어지고,
그만큼 잘못된 결정을 내리게 될 위험이 줄어듭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외로운 사람이라면 나보다 더 외로운 사람을 생각하게 해주소서.
내가 추운 사람이라면 나보다 더 추운 사람을 생각하게 해주소서.
내가 가난한 사람이라면 나보다 더 가난한 사람을 생각하게 해주소서.
- 나태주 시인의 기도문


행복을 가장 빠르게 키우는 방법은 ‘행복해지고 싶다면 선한 일을 하라’는
격언처럼 긍정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나는 내 주변의 세상에 행복은 더 많이, 불행은 덜 일으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조그마한 실천이 모여 세상을 바꿉니다.
우리가 하루에 한 번씩 자발적으로 친절한 행동을 한다면
세상은 더욱 살기 좋은 곳으로 바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


마음에 따라 사람의 모든 기관은 좌우되고 있다.
마음은 보고, 걷고, 굳고, 부드러워지고,
기뻐하고, 슬퍼하고, 화내고, 두려워하고, 거만해지고,
사랑하고, 미워하고, 부러워지고, 사색하고, 질투하고, 반성한다.
그러므로 세상에서 가장 강한 인간은
자기의 마음을 통제할 수 있는 인간이다.
- '탈무드'에서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가질 수 있습니다.
무엇을 하거나 무엇이 되거나 무엇을 갖는가는
모두 우리 생각에 달려있습니다. (로버트 쿨리에)

반응형
반응형

비전은 갑자기 떠오르지 않는다.
평소에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머리가 터지라고 생각해야 겨우 떠오른다.
2-3일 정도 생각했더니 번쩍하고 떠오를 만큼 간단한 것이 아니다.
한시라도 생각을 멈추지 말라.
적어도 나는 항상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그런 집념, 신념이 없으면 리더가 될 수 없다.
-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이병철 삼성 창업회장은 “아침, 저녁에도 그 생각하고,
자고 일어나도 그 생각, 무언가 부족한 것이 없나?
있으면 보강하고 물어보고 했다.
그야말로 1초도 쉬지 않고 생각의 끈을 놓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해답이 명확하게 보일 때까지 생각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이 성공의 비결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개척자들의 공통점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버릴 줄 안다는 것이다.
개척자들은 전략의 본질이 버리는 것에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모든 것을 잘 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하다.
그리고 전략적으로 무엇을 선택한다는 것은 곧 버리는 것과 같은 의미다.
- ‘대한민국 Only 1 신시장의 개척자들’에서


공평하게 자원을 배분하면 조직 내 반발을 줄일 수 있고
각 분야에서 그저 그런 성과는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분야를 잘하겠다는 것은
아무것도 제대로 하지 않겠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며,
이는 곧 망할 확률을 높이는 것과 같습니다.
전략의 본질은 '모든 분야를 잘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분야를 버리는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