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김어준의 뉴스공장〉 vs 〈매불쇼〉 비교

두 프로그램은 시사와 예능을 결합한 인기 있는 팟캐스트·유튜브 방송이지만, 스타일과 진행 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2. 주요 특징 비교

① 진행 스타일

  • 김어준의 뉴스공장
    • 김어준의 독특한 화법과 날카로운 질문으로 정치·사회 이슈를 깊이 있게 분석.
    • 진보 성향이 강하며, 정권 비판과 풍자가 주요 특징.
    • 전문가·정치인 출연이 많고, 특정 이슈를 깊게 파고듦.
  • 매불쇼
    • 정영진의 냉소적 시각 + 최욱의 재치 있는 진행이 조화됨.
    • 진보·보수 모두 출연하며, 유머를 기반으로 한 토크쇼 스타일.
    • 정치뿐만 아니라 연예, 스포츠, 역사, 문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룸.

② 정치 성향

  • 뉴스공장은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이 강함.
  • 매불쇼는 중립적이지만, 진행자마다 의견 차이가 있고 다양한 패널을 초대해 균형을 맞추려 함.

③ 청취층과 분위기

  • 뉴스공장: 정치·사회 이슈에 관심이 많고, 깊이 있는 분석을 원하는 청취자가 많음.
  • 매불쇼: 가볍게 웃으면서 시사를 접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음.

3. 어떤 방송이 더 적합할까?

  • 정치·사회 이슈를 깊이 파고들고 싶다면 → 〈뉴스공장〉
  • 유머와 함께 가볍게 시사를 즐기고 싶다면 → 〈매불쇼〉

두 방송은 스타일이 다르지만, 시사와 예능을 결합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좋을 것 같네요! 😊

반응형
반응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0일 “동남권 발전의 발판이 될 북극항로에 긴 안목으로 관심을 가지고 준비할 때”, “남북을 관통한 대륙철도 연결, 그 출발지의 꿈을 잊지 맙시다”라며 부산을 겨냥한 ‘동진 정책’을 천명했다. 부산은 북극항로의 중심도시이자, 문재인 정부 당시 추진됐던 남북 대륙연결 철도의 출발점이다. 이 대표가 조기대선을 앞두고 우클릭 행보와 함께 부산 울산 경남을 향한 구애에 돌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12·3 계엄을 ‘경천동지할 대통령의 친위군사쿠데타’로 규정하고, “국민과 국회에 의해 주동세력은 제압됐지만 내란잔당의 폭동과 저항이 70여 일 계속되며 대한민국의 모든 성취가 일거에 물거품이 될 처지”라고 지적한 뒤 인공지능(AI)부터 제조업 부활 등 각 분야별 경제 성장 전략을 일일이 나열하면서 북극항로 등 PK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남북 대륙철도 연결의 중심인 부산의 성장 가능성을 언급하며 “북미회담이 진척되면 남북 간 강대강 대치도 대화와 협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세계에서 부울경으로 모인 화물이 대륙철도와 북극항로를 통해 유럽으로 전 세계로 퍼져 나갈 미래비전을 가지고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 사천~창원~부산~울산~경북 포항을 해운 철도 항공의 트라이포트와 그 배후단지로 성장시킬 것도 제안했다.

이날 대표연설은 대선공약 발표를 방불케 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대표가 북극항로, 남북 대륙철도 등 핵심 어젠다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은 지난달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한 것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들 사안은 모두 문재인 정부 당시 북미대화와 함께 남북 화해모드가 무르익을 때 탄력을 받았기 때문이다. 지난달 경남 양산 평산마을에서 이 대표를 만난 문재인 전 대통령은 부울경에 각별한 관심을 당부했고, 이 대표는 “북극항로 개척 등을 통한 비전을 만들겠다”고 답했다. 문 전 대통령과의 밀착 행보는 당내 일극체제 비판을 극복하는 데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key=20250211.22001002682

 

이재명 “북극항로 준비할 때” 동남권 성장 동력 전격 제시

- “조기대선 염두, 부울경에 구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0일 “동남권 발전의 발판이 될 북극항로에 긴 안목으로 관심을 가지고 준비할 때”, “남북..

www.kookje.co.kr

 

반응형
반응형

[#법륜스님의즉문즉설] 2025년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법륜스님의 잘 살아가는 법 현실 조언🌅https://www.youtube.com/watch?v=9SzicpYu6CE

반응형
반응형

가족을 이어주는 제사의 자리에서. 里仁爲美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https://brunch.co.kr/@anhyunjin/562

 

가족을 이어 주는 제사의 자리에서

《논어》, 공자_제4편 리인(里仁) 1.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의 풍속이 인하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인한 마을을 잘 골라서 거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논어》,

brunch.co.kr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의 풍속이 인하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인한 마을을 잘 골라서 거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논어》, 공자_제4편 리인(里仁) 1.

 

 

子曰 :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공자가 말했다. "인이라는 마을에 살게 되면 아름답게 된다. 인에 살지 않기를 택한다면 어찌 지혜를 얻겠는가?"


공자는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핵심을 인仁으로 보았지요. 인하지 않고는 군자가 될 수 없다고 보았으니 인과 거리가 먼 사람이 진리를 추구하고 그 과정의 끝에서 지혜를 깨닫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언득지'라고 공자가 말한 까닭입니다.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090112/8682737/1

 

[한자 이야기]里仁爲美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논어’ 里仁(이인)편의 첫 章(장)이다. 첫 구절 里仁爲美(이인위미)는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근대 이전의 사상

www.donga.com

 

‘논어’ 里仁(이인)편의 첫 章(장)이다. 첫 구절 里仁爲美(이인위미)는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근대 이전의 사상계에 영향력이 있었던 朱子(주자) 즉 朱熹(주희)는 里(리)를 마을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이 구절은 “마을은 어진 곳이 좋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그보다 앞서 孟子(맹자)는 里를 처한다는 뜻의 동사로 보았다. 다산 정약용은 이 설에 따랐다. 그렇다면 이 구절은 “인에 처하는 것이 훌륭하다”로 풀이되고 “인을 행동의 근거로 삼는다”는 뜻이 된다. 爲(위)는 쓰임이 복잡한 글자이다. 여기서는 ‘∼이다’라는 繫辭(계사)로 쓰였다.

擇(택)은 選擇(선택)한다는 뜻이다. 인에 맞는 행동을 할까 말까 고르는 일을 말한다. 處(처)는 처한다는 뜻이니 處仁이란 ‘인의 입장에 있음’을 말한다. 焉(언)은 글 끝에서 종결의 기능을 하지만 글 처음에 오면 의문의 기능을 한다. 焉得(언득)은 ‘어찌 ∼일 수 있을까?’라는 뜻으로, ‘∼일 수 없다’는 뜻의 反語(반어)이다. 知(지)는 智(지)와 통용되며, 知慧(지혜)를 말한다.

조선 후기의 李重煥(이중환)은 擇里志(택리지)를 엮으면서 제목을 여기서 따왔다. 이 책은 조선의 인문지리서로서 가치가 있지만 里仁을 “마을은 어진 곳이 좋다”로 보아 지역차별의 결과를 가져왔다. 孟子가 “仁은 사람의 安宅(안택)이다”라고 정의해서 “인에 처하는 것이 훌륭하다”로 본 것이 더 좋다.

공자는 이미 “군자가 산다면 어찌 누추함이 있겠는가?”라고 했다. 정약용도 “만일 어진 사람들이 사는 마을을 골라서 산다면 이것은 자신을 꾸짖기에 앞서 남을 먼저 꾸짖음이 되므로 가르침일 수가 없다”고 했다. 이 장을 오해해서 지역차별을 합리화한다면 공자에게 미안한 일이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반응형
반응형

삼성페이, 등록된 카드 삭제 방법

 

1단계) 삼성월렛 실행 후 전체 > 결제 카드를 선택하세요.

2단계) 삭제할 카드 선택 > 더보기 > 카드 삭제 > 삭제를 선택하세요.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37517

반응형
반응형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20_0003038003

 

을사년 설 연휴 6일간 궁·능 무료 개방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설 연휴기간 궁궐과 왕릉을 무료 개방한다. 설 연휴기간 4대궁, 종묘, 조선왕릉 등 22개소가 휴무일 없이 무료개

www.newsis.com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설 연휴기간 궁궐과 왕릉을 무료 개방한다.

설 연휴기간 4대궁, 종묘, 조선왕릉 등 22개소가 휴무일 없이 무료개방된다. 평소 예약제로 운영되는 종묘도 같은 기간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다만, 이번 무료개방 기간 다음날인 오는 31일은 4대궁, 종묘, 조선왕릉 모두 문을 닫는다.

[서울=뉴시스] 을사년 세화전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1.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궁능유적본부는 국가유산진흥원과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경복궁 흥례문 광장에서 '2025년 을사년 설맞이 세화 나눔' 행사를 개최한다.

세화는 질병이나 재난 등 불행을 예방하고 한 해 동안 행운이 깃들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긴 그림이다. 조선시대 새해를 맞아 왕이 신하들에게 그림을 하사하던 것이 유래되어 점차 민간 풍습으로 자리 잡았다.



올해 세화는, 특유의 색감과 기법으로 그린 고양이 민화로 많은 사랑을 받는 손유영 작가와 협업한다. '푸른 뱀이 그려진 깃발을 잡고 위풍당당하게 선 수문장과 고양이들'이란 주제로 제작됐다.

이 행사에는 수문장과 수문군들의 근무 교대를 재현하는 '수문장 교대의식' 종료 후 하루 2회 세화 6000부를 회당 1000부씩 선착순으로 배포한다.

세화는 국가유산진흥원 웹사이트와 행사 현장에 비치된 QR코드를 통해서 디지털 그림으로도 내려받을 수 있다.

오는 27일 카카오톡 검색창에서 ‘국가유산진흥원’을 검색해 채널을 추가하면 '수문장 교대의식 캐릭터' 무료 이모티콘 2만 5000개도 선착순으로 받을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