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안 좋은 상황에 직면했을 때야 말로 실은 감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그러한 가혹한 환경과 힘든 상황이 조직력을 다지고
직원들의 성공에 대한 의지를 되새겨주기 때문이다.
그러니 한탄하고 원망하며 넋두리를 내뱉는 대신에
오히려 “고맙습니다.” 하고 말해보자.
직원들도 덩달아 모든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감사한 마음과 산뜻한 기분으로 앞을 향해 걸어 나갈 것이다.
- 이나모리 가즈오, ‘왜 리더인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재난을 만났을 때는 기뻐하라. 그거 참 잘된 일이군요.
재난이 닥쳐올 때는 과거의 업이 사라지는 때이다.
‘이 정도의 곤란으로 과거의 업이 없어졌으니 참으로 다행이야’라고
여기며 감사한 마음으로 새롭게 내딛으면 된다.
이는 인생이라는 만만치 않은 여정을 지혜롭게 살아낼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지혜다.”

반응형
반응형

경험에는 항상
타인과 온전히 공유할 수 없는
개인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게 마련이다.
고통도 타인과 나눌 수 없는 것이다. 고통이
어느 지경까지 가면 고통을 겪는 이의 세계와
언어를 파괴한다. 고통은 말을 박살 낸다.
어느 정도 아프면 무엇 때문에 아프다는
말을 할 수 있지만 고통이 너무 압도적일
때에는 그렇게 말하는 능력조차
잃게 된다.


- 라르스 스벤젠의《외로움의 철학》중에서 -


* 극한의 고통에서 나오는 것은
언어가 아닙니다. 비명입니다. 울부짖음입니다.
아무도 대신할 수 없고 누구와도 나눌 수 없습니다.
오로지 혼자만의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일 뿐입니다.
그러나 그때에도 곁에 누가 있느냐에 따라 고통의
질감은 달라집니다. 자기 고통처럼 같이 아파하고
눈물짓고 어루만지면, 그런 사람 하나 있으면
그 어떤 극한의 고통도 견딜 수 있습니다.
비명이 감사의 언어로 바뀝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가 리더되는 조직 만들기  (0) 2021.03.03
논쟁이냐, 침묵이냐  (0) 2021.02.26
오늘 일은 오늘에 족하다  (0) 2021.02.24
'정말 힘드셨지요?'  (0) 2021.02.23
이타적 동기와 목표  (0) 2021.02.22
반응형

자기가 선택한 인생을 마치 남이 선택해준 것처럼 불평하면
스스로도 불행하고 옆 사람도 지칩니다.
감사하며 살 때 행복이 왔어요.
우리가 당연히 누리는 것들에 새롭게 감사하고, 새롭게 감탄하는,
그래서 당연하지 않은 듯 사는 것이 행복이에요.
- 이해인 수녀, ‘이해인의 말’에서


감사하려고 마음먹으면 세상에 감사할 것 천지입니다.
불평하려고 마음먹으면 세상은 불평거리로 넘쳐납니다.
감사도 불평도, 행복도 불행도 모두 다 내가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은 인생에 불행이 닥치거나
어떠한 방해물을 만날지라도 내적인 기쁨을 잃지 않는다.
비록 자신의 계획이 무산되는 일이 생기더라도
감사하는 마음이 있다면 어딘가에 열려있을 새로운 문을 찾을 수 있다.
보다 넓고 환한 길로 연결된 문을
- 안셀름 그륀


감사는 걱정, 불안, 두려움에 대한 해독제가 될 수 있습니다.
감사야말로 시련을 견디는 힘이자,
내 안에 행운의 씨앗을 심는 일입니다.
어려운 상황에 닥칠수록 감사할 일을 찾아 나서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에 감사하면 행복감을 느끼고, 생산성도 높아진다
감사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목표 달성을 잘한다.
의식적으로 감사연습을 하는 사람들에겐 목표의식과 성취욕이 생긴다.
감사하는 사람들은 소극적으로 가만히 있지 않고 의욕을 느껴 행동을 취한다.
감사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각자의 목표 달성에서
20% 정도 더 진전을 보이며 더 열심히 노력한다.
- 로버트 에몬스 박사


감사하면 현실에 안주하여 게을러지고 운명을 개척하기 위한
동기부여가 안된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에 감사하면 행복감을 더 느끼고 생산성도 더 높아집니다.
지금 하는 일에 감사하면 미래에 더 비상할 수 있습니다.
자기 일에 감사해야 하는 이유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보다 사실 더 많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첫 번째 산이
자아(ego)를 세우고
자기(self)를 규정하는 것이라면
두 번째 산은 자아를 버리고 자기를 내려 놓는 것이다.
첫 번째 산이 무언가를 획득하는 것이라면
두 번째 산은 무언가를 남에게 주는 것이다.
첫 번째 산이 계층 상승의 엘리트적인 것이라면
두 번째 산은 무언가 부족한 사람들 사이에
자기 자신을 단단히 뿌리내리고
그들과 손잡고 나란히 걷는
평등주의적인 것이다.


- 데이비드 브룩스의《두 번째 산》중에서 -


* 보통 인생을
산에 오르는 것에 비유하곤 합니다.
우리의 삶에는 올라야 할 여러 개의 산이 있습니다.
우리네 삶에는 또 하나의 산, 또 하나의 삶이 있습니다.
그것은 나만을 위한 삶이 아닌 다른 사람과 같이
살아가는 삶, 같이 무언가를 이루고 도와가는
공동체 적인 삶이 있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올라가는 두 번째 산입니다. 그 두 번째
산에는 기쁨과 감사와
행복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으로 읽을까? 손으로 읽을까?  (0) 2020.11.03
삶의 '터닝 포인트'  (0) 2020.11.02
음악으로 치유가 될까  (0) 2020.10.30
아버지의 손, 아들의 영혼  (0) 2020.10.29
내 기쁨을 빼앗기지 않겠다  (0) 2020.10.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