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몸으로 표현하는 것,
조금 엉뚱해 보여도 어른이든 아이든
숲을 만날 때 한 번씩 해보는 활동이다.
팔과 다리, 머리와 손을 움직여 내가 만든
몸짓으로 다른 존재가 되어본다. '나'라는
존재가 숲 일부라고 여기면 주변을
더 깊이 관찰하게 된다.
그 상상력의 힘을
믿는다.
- 조혜진의 《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 중에서 -
* 숲에서는 사람도 나무가 됩니다.
나무가 되어보고, 새가 되어보고, 바람이
되어보고, 햇살이 되어봅니다. 나무에 기대어
인사하며 서로 안부를 묻습니다. '오늘도 반가워',
'언제나 이 자리에 있어줘서 고마워', '힘들면
또 와'. 나무는 늘 그 자리에 서 있습니다.
아무리 외롭고 힘들어도 자기 자리를
지킵니다. 고향집 어머니처럼.
고마워
- 숲에서는 사람도 나무가 된다 2024.05.29 1
- 나무도 체조를 한다 2021.08.10
- '고마워'라고 말하라 2021.01.19
- '내 아이라서 고마워!' 2018.08.04
- 고마워... 2013.02.23
숲에서는 사람도 나무가 된다
나무도 체조를 한다
나무야,
하루 종일 서 있으면 지루하지 않아?
- 괜찮아.
우리 심심한데 몸풀기 체조하자
- 좋아.
자, 나 따라서 시작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어때, 시원하고 재밌지?
- 그래, 그래.
지루함도 졸림도 싹 날려준 바람아
정말 고마워!
- 조오복의《행복한 튀밥》중에서 -
* 한자리에 꼼짝없이
서 있는 나무에게 바람이 다가와 말을 겁니다.
그래서 흔들흔들 몸풀기 체조가 시작됩니다.
나무도 때로 바람과 더불어 체조를 합니다.
그래야 지루함도 졸림도 날아갑니다.
사람은 더 말할 것도 없습니다.
때때로 몸을 풀어야 합니다.
정신도 함께 맑아집니다.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둥지둥 쫓기지 않으려면 (0) | 2021.08.12 |
---|---|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 (0) | 2021.08.11 |
슬픈 일 (0) | 2021.08.09 |
빈둥거림의 미학 (0) | 2021.08.09 |
성냄(火) (0) | 2021.08.09 |
'고마워'라고 말하라
마음으로
그녀의 이름을 부르고
"고마워"라고 말하고 그녀에 대한 감탄이
마음에 차오르는 것을 감지하라. 잠시 기도나
가장 마음에 드는 축복을 되뇌면서
사랑을 전하라. 적극적인 사랑의
몸짓을 상상해도 된다.
- 타라 브랙의《끌어안음》중에서 -
* 사랑에도 단계가 있습니다.
맨 먼저 이름을 부르는 것입니다.
이름을 부르고 곧바로 사랑을 고백하지 않습니다.
"당신이 있어줘서 고마워요", "당신을 이렇게 만날 수
있게 되어 고마워요". 고마움을 전달하고,
그다음에 사랑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감사에 기초한 사랑이어야
오래갑니다.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 (0) | 2021.01.21 |
---|---|
'네 신체비밀이 뭐야?' (0) | 2021.01.20 |
춥다, 나는 혼자다 (0) | 2021.01.18 |
문이 열리는 날 (0) | 2021.01.18 |
'왜 나만 힘들까?' (0) | 2021.01.15 |
'내 아이라서 고마워!'
아이를 칭찬하거나
사랑을 표현할 때 좋은 말이 있다.
"네가 내 아이라서 고마워.", "네가 늑장을
부려도 네가 내 아이라서 고마워.", "네가 엄마
애간장을 녹여도 네가 내 아이라서 고마워.",
"응가도 힘들게 누고, 어른 팔뚝만 한 똥을
눠서 비닐장갑 끼고 똥을 으깨야 하지만
네가 내 아이라서 고마워.”
그래야 아이가 큰다.
- 임영주의《엄마라서 행복해, 내 아이라서 고마워》중에서 -
* 아들과 함께
몽골 여행에 참여했던 한 아버지는
"아들이 태어나서 3년 동안 참으로 많이 웃을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감사하다"고 말했습니다.
내 아이로 태어나준 것도 너무 고맙고,
사랑을 알게 한 것도 너무 고맙고,
살아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고마울 따름입니다.
...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혼으로 듣는 생명의 음악 (0) | 2018.08.04 |
---|---|
희망이란 (0) | 2018.08.04 |
용기 (0) | 2018.07.28 |
여름은 너무 덥다 (0) | 2018.07.27 |
공항 대합실에 서서 (0) | 2018.07.26 |
고마워...
기왕이면
'미안해'라는 말보다
'고마워'란 말이 더 좋아.
'미안해'라고 하면 어쩐지 내가 뭘 잘못한 것 같지만
'고마워'라고 하면 내가 뭔가 좋은 일을 한 것 같잖아.
- 미도리카와 세이지의《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중에서 -
* 우리는 '고맙다'는 말보다는
'미안하다'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얼마 전의 일입니다. 깜박 두고 온 휴대전화를 위해
다시 돌아가야 할 일이 생겼을 때, 함께 가주는 사람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했습니다. '시간 빼앗아서',
'괜히 다시 가게 해서 미안하다'고. 그러나
이제부터는 '고맙다'고 말해야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고마워."
"정말 고마워."
" 아니야, 내가 더 고마워"
혹시 이 대답을 들을지도 모르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