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한자성어]衆寡不敵(중과부적)(무리 중, 적을 과, 아닐 부, 대적할 적)

● 유래: 맹자에서 유래한 성어입니다. 맹자가 제(齊)나라 선왕(宣王)을 만나 대화를 나누던 중, 선왕의 패도정치(霸道政治)에 대한 욕심을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잡는 것(緣木求魚)’에 비유한 뒤 이어서 “추(鄒)나라 사람이 초나라 사람과 전쟁을 하면 누가 이긴다고 생각합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이에 선왕은 “초나라 사람이 이길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맹자는 다시 다음과 같이 얘기했는데 여기서 중과부적(衆寡不敵)의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작은 나라는 큰 나라를 대적할 수 없으며, 적은 숫자로 많은 사람을 대적할 수 없으며(寡固不可以敵衆), 약한 나라는 강한 나라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 지금 천하에 사방 천 리나 되는 나라가 아홉인데, 제나라는 그중 하나입니다. 하나로써 여덟을 굴복하게 하려는 것이 어찌 추나라가 초나라를 대적하는 것과 다르겠습니까? 근본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제 왕께서 인정(仁政)을 베풀어 천하의 선비들이 왕의 조정에서 벼슬하기를 원하고, 천하의 농민들이 왕의 들판에서 밭 갈기를 원하며, 천하의 장사하는 사람들이 왕의 시장에서 장사하기를 원하고, 여행하는 자들이 모두 왕의 길에 나아가기를 원하게 하면 천하에 자기 왕을 미워하는 자들이 모두 왕에게 달려와서 하소연하려 할 것이니, 이와 같으면 누가 왕의 앞길을 막을 수 있겠습니까?” 이는 선왕에게 ‘왕도정치’를 하는 것이 최선임을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 생각거리: 옛날 전투에선 사람과 사람이 맞붙어 싸웠기 때문에 군사의 수가 매우 중요했습니다. ‘중과부적’이란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는 뜻으로, 도저히 어찌해 볼 수 없는 전투 상황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맹자는
의로움을 많이 강조했다.
악행을 미워할 뿐 아니라, 스스로
옳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겨야 사람다운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부끄러운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라고까지
말했다.


- 조윤제의 《신독, 혼자 있는 시간의 힘》 중에서 -


* 맹자는 사덕(四德)의
사단(四端)을 말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수오지심(羞惡之心)을 인간이 갖춰야 할 높은
덕목으로 꼽았습니다. 자신의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이 넘쳐나는 현실에서
깊이 되새겨볼 만한 덕목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2024.12.09
위기  (0) 2024.12.09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  (0) 2024.12.05
깨달음이란  (0) 2024.12.04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0) 2024.12.03
반응형

틀릴 수 있는 권리를 절대 포기하지 마라.

그러지 않으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을 잃게 될 것이다.

- 데이비드 번스 (정신의학자)

 

사과는 패자의 행동이 아닌 승자의 행동입니다.

빨리, 크게, 제대로 ‘잘못했다’고 인정하고

사과하면 신뢰를 얻게 됩니다.

“제가 잘못했어요”라는 말 한마디가 기적을 가져옵니다.

맹자는 “잘못을 지적받으면 그 자리에서 기뻐하라”고 가르쳤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