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저녁 무렵, 출출해져 오는 배.
갓 구워 따끈따끈한 크로켓 빵
입에 착착 붙는 단맛 일품요리 크로켓 빵.

자고 일어난, 다음 날 아침.
어제 남겨 냉장고 속에 넣어 두었던 크로켓 빵
화들짝 놀란 짠맛 먹고 싶지 않은 크로켓 빵.

같은 크로켓 빵인데 전혀 다른 식감.
같은 혀인데 전혀 다른 맛.

같은 사람인데 전혀 다른 느낌.
같은 사람인데 전혀 다른 마음.


- 박영신의《옹달샘에 던져보는 작은 질문들》중에서 -


* '내가 알던 그 사람이 맞아?'
같은 사람인데 어느 순간 전혀 다른 사람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 사람이 변한 것 때문일 수도
있고, 내가 미처 몰랐거나 변덕일 수도 있습니다.
사람은 변합니다. 느낌도 변합니다.
그러나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믿음'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제와 같은 오늘을 살면서  (0) 2021.08.23
한국 영화의 국내 시장 점유율 51%  (0) 2021.08.20
아! 아버지  (0) 2021.08.18
후회할 시간이 있거든  (0) 2021.08.17
잘 자는 기술  (0) 2021.08.16
반응형

행복한 사람은,
이를테면 평온하다. 그는
자신의 행복을 가슴으로 껴안고 산다.
절제된 기쁨으로 자신을 관리한다. 반면
떠들썩한 즐거움이나 안달하는 욕망,
변덕스런 호기심의 뒤엔
항상 권태가 있다.

- 쟝 자크 루소의《에밀 4부》중에서 -


* 좋을 때는 너무 좋고
싫을 때는 너무 싫고, 이것 좋지 않습니다.
기쁠 때는 너무 기쁘고 슬플 때는 너무 슬프고...
이것 또한 좋은 태도가 아닙니다. 양극단의 감정을
절제해 언제나 평온함을 유지하는 사람에게서
우리는 깊은 신뢰와 안정감을 얻습니다.
변덕이나 권태가 끼어들 틈도
없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 걱정  (0) 2020.01.29
지갑도 열고 입도 열고  (0) 2020.01.23
예방도 하고 치료도 할 수 있다  (0) 2020.01.21
이루지 못한 꿈  (0) 2020.01.20
하루를 시작할 때  (0) 2020.01.17
반응형

항상 쓸데없는 변덕을 부리지 않는 한
적절할 때 생각을 바꾸는 건 약점이 아닌 강점이다.
필요하다면 “내가 틀렸다”라고 말하면서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줘라.
또한 생각을 바꾼다고 해서 자존심이 상하지는 않는다는 걸 명심하라.
“내가 틀렸다. 당신이 옳았다. 고맙다. 미안하다”고 말하라.
- 롭 무어, ‘결단’에서 

윈스턴 처칠 수상은 “발전하기 위해선 변해야 한다,
완벽해지기 위해서도 종종 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생각을 바꾸는 건 약점이 아닌 강점입니다.
사람들에게 “내가 틀렸다”고 말하면
오히려 그들이 나를 더 신뢰하고, 친밀한 관계도 형성됩니다.
“내가 틀렸다. 당신이 옳았다. 고맙다 미안하다”는 말은 마술 같은 효과를 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