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애매하고 불안한 상황이라면
한번 내린 결정을 자꾸 바꾸기보다는
계획대로 밀고 나가는 편이 훨씬 더 낫다.
계획대로 해 보다가 잘되지 않으면
그때 방향을 바꾸어도 늦지 않다.


- 임세원의 《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 중에서 -


* 불안은 불신과 관계가 있습니다.
자신의 결정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지요.
결정은 세상에 메시지를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운전자가 운전하면서 목적지를 자꾸만 바꾼다면,
도착 시간은 아마 더 늦어질 것입니다.
처음 계획대로 밀고 나가십시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있음'(my beingness)에 대하여  (0) 2025.11.10
가을 편지  (0) 2025.11.10
네 인생의 목소리를 들어라  (0) 2025.11.06
새로운 모든 것은...  (0) 2025.11.05
'보케이션(vocation)'이라는 단어  (0) 2025.11.04
반응형

 

혼돈 시대

 

달구지에 가득 찬 불안의 짐짝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2막 설계, 촘촘히  (0) 2025.02.11
걸림돌과 디딤돌  (0) 2025.02.10
쓰레기 줍기  (0) 2025.02.07
각방 쓰는 부부  (1) 2025.02.06
마디와 마디 사이  (2) 2025.02.05
반응형

남을 괴롭히는 사람에게는 평안이 없고,
남을 도와주는 사람에게는 불안이 없습니다.
평안과 불안은 이웃과의 관계에 달렸기 때문입니다.
내가 잘되는 것은 작게 잘되는 것이고,
나를 통해 남이 잘되는 것은 크게 잘되는 것입니다.
- 조정민, ‘고난이 선물이다’에서


같은 책에 실린 좋은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감사의 깊이가 삶의 깊이입니다.
무슨 일이건 감사하는 사람은 누구도 넘어뜨리지 못합니다.
감사하는 버릇이야말로 인간의 능력 중의 능력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평화로울 땐 불안도 오겠구나.
괴로워도 또 행복이 오겠구나.
이런 생각들을 하다 보니 너무 슬픈
일과 너무 기쁜 일의 경계가 많이 사라졌다.
세상은, 자연은, 내 마음은, 지금도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는 걸 인정하게 된다. 생동하는
큰 흐름 안에서 모든 만물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온몸으로 느끼면
그저 경건해진다.


- 홍시야의 《나무 마음 나무》 중에서 -


* 슬픈 일과 기쁜 일,
경계가 없습니다.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물처럼 바람처럼 흐릅니다. 슬픔이 기쁨으로
흘렀다가 기쁨이 슬픔으로 또다시 바뀝니다.
그러니 너무 슬퍼할 것도 너무 기뻐할 것도
없습니다. 어느 하나에 집착함이 없이
비우고 살다 보면, 그리 기쁠 것도
그리 슬플 것도 없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엇이 행복일까?  (1) 2023.09.11
부끄러움  (0) 2023.09.11
'스몰 트라우마'  (0) 2023.09.07
책을 '먹는' 독서  (1) 2023.09.06
아주 위험한 인생  (0) 2023.09.05
반응형

스트레스와 불안의 원인인
'스몰 트라우마'를 극복하려면
스트레스와 불안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근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스몰 트라우마는
스트레스와 불안 양쪽 모두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이 특정 상황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몰 트라우마는 또한 우리의 인지에
영향을 끼쳐 불안을 유발하고 정신적으로 수많은
토끼 굴을 파게 하며, 그 결과 스트레스 반응과
다른 생리적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멕 애럴의 《스몰 트라우마》 중에서 -


* '스몰'은 '작은 것'이 결코 아닙니다.
스몰이라고 가벼이 여기거나 등한시하려 들 때
스몰은 빅이 되고 비거가 됩니다. 요즘 목도하고 있는
'묻지 마' 범죄들은 이러한 스몰 트라우마들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못하고 점차 커지다가 엉뚱한 대상으로
터져 나온 결과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초기 단계의
스몰 트라우마를 스스로, 또는 사회적으로
잘 보살피는 시선과 배려가 필요합니다.

 


small trauma 

 

각 개인의 삶에서 자신감 혹은 자존감을 잃게 만드는 일상에서의 경험, 사건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어린 시절 친구들로부터 반복적으로 놀림을 받은 경험, 너무 급한
나머지 교실에서 오줌을 싼 경험, 발표할 때 실수를 한 경험, 어릴 적 길을
잃어버렸던 경험, 집단폭행을 옆에서 보면서 두려움에 떨던 경험, 왕따 경험 등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스몰(small)" 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이러한 경험들이 일상생활
도처에 널려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결코 이러한 경험들로 인한
피해자의 고통이 “작다(small)” 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끄러움  (0) 2023.09.11
너무 슬픈 일과 너무 기쁜 일  (0) 2023.09.11
책을 '먹는' 독서  (1) 2023.09.06
아주 위험한 인생  (0) 2023.09.05
겸손  (0) 2023.09.04
반응형

강점을 매일 사용하는 직원들은
업무에 만족할 가능성이 6배 높고, 스트레스와 불안은 줄어든다.
관리자가 직원의 약점에 초점을 맞출 때 직원의 성과가 27% 감소하는 반면,
강점에 초점을 맞추면 36퍼센트 증가한다.
상사가 부하직원의 강점에 초점을 맞출 때 직원들은
관리자와 더 좋은 업무관계를 구축하고, 성과가 향상되며,
업무 적극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 갤럽


‘자질이 부족한 사람을 배치하고 약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낭비다.
그것은 인간 자원의 오용이다.
강점을 활용해 생산성을 올리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그가 얻는 것은 기껏 충격과 그의 약점,
그리고 성과와 목표달성 능력에 대한 장애물로부터 오는 허탈감 뿐이다.’
경영 구루 피터 드러커 교수의 지적입니다.
약점 보완이 아닌 강점 활용에 집중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