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모른다.
이것은 기억을 상실하여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과 다를 바
없다. 자신을 아는 것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탐구보다는
외부로 온통 관심을 돌린다. 그러다 보니
겉은 찬란하나 그 속은 황량하다 못해
무지 상태이다.


- 김우타의《소리 없는 소리》중에서 -


* 내가 나를
가장 잘 아는 것 같아도
사실은 가장 잘 모르는 것이 나입니다.
책을 읽고 음악을 듣고 여행을 하는 것도
내가 나를 탐구하기 위한 몸짓입니다.
나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는 것,
나의 내면을 깊이 채우는 것,
그것이 명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의 자궁  (0) 2023.06.05
좋은 여행  (0) 2023.06.03
외톨이가 아니다  (0) 2023.06.01
행동이 자신감을 회복시킨다  (0) 2023.06.01
나의 길, 새로운 길  (0) 2023.05.31
반응형

유년기 초에 시력을 상실하면
겉질 재구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청력이 더 예리해진다.
시각 영역이 정상적인 일을 하는데 쓰이지 않으므로
무엇이든 다른 입력을 받아서 다른 역할을 하도록 적응하며,
그 결과 청력이 더 좋아지도록 뇌 과정을 돕는다.
- 수전 그린필드, 파킨슨병 세계적 권위자


우리 두뇌는 무언가를 상실하면
자동적으로 다른 기능을 강화하는 신비한 능력을 가졌습니다.
청력을 상실하면 시각이 강하되고, 시력을 상실하면 청각이 강화됩니다.
잃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더 좋고 강한 새로운 것을 채우기 위해서는 과감히 비우고 지울 줄 알아야 합니다.
상실과 결손이 위대한 창조를 만들어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남편이 죽은 후
나는 상실을 안고 살아야 했다. 동시에
내 삶을 떠받치던 구조물이 무너져버렸다.
이제 아침에 일어날 이유가 없었다. 의사를
보러 갈 때나 병원에 갈 때 그와 동행해야 할
필요도 없었다. 그가 죽은 후 장례식에서 잠깐
부지런히 움직여야 했을 뿐이다. 그다음에는
암흑이 찾아왔다. 엄청난 슬픔, 내가 아침에
일어날 이유를 제공했던 그 모든 것들에
대한 그리움이 암흑처럼 다가왔다.


- 메흐틸트 그로스만, 도로테아 바그너의
《늦게라도 시작하는 게 훨씬 낫지》 중에서 -


* 세상이 멈추고
암흑으로 변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빛이 사라지고 온 세상이 깜깜해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빛이 사라지고 난 뒤에야
빛의 존재가 얼마나 귀하고 소중했는지 비로소
깨닫습니다. 상실, 슬픔, 그보다 더 애절한 그리움이
마음을 아프고 시리게 합니다. 아침에 일어날 이유가
없어진 일상에서, 휑 빈 방에서, 그래도 다시 일어나야
합니다. 살아생전 놓쳤던 것들을 되살리며
두 사람 몫의 빛을 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 교육'이 필요한 이유  (0) 2021.06.01
자녀의 팬(fan)이 되어주는 아버지  (0) 2021.05.31
자기 느낌 포착  (0) 2021.05.28
'김기스칸'  (0) 2021.05.26
이청득심(以廳得心)  (0) 2021.05.25
반응형

목표를 높은 곳에 두어야 한다.
똑같은 노력이지만 목표가 큰 사람은 큰 곳을 향한 노력이 되고,
먹고 사는 것에 급급한 사람은 뜻이 작기 때문에 작은 노력이 되고 만다.
자신에게 내재된 무한한 능력을 꺼내 쓰자.
스스로 못할 것이라는 생각은 스스로를 속이는 가장 큰 거짓말임을 명심해야 한다.
- 워너 메이커 

목적과 목표가 내 속에 잠재된 무한 잠재력을 깨웁니다.
목적 없이 산다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또한 목적이 있더라도 그것이 낮은 것이라면 역시 위태롭습니다.
목적이 희미하거나 있어도 낮은 것은 죄악에 가까이 서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 태어난 목적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병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다 했지만 차도가 없는 암환자에게 
의사는 무슨 말을 할까 떠올려 보았다. 그러곤 
이런 생각이 들었다. 지금 나는 슬픔에 젖어 있다고. 
나는 두려움을 느끼는 것에 지쳤고 누군가를 
상실하는 데 진절머리가 났다. 왜 이렇게 
지독한 피로감을 느끼는지 이유를 
생각하다 얼마 전 내 머리카락이 
모두 빠졌을 때가 떠올랐다. 

- 니나 리그스의《이 을 사랑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중에서 -


* 때때로 '행복한 피로감'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운동을 즐겁게 마쳤을 때, 또는 
여행을 잘 마치고 집에 돌아왔을 때 몰려오는 피로감.
바로 행복한 피로감입니다. 그러나 '지독한 피로감'은
위험한 신호입니다. 더 지독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평소 '행복한 피로감'을 느끼는 일을 반복하는 것도
'지독한 피로감'을 막는 한 방법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들의 스승  (0) 2019.08.30
행복도 차곡차곡 쌓여가기 때문에  (0) 2019.08.28
지식과 지혜  (0) 2019.08.26
최고의 사랑  (0) 2019.08.26
위대한 생각은 언제 나오는가  (0) 2019.08.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