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아픈 데는 없어?"
뚝. 오미실 여사는 전화를 끊고 가 버렸다.
침대에 누워 가만히 생각했다. 수술만 하면
정상으로 돌아올 거라 생각했는데 어째
더 이상해지는 것 같았다. 낮에는 괜찮은데
왜 밤에만 그렇게 돌변하는 걸까?
암 때문인지, 수술 때문인지,
치매 때문인지
알 수 없었다.


- 유미의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중에서 -


* 안부 인사는
대부분 건강을 묻는 인사입니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는 말도 결국은
"별 탈 없이 잘 살고 있다"라는 무언의 소식입니다.
부모는 자식들에게, 자녀들은 부모님에게,
오랜 친구들에게, 직장 동료들에게
"아픈 데는 없어요?"라고 안부를
묻는 것도 좋겠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쁜 노력'은  (0) 2025.07.21
교감  (0) 2025.07.21
기쁜 사람은 기쁨을  (0) 2025.07.17
마음으로 보고 들으면  (0) 2025.07.16
천경자의 '오기'와 '광기'  (0) 2025.07.15
반응형

나무를
몸으로 표현하는 것,
조금 엉뚱해 보여도 어른이든 아이든
숲을 만날 때 한 번씩 해보는 활동이다.
팔과 다리, 머리와 손을 움직여 내가 만든
몸짓으로 다른 존재가 되어본다. '나'라는
존재가 숲 일부라고 여기면 주변을
더 깊이 관찰하게 된다.
그 상상력의 힘을
믿는다.


- 조혜진의 《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 중에서 -


* 숲에서는 사람도 나무가 됩니다.
나무가 되어보고, 새가 되어보고, 바람이
되어보고, 햇살이 되어봅니다. 나무에 기대어
인사하며 서로 안부를 묻습니다. '오늘도 반가워',
'언제나 이 자리에 있어줘서 고마워', '힘들면
또 와'. 나무는 늘 그 자리에 서 있습니다.
아무리 외롭고 힘들어도 자기 자리를
지킵니다. 고향집 어머니처럼.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소중하기에  (0) 2024.05.31
무슨 일이 있어도 괜찮아요  (0) 2024.05.30
분노 조절 장애  (0) 2024.05.28
신발을 벗어라  (0) 2024.05.27
나를 본다  (0) 2024.05.27
반응형

오래전 누군가가
'살아지더라'고 말했을 때,
내게는 그 말이 '사라지더라'로 들렸다.
내 기억 속에서 그 사람이 한동안 실제로
사라져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들렸을지 모른다.
고단한 삶이었지만 그래도 살게 되더라는 뜻이었을
것이다. 그냥, 그저 그렇게, 조용히, 아무렇지도 않게,
아무 일 없었던 듯이 등등의 수식어가 붙는 것이
전혀 어색하지 않은 그 말, '살아지다'.


- 안규철의《사물의 뒷모습》중에서 -


* 오랜만에 만난 사람이 묻는
'어떻게 지냈느냐'는 짧은 인사에
'잘 살고있다'라는 대답을 건네어 봅니다.
의례적인 인사이지만 조용히, 아무렇지도 않게
살고 있다는 것이 새삼 감사하게 여겨집니다. 덕분에
한동안 기억 속에서 사라져 있던 나의 삶,
그리운 사람들에게 안부를 물으며 함께
살아가는 힘을 얻어 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살 것인가  (0) 2021.09.14
분노 조절  (0) 2021.09.13
'자동차 연료통'이 아니다  (0) 2021.09.10
우리가 서점을 찾는 이유  (0) 2021.09.09
김치찌개  (0) 2021.09.08
반응형

날이 지날수록 그리움은 쌓이고
아무도 내 소식을 기다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내가 지나치게 그리움을 만드는 것은 아닐까
그걸 모르는 나는 참 바보다
하지만 그게 또 삶이라는 걸 뼈저리게 느끼는 저녁
그대여 내가 돌아가는 날까지
그저 건강하게 있어달라


- 정법안의 시집《아주 오래된 연애》에 실린
시〈길 위에서 보내는 편지〉중에서 -


* 그리움에 안부를 전할 때
가장 먼저 묻는 것이 '건강'입니다.
실연, 좌절, 절망, 실패, 사고가 터졌어도
건강하면 만사 오케이,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건강해야 다시 만날 수 있고, 건강해야 안심하고
돌아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시 만나는
그날까지 '그저 건강하게 있어달라',
그 말 밖에 더 할 말이 없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을 잃으면 길이 찾아온다  (0) 2020.11.30
절대 잊을 수 없는 날  (0) 2020.11.27
간디가 기억하는 '나의 어머니'  (0) 2020.11.25
몽당 빗자루  (0) 2020.11.24
올바른 배움의 자세  (0) 2020.11.23
반응형

잘 지내고 있나요
당신의 하루는 어떤가요
나의 오늘은 당신으로 인해 숨을 쉽니다

편안한가요
당신의 시간은 어떤가요
나의 상념은 당신으로 인해 깊어갑니다

무릎담요 꺼내 놓은 날
당신의 어느 하루가 궁금합니다
아프지 말아요


- 배귀선 외의《마중물 다섯》에 실린 배귀선의 시 <안부> 중에서 -


* 당신의 안부가
궁금해지는 시간입니다. 특히
또 한 해가 저물어가고 추운 겨울이 다가오면
더욱 그렇습니다. 오늘 하루 어떻게 보냈는지,
어디 아픈 것은 아닌지, 마음은 편안한지.
궁금함과 그리움이 커집니다.
제발 아프지 말아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입의 경험  (0) 2015.12.02
몸의 치유, 마음의 치유  (0) 2015.12.01
사람이 행복하면  (0) 2015.11.28
'나는 살아남았다'  (0) 2015.11.27
'경청'이 열쇠다  (0) 2015.11.26
반응형

잘 지내니? 잘 지내길 바란다

잘 지내니?
난 너의 기억을 고스란히 다 갖고 있어.
보고 싶고 궁금해. 살아 있는 동안 한 번이라도
널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 하지만 내 앞에
안 나타나도 좋아. 잘 살고 있으면 그걸로
돼. 그때 너를 힘들게 하던 것들이
다 사라지고 행복해졌기를
바란다.


- 송정연의《당신이 좋아진 날》중에서 -


* 불현듯
안부가 궁금해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지금 잘 지내고 있는지, 어디 아프지는 않은지,
밥은 먹고 사는지, 마음이 아련해 집니다.
불현듯 생각나는 것은 그 사람이 아직도
내 가슴 속 난로의 불씨로 남아 있다는
뜻입니다. 아직도 남은 그 불씨가
나를 기쁘게도 하고
아프게도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려갈 때 보았네  (0) 2014.04.12
어! 내가 왜 저기 앉아 있지?  (0) 2014.04.11
'12세 소녀의 녹색뇌'  (0) 2014.04.09
네가 먼저 다가가!  (0) 2014.04.08
아이를 벌줄 때  (0) 2014.04.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