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극단적인 괴로움과
지옥 같은 고통은 왜 오는 걸까?
두말할 나위 없이 집착에서 온다.
집착은 왜 하게 되는 걸까? 집착하는 대상으로
하여금 내가 원하는 욕심을 채워 행복하기 위함이다.
감정에만 취해서 복잡한 업의 내용을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고통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요원하다. 집착하는 만큼 고통의
과보를 감내해야 한다.


- 진우의《두려워하지 않는 힘》중에서 -


* 집착은
여러 형태의 내적 고통을 안겨줍니다.
집착이 강할수록 고통의 강도도 세집니다.
삶 전체를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지옥 같은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집착은 욕심에서, 그것도 이기적인
욕심에서 비롯됩니다. 그 이기적인 욕심을 이타적인
꿈으로 방향을 바꾸는 순간, 고통은 사라지고
마음의 평화와 행복이 찾아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채비  (0) 2025.10.22
인공지능  (0) 2025.10.21
바보  (0) 2025.10.20
'거대한 가속'의 시대  (0) 2025.10.17
저체온 여성이 늘고 있다  (0) 2025.10.16
반응형

삶이란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옛 성현들은 '안빈낙도'의
수양을 그치지 않았다. 그 기반이 되는 것이
바로 '감사하는 마음'이다.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에
관계없이, 주어진 하루하루가 모두 우리 삶을
이루어가는 과정이다. 하루를 마치는 시간,
감사하는 마음으로 내가 나아갈 길을
생각하고, 이루고자 하는 일을
되새겨 보기를 바란다.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 조윤제의 《신독, 혼자 있는 시간의 힘》 중에서 -


* '가난을 편안히 여기고 도를 즐긴다'.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우리말로 푼 뜻입니다.
'안빈'이라 해서 가난이 좋다는 뜻으로 오해해선
안됩니다. 욕심을 버리라는 뜻도 아닙니다. 재물을
쫓아가는 일에 목숨 건 인생을 살지 말라는 뜻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이 '감사'입니다. 재물의 있고 없음,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늘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안빈낙도입니다.
그래서 '수양'(修養)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보다 근테크가 더 중요하다  (0) 2024.11.25
벌거숭이  (0) 2024.11.25
'왜 하필 나야?'  (0) 2024.11.21
무릎관절, 고관절, 허리관절  (0) 2024.11.20
마침내 너를 만나다  (2) 2024.11.19
반응형

건강이 나쁜 채로
지내는 기간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건강 수명을 늘리는 것이 가치 있는 목표라는 데는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1980년 제임스 프라이스는
이런 목표를 일컫는 용어를 만들었다. 바로 '질병 상태
압축'(COMPRESSION OF MORBIDITY)이다. 이 질병
상태 압축은 두 가지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우리가
노화 과정에 영향을 미쳐 노화 관련 질병을
늦출 수 있다는 것과 수명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많은 항노화 연구는 첫 번째
가정을 목표로 한다.


- 벤키 라마크리슈난의 《우리는 왜 죽는가》 중에서 -


*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오랜 소망은 질병 없이 오래 사는 것입니다.
그래서 역대 권력자들은 불로불사의 영약을 구하고자
별의별 노력을 다했으나 그럴수록 오히려 단명했습니다.
태어나고, 늙어가고, 병들고, 죽는 것은 어쩌면 가장
자연스러운 자연의 섭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러한 욕심을 내려놓고 비우면서,
자타를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는 것이
항노화의 모범 답안입니다.
명상도 그 한 방법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하고 또 사랑하자  (0) 2024.07.15
울음과 웃음  (0) 2024.07.15
모래 한 알에서 세상을 보라!  (0) 2024.07.09
조개의 눈물  (1) 2024.07.08
위험  (0) 2024.07.08
반응형

지금까지 할 수 없었던 일을
해내는 순간, 뇌에서는 도파민이라는
쾌감 호르몬이 다량으로 분비됩니다. 즉,
'성취감'을 맛보면 또 다른 '성장 욕구'와 '진화 욕구'가
생겨나고, 그것이 눈앞의 일에 집중하는 몰입 모드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인류를 지금 수준으로
진화시켜 온 요인은 이 두 가지 욕구를 몸에
익힌 것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본래 성장에 욕심이
많은 동물입니다.


- 고다마 미쓰오의 《오타니 쇼헤이의 쇼타임》 중에서 -


* 신이 인간에 준 선물이
쾌감 호르몬입니다. 한 번 맛본 쾌감 호르몬 때문에
고통을 잊게 하고 새로운 도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꿈꾸고 욕망하고 시도하고 성취하지 않으면
인간은 삶의 의욕을 잃습니다. 목표를 위해
집중하고 몰입할 때 엄청난 에너지의
쾌감 호르몬이 쏟아집니다. 진화와
성장을 위한 신의 선물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기는 어디인가?  (0) 2023.10.12
서두르지 않는다  (0) 2023.10.11
폭포 같은 남자  (0) 2023.10.09
늦사랑  (0) 2023.10.09
꿀잠 수면법  (0) 2023.10.09
반응형

내 것만 가득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움은 늙지 않는다  (0) 2023.07.04
순두부  (0) 2023.07.03
하늘을 잊고 사는 이들아  (0) 2023.06.30
시각장애인의 영안(靈眼)  (0) 2023.06.29
오감 너머의 영감  (0) 2023.06.28
반응형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에는
돈과 명예만 빼고 생각해야 올바른 답을 낼 수 있다.
내가 올바른 결정을 내리면 돈과 명예가 따라올 수 있지만,
돈과 명예를 보고 내린 결정은
결국에는 올바르지 못한 선택이었다는 것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 안철수, 안철수 연구소 의장


결정적 순간에 최후의 결단을 내리는 리더는 늘 외롭습니다.
리더가 돈과 명예를 빼고 사심 없이 결정을 내리면
동료들은 사심 없는 동참으로 보답합니다.
결국 작은 것을 탐내면 크게 잃게 됩니다.
즉 소탐대실(小貪大失)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반대로 큰 욕심을 가진 사람은 작은 것을 과감히 버릴 줄 아는,
즉 대탐소실(大貪小失) 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