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중추인
뇌가 복잡하듯, 뇌들의 사회가 만들어내는
현상들 또한 복잡하기 이를 데 없다. '사회학'이라는
하나의 학문으로 탐구하기엔 사회는 너무 복잡하다.
다양한 학문으로 바라보고 탐구해 얻은 '통찰력의 총합'이
아마도 사회의 본질에 좀 더 가까울 텐데, 그러려면
열린 마음으로 학문을 만나고 때로는 융합하고
잡종 되기를 거부해서는 안 된다. 두 학문이
만나는 곳에 '창의적인 눈'이
태어나기 때문이다.


- 정재승의 《정재승의 과학콘서트》 중에서 -


* '통찰력의 총합',
좀 어려운 얘기 같습니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뇌, 사회, 경제, 정치, 종교,
그 모든 것이 결국은 통찰력의 총합의 구조를 띱니다.
어느 것 하나 홀로 있는 것은 없습니다. 성격이 서로 다른
개체와 개체가 만나 수없이 교차되고 융합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것이 재창출되고 진화합니다.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 길만 택한다면  (0) 2025.05.14
나도 모르는 게 많다  (0) 2025.05.13
물은 바다로 흐른다  (0) 2025.05.12
퇴수(退修)라는 단어  (1) 2025.05.09
잠자리에 누웠을 때  (0) 2025.05.08
반응형

우리가 사랑을 너무
개인적 차원으로 생각하는 데 문제가 있다.
사람들은 흔히 사랑과 정의가 상충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사랑은 따뜻하고 정의는 차갑다고 생각하며,
사랑은 용서하고 감싸주는 것이라 여기고 정의는
투쟁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정의란
다수를 위한 사랑이다. 오히려 진짜 사랑,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는
순수한 사랑이다. 받는 자를 비굴하게
하지 않는 건강한 사랑일 수
있기 때문이다.


- 길희성의《종교에서 영성으로》중에서 -


* 한 사람을 사랑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 사람을 깊이 사랑하면 다수를 사랑할 수
있는 힘이 생겨납니다. 한 사람을 사랑하면서 겪은
오묘하면서도 아프고 슬픈 경험들이 개인적 사랑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정의를 구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랑은 실천입니다. 조용히, 드러내지 않고,
상대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순수한 사랑의 실천이
우리 사회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과의 대화  (0) 2021.11.29
괴로운 일이 생겼을 때  (0) 2021.11.26
가까이 보면 볼수록  (0) 2021.11.24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만들려면  (0) 2021.11.23
영어를 잘 배우려면  (0) 2021.11.22
반응형

제가 승려로서 
몰두하는 것 가운데 하나는 
서로 다른 종교 전통 간에 진정한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조로아스터교에서 유대교,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에 이르기까지 주요 종교가 
전하는 똑같은 메시지가 하나 있습니다. '사랑'입니다. 
사랑을 실천하려면 인내, 용서, 섬김을 실천해야 합니다. 
모든 종교가 이를 실천하고 있으며, 이 모두가 
조화를 이루는 토대입니다. 

- 달라이라마 외《보살핌의 인문학》중에서 -


* 달라이라마의 말처럼
모든 종교의 메시지는 하나입니다.
'사랑'입니다. 한 사람에 대한 사랑이 전 인류적인
것입니다. 한 사람의 생명과 영혼을 위한 사랑의 실천이 
전 우주적인 것입니다. 그걸 놓치거나 잃으면 그 종교는
이미 존재 이유를 상실한것입니다. 하물며 미움과
걱정과 사회적 재앙의 근원지가 된다면 
자기 역할에서 벗어난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을 위한 아침 수칙  (0) 2020.03.05
신이 내리는 벌  (0) 2020.03.04
억지로라도 밝게 웃자  (0) 2020.03.02
아침에 일어나 꼭 챙겨야 할 것들  (0) 2020.03.01
극복할 수 있다!  (0) 2020.0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