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보통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을 바라봐 주는 대로
스스로를 바라봅니다.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중, 그리고 보호와 편 들어주기가 있어야
아이는 비로소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 스스로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그야말로 '성장'을 할 수
있습니다.


- 정우열의 《나는 왜 내편이 되지 못할까》 중에서 -


* 삶은 꽤나 심오합니다.
그 심오함이 부모와 자식 간에도 늘 존재합니다.
희로애락이 끊임없이 춤을 춥니다. 존경받는 부모,
사랑받는 아이, 화목한 가정을 꿈꾸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수록 부모의 자녀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중, 자녀의 부모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경, 모든 것을
넘어서는 최고의 가치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방 쓰는 부부  (1) 2025.02.06
마디와 마디 사이  (0) 2025.02.05
이유 없이 고통을 겪는 사람들  (0) 2025.02.03
나는 나를 좋아한다  (0) 2025.01.31
순간 몰입  (0) 2025.01.24
반응형

사람들은
표현해도 되는 감정을
'긍정적인 감정'으로만 국한한다.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인 희로애락 중
절반은 부정적인 감정임에도 말하지 않는 것이
미덕이고 어른다움이라고 여긴다. 좋은 걸 "좋다"하고,
예쁜 것을 "예쁘다"라고 표현하는 것만큼, 싫은 것을
"싫다", 미운 것을 "밉다"라고 말하는 것은
건강한 행위이다.


- 김혜민의 《지금보다 괜찮은 어른》 중에서 -


* 희로애락의 느낌을 숨김없이
정직하게 표현하는 것은 건강한 일입니다.
하지만 때와 장소를 가려서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이 자신의 건강에
도움이 될지언정, 그 때문에 행여라도 상처입는
사람이 생길 수도 있으니까요. '건강한 감정'도
모름지기 깊이 헤아려 살펴가면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명이 바뀌는 말  (0) 2023.09.20
마음을 읽어내는 독심술  (0) 2023.09.19
가을 바람  (0) 2023.09.16
당신이 있기에 내가 있다  (0) 2023.09.15
얼어붙은 바다를 쪼개는 도끼처럼  (0) 2023.09.14
반응형

'웃음'도
실천이 문제이다.
희로애락이 번갈아 일어나는
인생길을 걷다보면 늘 웃으면서
살기가 어려울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늘 웃음과 동행하면서 살고 싶다.


- 박태호의《혼자서도 고물고물 잘 놀자》중에서 -


* 여러 면에서
웃음을 잃기 쉬운 상황입니다.
굳어진 얼굴이 좀처럼 펴지지 않습니다.
그래도 웃어야 합니다. 특히 가족끼리는 서로
더 많이 웃어야 합니다. 가족의 행복은
그 웃음 안에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말  (0) 2022.05.04
내가 너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0) 2022.05.03
진정으로 치료해야 할 상처들  (0) 2022.05.02
글 쓰고 그림 그리며 살고 싶다  (0) 2022.04.29
'문명병'  (0) 2022.04.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