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산이 적막한 것은
추위 때문이 아니라 거기 새소리가
없어서일 것이다. 새소리는 생동하는
자연의 소리일 뿐 아니라 생명의
흐름이며 조화요 그 화음이다.
- 법정의《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중에서 -
* 적막해도
겨울산은 깊은 묘미가 있습니다.
새소리 대신 찬바람이 거세도 시야가 트여
눈이 시원해집니다. 모든 것이 보입니다.
눈발이 날리거나 눈꽃이 피는 날에는
눈부시게 아름답습니다.
멋진 화음입니다.
전체 글
- 겨울산 2020.01.08
- [제주] 오름 - 안돌오름 입구 2020.01.07
- 행동하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는 시간이 갈수록 커진다 2020.01.07
- 좋은 상상력 2020.01.07
- 실패하면 ‘Good’이라고 외친다 2020.01.06
- 자식과 부모 사이 2020.01.06
겨울산
[제주] 오름 - 안돌오름 입구
'육아일기 > 여행? 제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마지막 날은 호텔에서 (0) | 2020.01.08 |
---|---|
제주 1100고지 눈꽃 (0) | 2020.01.08 |
동문시장 청양수산 회포장 (0) | 2019.12.31 |
대궁숯불갈비 , 드디어. 연탄불 구이 (0) | 2019.12.20 |
이래서 노브랜드 가는구나. (0) | 2019.12.20 |
행동하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는 시간이 갈수록 커진다
나쁜 운명을 깨울까봐 살금살금 걷는다면
좋은 운명도 깨우지 못할 것 아닌가.
난 나쁜 운명, 좋은 운명 모조리 다 깨워가며 저벅 저벅,
당당하게 큰 걸음으로 걸으며 살 것이다.
- 故 장영희 서강대 교수
“이미 행동한 것에 대한 후회는
시간이 가면서 조금씩 줄어든다.
그러나 행동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는
시간이 갈수록 커질 뿐이다.”
시드니 해리스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번 승리하면 교만해진다 (0) | 2020.01.09 |
---|---|
만족하는 순간 후퇴한다 (0) | 2020.01.08 |
실패하면 ‘Good’이라고 외친다 (0) | 2020.01.06 |
과거와의 단절이 더 나은 삶을 부른다 (0) | 2020.01.03 |
행복은 희망에서 나온다 (0) | 2020.01.02 |
좋은 상상력
상상력이란 일찍이
자신이 겪은 기억의 그림자일 것이며,
아직 실현되지 않은 희망사항이기도 할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좋은 상상력은 그 자체만으로도
살아 있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어둡고 불쾌한 상상력은 우리들을 음울하고
불행하게 만든다. 생각이나 상상력도
하나의 업業을 이루기 때문이다.
- 법정의《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중에서 -
* 글도 상상력의 소산입니다.
자신의 경험과 미래의 희망사항에
상상력을 덧붙여 써내려가는 것입니다.
역사도, 철학도, 비지니스도 상상력에 기초합니다.
어떤 상상력이냐에 따라 세상이 달라집니다.
사랑도 상상력입니다. 좋은 상상력이
아름답고 성숙한 사랑을 잉태합니다.
그것도 업입니다.
실패하면 ‘Good’이라고 외친다
나는 실패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극복한다.
이 모든 상황에 대처하는 한 마디가 있다.
‘Good!’이라는 말이다.
상황이 나빠져도 당황하지 마라. 좌절도 하지마라.
그저 상황을 바라보면서 ‘좋아(good)’라고 말하라.
일어나 먼지를 털고 몸을 추스르고 다시 뛰어들어라.
- 조코 윌링크, ‘네이비 실’에서
‘Good!’하고 외치는 건 해결책에 초점을 맞추는 자세입니다.
실패 상황에서 얼른 벗어나서 문제를 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실패나 비관적인 상황에서도 ‘Good’이라고 외칠 수 있는 긍정의 힘이
좌절을 넘어 우리를 앞으로 더 나아가게 만들어 줍니다.
힘들수록 ‘Good!’이라고 힘차게 외쳐보세요.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족하는 순간 후퇴한다 (0) | 2020.01.08 |
---|---|
행동하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는 시간이 갈수록 커진다 (0) | 2020.01.07 |
과거와의 단절이 더 나은 삶을 부른다 (0) | 2020.01.03 |
행복은 희망에서 나온다 (0) | 2020.01.02 |
웃음은 초콜릿 2,000개의 에너지를 가졌다 (0) | 2019.12.31 |
자식과 부모 사이
"이거"
"됐어요"
"가져가"
"있어요"
"그래도..."
"아유 참"
"뭐 사 먹어. 객지에서 굶지 말고 자아"
- 고창영의 시집《등을 밀어 준 사람》에 실린
시〈자식과 부모사이〉(전문)에서 -
* 외계인과의 대화가 아닙니다.
부모와 자식 사이의 흔한 대화입니다.
속내가 조심스레 드러내는 부모의 언어와
그것을 시큰둥하게 받아들이는 자식의
언어가 부딪치는 파열음입니다.
그러면서 함께 사는 것이
부모와 자식입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산 (0) | 2020.01.08 |
---|---|
좋은 상상력 (0) | 2020.01.07 |
나는 나다 (0) | 2020.01.04 |
자기 그림을 그리는 사람 (0) | 2020.01.03 |
긍정적 목표가 먼저다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