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약점을 인정하는 순간 다른 사람들이 얕잡아 볼 것이라는 생각은
일종의 강박관념이다. 두려움을 거두고 마음의 문을 열면
인생에서 가장 얻기 힘든 교훈이 찾아온다.
바로 자신의 약점과 한계를 솔직하게 인정하는 태도야말로
가장 강력한 강점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깨달음은 우리를 자유롭게 한다.
- 조너선 레이몬드, ‘좋은 권위’에서 

약점을 숨기느라 힘과 노력을 소모할 필요가 없게 된 순간,
내내 우리 안에 잠재되어 있었지만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능력이 각성됩니다. 우리는
자신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임으로써 그 불완전함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타인과의 사이에 존재하던 인공적인 장벽도 허물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이 책을
어른에게 바친 데 대해 어린이에게
용서를 빈다. 나에게는 그럴 만한 사정이 있다.
내가 이 세상에서 사귄 가장 훌륭한 친구가 바로
이 어른이라는 점이다. 이 어른은 지금 프랑스에서
살고 있는데, 거기서 굶주리며 추위에 떨고 있다.
그를 위로해주어야 한다. 지금은 어른이 되어
있는 예전의 어린아이에게 이 책을 바치고
싶다. 어른들도 처음엔 다 어린이였다.
(생텍쥐페리, 어린왕자)

- 문갑식의《산책자의 인문학》중에서-


* 잘 아시는대로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는 어른을 위한 동화입니다.
이제는 어느새 어른이 된 사람도 이 동화를 읽으면
금세 어린 동심으로 돌아갑니다. 위로를 받고,
꿈을 꾸고, 새로운 희망을 갖습니다.
어른도 때로 위로가 필요합니다.
다 어린이였으니까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 친구가 좋다  (0) 2019.12.16
몸챙김(Bodyfulness)  (0) 2019.12.16
몸에 독이 되는 음식  (0) 2019.12.12
걱정을 하든 안하든  (0) 2019.12.11
부서진 토기 조각  (0) 2019.12.10
반응형

다른 사람들에게 시간을 쓰는 것은
연결감을 선물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준다.
이게 다가 아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시간을 낼 때,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며 자신감이 커진다.
뭔가를 성취하는 기분이 들고, 그리하여
앞으로 더 많이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
- 캐시 모길너 (UCLA 교수) 

먼저 주면 더 많이 받게 됩니다. 다른 사람을 도울수록
우리는 더 행복해지고, 더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남을 잘 돕는 사람이 더 크게 성공합니다.
남을 돕는 것은 결과적으로 나를 위한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비만은 단순히
음식을 많이 먹어서 걸린 병이 아니라
몸에 독이 되는 음식을 많이 먹어 걸린 병이다.
몸의 독을 빼낸 뒤에 좋은 것으로 채운다면
살이 찌지 않을 뿐 아니라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이 이치만 안다면
비만은 물론이고 불치와 난치로
고생할 일은 없다고 해도 좋다.

- 상형철의《독소 다이어트》중에서 -


* 정말 큰일입니다.
조금만 유심히 살펴보면
몸에 독이 되는 음식들이 곳곳에 가득합니다.
그런 음식들은 편하다는 이유로,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무심히 먹습니다. 그리고는 후회할 틈도 없이
비만에, 질병에 힘들어 합니다. 건강의 근본은
음식입니다. 내가 먹는 음식은
내가 잘 선택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챙김(Bodyfulness)  (0) 2019.12.16
어른들도 처음엔 다 어린이였다  (0) 2019.12.13
걱정을 하든 안하든  (0) 2019.12.11
부서진 토기 조각  (0) 2019.12.10
몸이 자꾸 변한다  (0) 2019.12.09
반응형

Disney Acapella Medley - I'll Make A Man Out Of You, Go The Distance, Out There and MORE!

 

 

반응형
반응형

일정 기간 경기가 좋으면, 사람들은 항상 경기가 좋을 거라고 믿는다.
경기가 일정기간 동안 좋지 않으면, 계속 나쁠 거라고 믿어버린다.
두 가지 생각 모두 맞지 않다. 경기는 계속 변한다.
- 버나드 바루크 

맞습니다. 모든 것은 수시로 변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좋을 때는 계속 좋을 거라 생각해
나쁠 때를 대비 않지 않고, 좋지 않을 때는
계속 움츠러들기만 합니다.
안 좋을 때는 반대로 좋아질 때를 대비하고,
계속 좋을 때는 안 좋을 때를 미리 대비하는 것,
현명한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