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직원들에게 자유를 주면, 회사 일을 자기 일처럼 여기게 되어
더욱 더 책임있게 행동한다.
우리에겐 자유와 책임 이 두 가지가 필요하지만 사실
하나를 가지면 나머지 하나는 저절로 따라오게 되어있다.
자유는 책임의 대립 개념이 아니다. 오히려 자유는 책임을 향해가는 통로다.
책임질 자유를 주라.
- 리드 헤이스팅스, ‘규칙없음’에서


주식을 나눠준다고, 스톡옵션을 준다고
자동적으로 주인의식이 생겨나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가 하는 일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자율권을 주면,
최소한 그 일에 대해서만큼은 주인이 됩니다.
중요한 일을 더 많이 결정하게 할수록 그에 비례해서
주인의식 또한 커지게 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배운다는 것은 아픔입니다.
배운다는 것은 기존의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인데, 그
익숙해 있던 것을 버리는 아픔을 받아들여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 과정이 바로 '자람Growing'입니다. 삶의
목적은 '잘하는 것'이 아니라
'자라는 것'입니다.


- 이상현의《뇌를 들여다보니 마음이 보이네》중에서 -


* 사노라면
여러 형태의 아픔이 있습니다.
잘 하려고 해서 생기는 아픔도 있고
익숙한 것을 버려야 하는 아픔도 있습니다.
그 아픔을 통해 배우고, 그 배움을 통해
성장하고 성숙됩니다. 아이들도
아프면서 자라납니다.

반응형
반응형

강은 자신의 물을 마시지 않고, 나무는 자신의 열매를 먹지 않습니다.
태양은 스스로 자신을 비추지 않고,꽃은 자기를 위해 향기를 퍼뜨리지 않습니다.
남을 위해 사는 게 자연의 법칙입니다.
우리 모두는 서로 돕기 위해 태어난 것입니다.
아무리 그게 어렵더라도 말이지요.
- 프란치스코 교황


우리 모두는 서로 돕기 위해 태어났습니다.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추석,
더불어 함께 행복한 멋진 한가위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금 이 순간 두려움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새로운 활동과 성장이
중단되었다는 의미다. 걱정거리가 전혀 없다는 것은,
자신이 편안하게 느끼는 일만을 하고 있다는 신호이며,
이런 상태는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을 조금 더 많이 가져다줄 뿐이다.
두려움은 당신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징표일 수 있다.
두려움이 느껴지는 새로운 차원으로 자신을 끊임없이 몰아붙여야 한다.
- 그랜트 카돈, ‘10배의 법칙’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는데 두려움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가치 있는 도전이 아닐 수 있습니다.
두려움은 나쁘거나 회피해야 할 대상이 아닙니다.
두려움은 성장과 성취의 전조일 수 있습니다.
두려움이 느껴질 수 있는 도전을 즐길 수 있어야, 더 나은 내일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직장에 절친한 친구가 있을 경우,
그 사람의 회사 전반에 대한 참여도는 54%나 증가한다.
반면에 그런 친구가 없을 경우 그 가능성은 0으로 떨어진다.
놀랍게도 직장에서의 친구를 설명하는데 ‘절친한’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최고의 업무 집단을 나타내는 결정적인 특징이 되고 있다.
- 커트 코프만, ‘최강 조직을 만드는 강점 혁명’에서

일반적으로 직장에서는 친구라는 개념 자체를 꺼려합니다.
잡담과 농담, 빈둥거리면서 시간 때우기,
타 직원 따돌리기등을 걱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절친한 친구가 회사에 있다는 것은
힘든 일이 있으면 도와줄 거라는 신뢰, 정서적이고 협력적인 결속,
스트레스 감소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업가로 성공하려면 편집증적인 집착을 가져야 한다.
회사의 실제 규모와 상관없이 늘 자기 회사는 작은 회사라고 생각해야 한다.
회사가 커지고 잘 나가기 시작하는 순간 해결해야 할
이런 저런 과제들이 여기저기서 튀어나온다.
기업가가 ‘이제 성공 했구나’ 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이 가장 위험한 순간이다.
-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회장, ‘투자의 모험’에서


스티븐 슈워츠만 회장의 이야기 이어집니다.
“절대로 안주하지 마라.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스스로를 재창조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기울이지 않으면 경쟁자에게 밀려 도태된다.
특히 조직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쉽게 깨지고 무너질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