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여러분이 지도자로서 가장 들을 필요가 있는 것이

바로 나쁜 소식이다.

좋은 소식은 내일도 좋은 것이지만

나쁜 소식은 내일이면 더 나빠질 것이다.

바로 이것이 비록 사실이 가슴 아프더라도

언제나 까다로운 질문을 하고 사실을 말하는 것이 안전한 이유다.

-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 ‘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에서


대부분의 리더들은 낙관적인 경향이 있어

장밋빛 미래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좋은 소식은 부각되지만, 나쁜 소식은

바위가 물속에 가라앉듯 수면위로 떠오르지 않게 됩니다.

나쁜 소식이 자유롭게 소통되어야

조직이 위험에 빠지지 않게 됩니다.

나쁜 소식을 즐겨, 먼저 들을 줄 아는 리더가 되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지도자의 첫 번째 규칙을 모르는가?

모든 것이 너의 책임이다.”

- 디즈니 만화영화, ‘벅스 라이프’ 대사 중에서


책임이 나에게 있다고 생각하면

환경 탓, 남 탓을 하지 않게 됩니다.

불평불만도 사라집니다.

스스로 문제 해결에 나서게 됩니다.

주도적이 되고, 결과적으로 탁월한 성과도 뒤따라옵니다.

매사에 책임을 지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자연스레 리더의 반열에 오르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성공한 사람들은 모든 상황을 기회로 본다.

심지어 문제점과 불평불만 조차도 기회로 본다.

문제가 크면 클수록 기회 또한 커진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문제들이란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과 같은 것이다.

- 그랜트 가돈, ‘10배의 법칙’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곤란한 상황에서 손을 놓게 됩니다.

따라서 어려움이 클수록 성공의 열매도 커집니다.

문제를 기회로 보는 소수의 사람들이

성공의 과실을 독점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큰 인간은 외부의 것들과 경쟁하지 않습니다.

오직 자기 자신과 경쟁할 뿐입니다.

다른 사람보다 더 나아지겠다는 생각은 버리십시오.

다른 사람보다 내가 더 부족한지 더 나은지를 따지지 마십시오.

오직 자기 자신과만 경쟁하십시오.

어제의 나보다 오늘의 내가 더 나은지만 자세히 살피십시오.

- 최진석 교수, ‘탁월한 사유의 시선’에서

 

외부시선을 의식하는 사람은 약자입니다.

다른 사람의 눈을 의식하지도 말고,

다른 사람과 경쟁에서 이기려고도 하지 마십시오.

오직 자기를 이기려는 경주에 집중하십시오.

노자도 ‘자신을 이겨야 진짜 강자(自勝自强)’라고 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경영자가 ‘나는 경영에 따르는 위험을 완벽히 알고 있다’고 말하는 건

실패로 가는 지름길이다.

그보다 ‘우리가 성공으로 가는 길에 있을지도 모를 불확실성이

나와 직원들이 함께 나아가는 이유’라고 말하는 사람을 선호한다.

경영자가 ‘만능’이 아니라고 인정할 때 회사 역량이 100% 발휘된다.

- 전략 컨설팅회사 캡제미니사, 토드 로박 회장

 

리더가 너무 똑똑해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모든 걸 안다고 생각하면 독불장군이 되기 쉽습니다.

내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야 비로소 사람 중요한 줄 알게 되고,

사람들을 존중하고 배려하고 그들과 함께 하려고 하게 됩니다.

함께 할 줄 알아야 리더라 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어릴 적 아버지는 ‘네가 천재는 아니잖니’라는 말을 자주 하셨다.

천재란 노력하지 않고도 위대한 업적을 달성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한다면 나도 아버지도 천재가 아니다.

하지만 천재를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부단히 탁월성을 추구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면 아버지도 천재고 나도 천재다.

그리고 여러분도 부단히 노력할 마음만 있다면 천재다.

- 앤절라 더크워스, ‘그릿’에서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지 않을 때

재능은 그저 발휘되지 않는 잠재력일 뿐입니다.

남들과 다른 비상한 재주를 가진 사람이 아닌

지속적인 열정과 끈기, 즉 목표를 향해 달리고

어떤 어려움과 역경에도 포기하지 않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바로 천재라 불려야 할 사람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