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경쟁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왔다.

말 그대로 옮기면 함께 노력한다는 뜻이다.

어원에는 다른 사람을 패배시켜야 한다는 뜻이 전혀 없다.

그래서 협력이 곧 경쟁이다.

- 서핑선수 출신의 스포츠 심리학자 마이크 제바이스 (Mike Gervais)

 

다른 사람을 이기는 것이 경쟁이 아닙니다.

경쟁은 탁월성을 의미하고, 어제보다 나음을 의미합니다.

타인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내일 자신의 오늘 기량을 넘어서는 것이 경쟁입니다.

결국 경쟁하라는 말은 협력을 통해 최선을 추구하라는 말입니다.

(엔젤라 더크워스 저, ‘그릿’에서 인용)



.

반응형
반응형

열 방울 땀을 흘리면 정확히 열 방울의 발전이 이뤄진다.

노력에는 ‘복리의 법칙’이 숨어 있다.

서른 방울 땀 흘린 사람과 서른한 방울 흘린 사람,

49가지 기술을 가진 사람과 50가지를 가진 사람의

연봉이 얼마나 차이 날 것 같나.

두 배 이상이다.

단 한 번의 차이가 더블의 차이로 벌어진다.

- 이영표 (국가대표 축구선수)

 

노력이 재능을 이깁니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습니다.

이영표 선수는 말합니다.

“노력에서 오는 고통이 실패의 고통보다 견디기 훨씬 쉽다.

노력은 실패의 고통을 조금씩 미리 가져오는 것이다.

그래야 실패할 확률이 줄어든다.”

반응형
반응형

꿈이 없는 삶은 빈 껍데기입니다.

꿈은 불가능의 냄새가 강하게 나야

진정한 꿈일 가능성이 큽니다.

불가능해 보이는 것이 꿈입니다.

가능해 보이는 것은 꿈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냥 괜찮은 계획일 뿐입니다.

- 최진석 교수, ‘탁월한 사유의 시선’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그래서 꿈을 꾸거나 꿈을 가지려면 우선 무모해야 합니다.

무모함을 감당할 배짱도 없이 꿈을 꾸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결국은 용기입니다.”

달성가능성이 높은 것이 아니라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이 꿈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나는 ‘자네 생각은 어떤가? 라는 질문의 힘을 굳게 믿는다.

이 질문은 기적을 일으킨다.

사실 어쩌면 이 세 마디야말로

사업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말일지도 모른다.

- 메리어트 호텔 빌 메리어트 회장

 

질문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불러옵니다.

질문은 사람을 바꿉니다.

좋은 질문 하나가 직원을 주인으로 만듭니다. 

답은 쉽고 질문은 어렵습니다.

정답을 찾는 대신 올바른 질문을 찾는 것이 우선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살아온 하루하루가 나를 만들었듯,

앞으로 살아갈 하루하루는 나를 바꿀 수 있다.

사람의 인생도 국가의 역사도 결국은 하루의 집합이다.

인생을 바꾸는 것도 역사를 바꾸는 것도 오늘 하루의 노력뿐이다.

하루하루 우직하게 한 걸음씩 옮긴다면 바꾸지 못할 것은 없다.

- 김영죽 외 5인, ‘하루 한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일지라도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반드시 이뤄집니다. (愚公移山;우공이산)


우직한 소처럼 천천히 걸어서 만리를 갑니다. (牛步萬里;우보만리)


산을 만드는 것도 한 삼태기의 흙에서 시작됩니다. (爲山一簣;위산일궤)





.

반응형
반응형

세상에 세 가지 싸움이 있다.

그중 하나는 사람과 자연의 싸움이고,

또 하나는 사람과 사람의 싸움이며,

마지막 하나는 자신과의 싸움이다.

이중에서 가장 힘든 싸움은 자신과의 싸움이다.

- 빅토르 위고

 

진정한 승자는 다른 사람과의 경쟁이 아닌

자신과의 경쟁에서 이긴 사람입니다.

나의 유일한 경쟁자는 어제의 나여야 합니다.

어제보다는 오늘, 오늘 보다는 내일이 더 좋아질 수 있도록 하는

꾸준한 노력이 최고의 나를 만듭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