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국경없는 의사회가 파견되는 현장에서는
수혈용 혈액을 수급하는 문제로 늘 골머리를 앓았다.
수혈을 해서 사는 목숨, 혈액을 구하지 못해 죽는 목숨,
내가 예멘에 파견되었던 당시 공중폭격을 당한 일곱 살짜리
소녀가 긴급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그때 기술적으로는
성공했으나 수혈을 하지 못해서 목숨을 구하지 못했다.
나를 포함하여 그 자리에 있던 외과의사, 마취과 의사,
마취 간호사 모두가 그때의 원통함을 잊지 못한다.
출혈량이 많은 경우, 수혈의 유무가
목숨을 좌우한다.


- 시라카와 유코의《전쟁터로 가는 간호사》중에서 -


* 피(血)는 곧 생명을 뜻합니다.
피가 있으면 살고 피가 없으면 죽습니다.
특히 긴급한 상황에서 절체절명의 순간에는
절대적입니다. 그런 점에서 피를 나누는 것은
생명을 나누는 것이고, 피를 저축하는 것은
생명을 저축하는 일입니다. 수혈용 혈액이
차고 넘치는 사회가 선진사회입니다.
헌혈이 그 첫걸음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티아고 앓이  (0) 2021.07.19
조각 지식, 자투리 지식  (0) 2021.07.16
'사회적 유토피아'를 꿈꾼다  (0) 2021.07.14
하루 가장 적당한 수면 시간은?  (0) 2021.07.13
배꼽을 잡게 하는 동화  (0) 2021.07.12
반응형

제일 중요한 일 외에
몇 가지 더 해야 할 일이 있다 하더라도
세 가지 이상을 생각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일이 세 가지 이상이라는 것은
중요한 일이 하나도 없다는 말과 같다.
- 짐 콜린스, Good to Great 저자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저는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은 없고 능력은 부족하다’는 말이
실감나는 하루 하루의 연속입니다.
피터 드러커도 ‘제일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
그 다음 일은 생각하지도 말라’고 역설하고 있습니다.
바쁠수록 가장 중요한 것부터 한 가지씩 차분 차분히 풀어나가는 것이
삶의 지혜가 아닐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국 저술가이자
비평가인 레베카 솔닛은
'이 폐허를 응시하라'라는 책에서
"거대한 재난은 낡은 사회질서를 작동 불능으로
만든다. 인간은 패배자가 되는 대신 새로운 사회를
실현한다. 이것이 재난 유토피아다"라고 설명했어요.
재난은 '물리적 지옥'이지만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서로를 구조하고 서로를 보살피는 '사회적
유토피아'를 경험하게 할 수도
있다는 거예요.


- 김누리 외의《코로나 사피엔스 새로운 도약》중에서 -


* 세상은
크고 작은 재난의 연속입니다.
지금도 우리는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재난 속에
허우적거리고 있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사람 사이의 유대와 협력입니다.
서로 돕고 보살피는 마음이 사회적 시스템으로 자리 잡아
지속 가능하게 해야 합니다. 그 어떤 재난의 지옥과도 같은
상황에서도 패배자가 아닌 승리자가 되는 것이
우리가 꿈꾸는 '사회적 유토피아'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각 지식, 자투리 지식  (0) 2021.07.16
수혈용 혈액  (0) 2021.07.15
하루 가장 적당한 수면 시간은?  (0) 2021.07.13
배꼽을 잡게 하는 동화  (0) 2021.07.12
아이들의 말이 희망이 될 수 있게  (0) 2021.07.12
반응형

 

https://m.news.naver.com/covid19/index.nhn

 

코로나19 확진자 발생현황

확진자 현황 및 추이를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m.news.naver.com

 

반응형
반응형

사람에 따라 꿈에 대한 정의나 이미지가 다르겠지만,
저에게 꿈은 목표로 삼아야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꼭 되어야 할 모습이에요.
그러니까 목표가 아니라 의무죠. 꿈을 위해 산다는 건 멋진 일이에요.
나답게 자유로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꿈을 갖는 것이 중요해요.
- 테라오 겐 발뮤다 창업회장, ‘상식의 틀을 깨라’에서


“꿈이 의무가 되는 것이 오히려 마음도 편하고 즐거워요.
이런 의무는 부담스럽게 느껴지지도 않아요.
‘나라면 할 수 있다’라는 전제에 긍정적인 기운이 담겨 있기 때문이죠.
꿈이 단순히 하고 싶은 희망인 경우라면 행동이 좀처럼 따라주지 않을 수도 있지만
꼭 해야만 하는 일이 되면 저절로 행동이 따르게 되거든요.”

반응형
반응형

수면은
행복의 주된 요소이고,
다른 요소와 상호작용을 한다.
일단 하루에 일고여덟 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기 시작하면, 명상을 하고 운동을 하는 것보다
현명한 판단을 하고 자기 자신을 비롯해
다른 사람들과 깊은 교감을 나누기도
훨씬 수월해진다.


- 아리아나 허핑턴의《수면 혁명》중에서 -


* 수면 시간은
정해질 수 없습니다.
사람마다 다르고 컨디션에 따라 바뀝니다.
삶을 좀 살아온 경험에 따르면 시간보다 중요한 것이
수면의 질입니다. 얼마나 깊이 단잠, 꿀잠을 자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하루 종일 빈둥거리고 나서 단잠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그날 하루 열심히 살고,
몸과 마음을 죽어라 움직인 사람들에게
선물로 다가오는 것이 단잠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혈용 혈액  (0) 2021.07.15
'사회적 유토피아'를 꿈꾼다  (0) 2021.07.14
배꼽을 잡게 하는 동화  (0) 2021.07.12
아이들의 말이 희망이 될 수 있게  (0) 2021.07.12
즐거움도 근육이 필요해  (0) 2021.07.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