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뜻을 품고 단련하는 것

 

동양 사상에서는 칸트와 관점이 다소 다릅니다. 요즘 ‘오십에 읽는 주역’이라는 책을 읽었는데요. 주역(周易)은 은나라(기원전 16세기~11세기)에서 기원해, 주나라(기원전 11세기~기원전 256년)때 정립된 책입니다. 공자는 “50세에 주역을 배우고 나서, 더는 큰 잘못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때문에 유교에서 주역은 시경 서경 예기 춘추와 함께 오경 중 하나이고, 제일 앞에 위치합니다.
 
64괘로 이뤄진 수학
 
주역은 사실 수학적 구성이기도 합니다. 모든 만물에는 음(- -)과 양(—) 두가지 형태(효)가 있고, 이러한 효 6개가 모여 1괘가 됩니다. (태극기는 12효로 구성돼 있습니다. 주역의 영향) 괘는 세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때문에 주역에는 총 64괘(2⁶)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역은 64개의 세상의 이치를 설명한 책인데요. 핵심 원리는 역(易)! 즉 변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바뀌며, 고정된 것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인간 역시 이런 흐름에 따라 그 중심을 잡아야 합니다. 주역에서는 이상적인 인간상인 군자(君子)를 드러내는 방법으로, 삶의 길을 제시합니다.
 
"어두운 순간에 씨앗이 자란다"
 
군자는 어떻게 보면 애매한 존재입니다. 높은 지위나 신분을 가진 사람이 아닌, 도덕적으로 성숙하고, 변화 속에서 중심을 잃지 않으며, 끊임없이 자신을 수양하는 사람입니다. 때문에 세상의 이치인 괘를 잘 이해하고, 행하는 사람이 곧 군자가 됩니다. 두가지 괘만 보면 이렇습니다.
 
  • 수뢰둔(水雷屯): “지금은 막혀 있지만, 생명의 기운이 숨어 있다”
  • 천풍구(天風姤): “방심은 작은 균열에서 온다, 교만을 경계하라”
 
"가장 어두운 순간에 씨앗은 자라고, 가장 밝을 때에 그림자는 생긴다"는 교훈도 있습니다. 사실 동양 사상인 주역에서는 운과 실력을 딱 부러지게 분리하지 않습니다. 하나로 봅니다. 이를 가리켜 천인합일(天人合一)이라고 하는데요. “기회(운)는 하늘에서 오고, 준비(실력)는 사람에게 있다”라는 명제가 대표적입니다.
 
역경이 존재하는 이유

흥미로운 것은 64괘 가운데 7대3으로 ‘길’한 괘가 ‘흉’한 괘 보다 더 많다는 점입니다. 저자인 강기진님은 “왜 하늘이 100% 길한 괘(운)만을 부여하지 않았냐”고 물으면서, “대업을 위해 길흉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흉이 있어 삶이 뜻대로 되지 않고 인생이 평탄하지만 않습니다. 하지만 하늘이 역경을 손에 쥐어줘 마음이 곧은 사람만이 이길 수 있습니다.
 
우리 말에는 ‘부질없다’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부질은 '불질'입니다. 쇠붙이를 불에 시뻘겋게 달구어 망치로 두드리고, 찬물에 담가 급하게 식히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야, 비로서 제대로 된 '쇠'가 됩니다. 부질이 없다면, 쇠는 없습니다. 사람 역시 단련의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굳세지지를 못하니, 뜻을 품어봐야 부질없습니다.
 
“세상에서 참으로 좋은 것은 그 무엇이든 시련을 통한 단련을 거친다는 것이다. 찬서리를 여러 번 견디고서야 사과에 깊고 오묘한 맛이 들 듯, 세상에서 모든 진선미는 비바람에 흔들리는 일 없이 꽃을 피우는 법이 없다”는 설명입니다.
 
 
 
 
로이스 김이 말하는
체력(운)을 기르는 법
 
구글 본사 디렉터를 역임한 로이스 김님을 얼마전 다시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로이스님은 모토로라, 릴리, 구글을 거쳐 현재는 한국 제약회사의 브랜드총괄(CBO)로 일하고 있는데요. 유퀴즈에도 두 차례 출연한 인싸입니다. 세번째 에세이집인 '다정함도 체력에서 나옵니다(비즈니스북스)'를 펴낸 것을 계기로 만났는데요. 로이스님은 “일잘러의 비결은 결국 체력이다”라고 강조했어요. 그래서 로이스님 한테 이렇게 말씀드렸어요. “이건 운에 대한 책이네요!” (핵심만 추려 말씀드릴게요)

❓ 이번 주제는 체력 이야기네요.
🅰️ 직장인 100명 이상이 모인 모임에서 “요즘 가장 큰 관심사”가 뭐냐고 물었더니, 가장 먼저 나온 답이 체력이었어요. 업무 능력, 리더십, 팀워크도 중요하지만, 그 모든 기반은 결국 체력이라는 걸 느껴요. 운동을 습관처럼 하지 못하던 과거의 저를 떠올리며, 운동이 얼마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인지 공감하면서 썼습니다.

❓바쁜 직장인이신데,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 그래서 제가 만든 방법이 ‘나노 운동’과 ‘스낵 운동’이에요. 스낵 운동은 말 그대로 간식 먹듯 틈새 시간에 운동하는 거고, 나노 운동은 작고 가볍게 몸을 움직이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사무실에 팔굽혀펴기 기구를 비치해두고 화장실 갈 때마다 10~20회씩 해요.

이것만으로도 하루 80회 이상 하게 되고, 따로 시간 내지 않아도 운동이 됩니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이용, 앉을 때 무릎 붙이기 같은 아주 사소한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운동은 시간이 없어서 못 하는 게 아니라, 방식이 어려워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래도 귀찮을 것 같은데요.
🅰️ 운동을 ‘특별한 이벤트’처럼 만들지 말고, 그냥 일상 속 루틴으로 받아들이는 게 제일 중요해요. 점심시간을 이용해 식사 후 짧은 산책을 해보세요. 30분 중 15분은 식사하고, 나머지는 커피 한 잔 들고 사무실 근처를 걷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운동이에요.


알람 활용도 추천해요. 20분 여유가 있다면 10분짜리 타이머를 맞춰 먼 방향으로 걷고, 알람 울리면 돌아오는 식으로요. 운동과 영어 공부를 동시에 할 수도 있어요. 저는 영어 오디오북을 들으며 달리기를 했어요.
.
❓ 유산소만 하시다가 56세에 근력운동을 시작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 네, 저는 정말 100% 유산소 운동만 하던 사람이었어요. 근력운동은 지루하고 재미없어 보였거든요. 그런데 어느 날 책에서 “근력이 삶의 질을 결정한다”는 문장을 보고 눈이 번쩍 뜨였어요. 삶의 질이란 게 대단한 게 아니라, 비행기 선반에 짐 올리는 것, 장 본 물건을 혼자 차에 싣는 것, 원하는 관광지나 산을 내 다리로 걸어 다닐 수 있는 것이잖아요. 이걸 하고 싶어서 근력운동을 시작했고, 결과는 정말 놀라웠어요.

❓뜻을 품지 못하는 분들께 조언을 한다면?
🅰️ 목표를 못 지켰다고 해서 자책하거나 포기하지 마세요. 운동을 하다 보면 당연히 재미없고, 지루하고, 성과가 안 보일 때가 있어요. 하지만 그럴 때일수록 멈추지 말고, 그냥 계속하세요. 예를 들어, 주 5회 운동이 목표였는데 한 번밖에 못했다면, 그 ‘한 번을 해냈다는 사실’을 칭찬해 주세요. 그게 다음 주를 바꾸는 힘이 됩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mFfZNY51WCdGayr8CAIMHW07kFxkoyE
 

“성공? 운 VS 실력” 운칠기삼 원리 A to Z

[미라클레터] 미라클모닝을 하는 일잘러의 뉴스레터

stibee.com

 

반응형
반응형

 

1학년 교과서랑 친해지는 가로세로 낱말 퍼즐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2816797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 우리말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3799830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 우리말 - 예스24

말의 유래 이야기가 이렇게 재밌다니! 말 공부에 재미를 붙이고 어휘력과 문해력을 탄탄히 키울 수 있는 책 ‘부랴부랴’는 ‘불이야, 불이야’가 줄어서 생긴 말이에요. ‘단골’은 원래는 굿

www.yes24.com

 

반응형
반응형

[한자성어]衆寡不敵(중과부적)(무리 중, 적을 과, 아닐 부, 대적할 적)

● 유래: 맹자에서 유래한 성어입니다. 맹자가 제(齊)나라 선왕(宣王)을 만나 대화를 나누던 중, 선왕의 패도정치(霸道政治)에 대한 욕심을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잡는 것(緣木求魚)’에 비유한 뒤 이어서 “추(鄒)나라 사람이 초나라 사람과 전쟁을 하면 누가 이긴다고 생각합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이에 선왕은 “초나라 사람이 이길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맹자는 다시 다음과 같이 얘기했는데 여기서 중과부적(衆寡不敵)의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작은 나라는 큰 나라를 대적할 수 없으며, 적은 숫자로 많은 사람을 대적할 수 없으며(寡固不可以敵衆), 약한 나라는 강한 나라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 지금 천하에 사방 천 리나 되는 나라가 아홉인데, 제나라는 그중 하나입니다. 하나로써 여덟을 굴복하게 하려는 것이 어찌 추나라가 초나라를 대적하는 것과 다르겠습니까? 근본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제 왕께서 인정(仁政)을 베풀어 천하의 선비들이 왕의 조정에서 벼슬하기를 원하고, 천하의 농민들이 왕의 들판에서 밭 갈기를 원하며, 천하의 장사하는 사람들이 왕의 시장에서 장사하기를 원하고, 여행하는 자들이 모두 왕의 길에 나아가기를 원하게 하면 천하에 자기 왕을 미워하는 자들이 모두 왕에게 달려와서 하소연하려 할 것이니, 이와 같으면 누가 왕의 앞길을 막을 수 있겠습니까?” 이는 선왕에게 ‘왕도정치’를 하는 것이 최선임을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 생각거리: 옛날 전투에선 사람과 사람이 맞붙어 싸웠기 때문에 군사의 수가 매우 중요했습니다. ‘중과부적’이란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는 뜻으로, 도저히 어찌해 볼 수 없는 전투 상황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한민국 제22대 국회 국회의장 우원식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이다.

 


국회(國會)는 국민의 대표로 구성한 입법 기관이다. 민의(民意)를 받들어 법치 정치의 기초인 법률을 제정하며 행정부와 사법부를 감시하고 그 책임을 추궁하는 따위의 여러 가지 국가의 중요 사항을 의결하는 권한을 가진다. 단원제와 양원제가 있다.

국회라고 부르지 않는 입법기관도 있다. 대만이나 홍콩이나 마카오 등 중화권이 대표적인데, 대만에서는 입법원,[1]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입법회라 한다. 국회의원을 가리키는 말도 중화권에서는 입법위원이라고 한다. 하지만 '국회'라는 말을 아예 안 쓰지는 않는데, 표준중국어가 공용어 중 하나인 싱가포르의 입법기관의 한자 명칭은 국회이며, 대만에서도 입법원을 국회라고 하는 일이 잦다.

국회의원들이 국회의사당에 모여서 하는 회의도 국회라고 부른다. 국회가 개회되다 이런식이다.

반응형
반응형

오쿠다 히데오

 

https://namu.wiki/w/%EC%98%A4%EC%BF%A0%EB%8B%A4%20%ED%9E%88%EB%8D%B0%EC%98%A4

 

오쿠다 히데오

일본 의 소설가 . 생애 1959년 일본 기후현 기후시 에서 태어났다. 기획자, 잡지 편집자, 카피라이터,

namu.wiki

 

쉽고 간결한 문체로 인간을 유머러스하게, 때로는 잔혹할 만큼 리얼하게 그려내며, 작품마다 독특하고 매력적인 인물을 등장시켜 독자들을 매료시킨다. 주로 일본사회의 부조리나 모순을 배경삼아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단편으로는 공중그네를 비롯한 이라부 시리즈가 유명하다. 단편은 각 단편집에 제목에 어울리는 남녀 회사원(마돈나, 걸)이나 주인공이 황당한 곤란에 처하게 되는 상황(이라부 시리즈)으로 유명하다.

보통 3명 이상의 주인공이라 할만한 인물을 등장시켜 각각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어느 순간 접점을 만들어서 서로 꼬이게 만드는 전개 방식이 일품이다. <최악>, <한밤중의 행진>, <올림픽의 몸값>, <꿈의 도시>, <방해자> 등 초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장편이 이에 속한다. 단편은 별로 스토리를 꼬지 않고, 주인공 한 명의 당황스러운 상황과 유머에 초점을 맞추는 편.

독특한 스타일과 소재로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상당한 인기가 있는 작가이며, 버스나 지하철에서 읽을 때 웃음을 참느라 낄낄거리는 자신을 자주 발견할수 있는 작가이기도 하다. 이런 유머는 특히 단편과 단편의 리듬감과 유머를 유지하는 활극형식의 길지 않은 장편에서 발견할 수 있다.( <남쪽으로 튀어>, <한밤중의 행진>)

그러나 두꺼운 장편의 경우는 심각한 상황으로 가는 경우도 많다.(<최악>, <방해자>, <꿈의 도시>, <올림픽의 몸값>)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사전조사가 상당히 철저한 편이다. <최악>, <꿈의 도시>에서는 주로 도시의 하층민 혹은 저소득층들이 다수 등장하는데, 구체적인 상황이나 소득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자세하다. 하청공장이 볼트 하나 조립할 때 몇 엔 받는 것이나, 마트의 비정규직 사원의 월급을 세세히 적어놓을 정도.

자신은 플롯을 미리 잡지 않고 주인공들을 생각해놓고 마음대로 날뛰게 한다고 말한적이 있다.

플롯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성된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이용해 반자동 상태로 스토리를 이끌다보니 등장인물의 역할이나 선악 배분이 미리 정해진 플롯에 의해 억지로 좌우되지 않고 각기 중층적인 인물 상의 미묘한 밸런스를 유지하는게 일품인데다 소설로서의 흡인력도 상당하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마무리가 허술해진다는건데 '어 설마 이게 끝?' 스타일의 강제 연재 종료 식의 엔딩이 많은 편이다. 경우에 따라 이야기의 리얼리티와 핍진성을 더해주기도 하지만, 역으로 '현실을 반영하되 현실에선 쉽게 하기 힘든 경험을 묘사하는 것' 이 대부분의 창작물이 갖는 재미 요소임을 생각하면 단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 편.

특이한 이력과 관점을 가진 사람인데, 자신의 이야기를 각색하고 당대 일본의 사회문화적 흐름을 세세히 묘사하고 있는 <스무살 도쿄>를 보면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난다.[1]

장편 단편을 가리지 않고 플롯 상의 공통점을 지적하면, 웃기든 심각하든 주인공들이 점차 미묘한 곤경에 처하게 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소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 해소방식에 따라서 웃길 수도 있고, 심각할 수도 있고, 답이 없어지며 나락에 빠지기도 한다.

작품 속에 야쿠자가 나올 때가 많다. 등장인물이 야쿠자로 나오는 경우[2]도 있고, 야쿠자가 소설에 등장하는 경우는 세기 힘들 정도로 많다. 대표적으로는 꿈의 도시, 최악, 한밤중에 행진 등.

 

반응형
반응형

やはり, やっぱり(야하리, 얏파리), さすが(사스가) 

 

やはり, やっぱり(야하리, 얏파리)  : '역시'라는 뜻

 

사스가는 (긍정이든 부정이든) 예상을 뛰어넘거나 명성대로일때, 야하리는 예상대로의 결과일때 사용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