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배출도 때로는 약이 될 수 있다고 했어
여행의 맛은 먼 곳을 향한 감정의 배출이기도 하거든
여행은 틀을 깨는 힘도 있어 떠나야 하지

러시아 자작나무 숲을 거닐던 날도 그랬지
그림엽서 속에서 봤던 하얀 커튼이
바람에 휘날리는 별장의 창가에서
보내지도 않을 연서를 쓰다가
이름을 채 적기도 전에 허물어지듯 지워버리고 말았어

그곳은 한낮 고요가 깊기도 하였거든
멀리 행성을 타고 떨어져나간 쉼터였어


- 김계영의 시집《흰 공작새 무희가 되다》에 실린
  시〈여행의 안팎〉중에서 -


* '맛'으로 치면
여행의 맛을 따를 것이 또 있을까요?
코로나 때문에 그 기막힌 맛을 잃은지 오래,
바이칼, 산티아고, 북유럽, 아오모리 온천 명상 여행이
사뭇 그리워집니다. 감정 배출도 못하고 마음의 고요함도
찾지 못한 채 끙끙대며 살고 있는 것이 억울합니다.
'여행의 안팎'은 두 갈래입니다. '안'은 나를 향한
것이고, '밖'은 미지의 행성을 향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세상 공부를 하고, 쉼과 안식과
치유를 경험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선의 선택  (0) 2022.07.20
축구의 비밀  (0) 2022.07.19
마침내 너는 다시 태어난다  (0) 2022.07.18
'왜 맨발로 춤을 추세요?'  (0) 2022.07.15
생각의 수준과 깊이  (0) 2022.07.14
반응형

우리는 한 생에도
몇 번이나 다시 태어날 수 있잖아.
좌절이랑 고통이 우리에게 믿을 수 없이
새로운 정체성을 주니까. 그러므로 기다리는 중이라고
말하고 싶어. 다시 태어나려고, 더 잘 살아보려고,
너는 안간힘을 쓰고 있는지도 몰라.


- 이슬아의《너는 다시 태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중에서 -


* 어떤 순간에 맞닥뜨렸을 때,
우리는 간혹 다시 태어나는 것과 같은
깊은 깨달음을 얻습니다. 깨달음은 단번에 얻는 것이
아니라 한 계단씩 밟아간 이후에 마침내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높낮이가 다른 그 계단 중
어떤 계단도 쓸모 없지 않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구의 비밀  (0) 2022.07.19
여행의 맛, 여행의 안팎  (0) 2022.07.18
'왜 맨발로 춤을 추세요?'  (0) 2022.07.15
생각의 수준과 깊이  (0) 2022.07.14
'나는 언제부터 책을 읽는 게 재밌었을까?'  (0) 2022.07.13
반응형

 

무용가의 몸짓은
영혼의 찬란한 현현이다.
"왜 맨발로 춤을 추세요?"
어떤 여성이 궁금한 듯 물었다.
"나는 인간의 발이 지닌 아름다움을 종교처럼 믿어요."


- 이사도라 덩컨의 《영혼의 몸짓》 중에서 -


* 모든 동물이 그렇듯이
인류도 처음엔 맨발로 걸었습니다.
맨발로 걷고 맨발로 뛰고 맨발로 춤을 추었습니다.
저도 이따금 맨발로 걷기명상을 하면 괜스레 춤을
추고 싶어집니다. 자연의 몸짓, 영혼의 몸짓이
절로 나옵니다. 문명인이라 발가벗은 맨몸이
될 수는 없으니 맨발로라도 영혼의
자유를 얻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의 맛, 여행의 안팎  (0) 2022.07.18
마침내 너는 다시 태어난다  (0) 2022.07.18
생각의 수준과 깊이  (0) 2022.07.14
'나는 언제부터 책을 읽는 게 재밌었을까?'  (0) 2022.07.13
퇴직 이후의 삶  (0) 2022.07.12
반응형

마음의 활동이
곧 생각이다. 우리가
항상 활동하는 것은 우리가
항상 생각하기 때문이다. 매 순간
우리는 사물을 끌어당기거나 밀쳐낸다.
맨 먼저 깨달은 사실은 모든 생각이 어떠한
예외도 없이 현실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지금 하는 생각이
현실을 창조할 생각인지 아닌지
무슨 수로 알겠는가?


- 어니스트 홈즈의《마음과 성공》중에서 -


* 사람은 생각하는 동물입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생각의 수준과 깊이가
다릅니다. 생각없이 마음을 정하고, 생각없이
말하고, 생각없이 행동하면 그 개인의 인생은 물론
그가 속한 주변도 잘못되고 맙니다. 생각의 수준과
깊이는 틀을 깨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고정관념의
틀을 깨고 나와야 본인도 예상 못했던 놀라운
생각이 섬광처럼 솟구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아홉살 독서 수업'을 쓴
한미화 작가는 사람들을 만나면
"언제부터 책을 읽는 게 재미있었어요?"라는
질문을 했다고 한다. 나에게도 이렇게 질문해보았다.
"나는 언제부터 책을 읽는 게 재밌었을까?" 그런데
어느 날, '명탐정 호움즈'라는 책을 만났다.
그리고 이어서 '괴도 루팡'도 읽었다.


- 조아라의《암 수술한 내가 꼭 알았어야 할 꿀잠 수면법》중에서 -


* 책읽기는
간접 경험의 위대한 통로입니다.
한 살이라도 어렸을 때 이 통로를 즐겁게
재미있게 통과해야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못한
넓은 세계를 통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이들의
책읽는 시간이 갈수록 줄고 있는 현상을 보면서
아쉬움이 크지만, 그 원인은 어른에 있습니다.
부모가 책 읽는 것을 재미있어 해야
자녀들도 책읽기를 좋아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맨발로 춤을 추세요?'  (0) 2022.07.15
생각의 수준과 깊이  (0) 2022.07.14
퇴직 이후의 삶  (0) 2022.07.12
'공보다 사람부터 챙겨라'  (0) 2022.07.11
중년의 사색에 대하여  (0) 2022.07.11
반응형

퇴직 이후의
삶은 얼마나 자유로운가!
나만의 시간을, 나만의 자유를 마음대로
누릴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우리는 그 자유를
마음껏 누릴 수 있는데도 막연함과 불안감에
사로잡히는 것이다. 왜 그럴까?
막상 퇴직하면 하고 싶던 일과
소일거리조차 생각나지 않아
고민한다.


- 이종욱의《노후맑음》중에서 -


* 장수 시대,
퇴직 이후 삶의 시간이 길어졌습니다.
직업 전선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었지만
그 자유를 지탱할 만한 여건이 되어 있는지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따라서 퇴직 전에 버킷 리스트를  
준비해야 합니다.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었던 것,
그것을 준비하고 실행에 옮기기에도 시간이
부족합니다. 건강은 최우선의 조건이고
그 다음은 약간의 경제적 자유입니다.
이 또한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의 수준과 깊이  (0) 2022.07.14
'나는 언제부터 책을 읽는 게 재밌었을까?'  (0) 2022.07.13
'공보다 사람부터 챙겨라'  (0) 2022.07.11
중년의 사색에 대하여  (0) 2022.07.11
개인적인 절망감  (0) 2022.07.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