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canonical" 링크 요소를 사용하여 모든 중복 페이지를 표시합니다. 다음과 같이 rel="canonical" 속성이 포함된 요소를 중복 페이지의 섹션에 추가하여 표준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합니다. https://example.com/dresses/green-dresses" /> 표준 페이지에 모바일 변형 페이지가 있는 경우 rel="alternate" 링크를 추가하여 페이지의 모바일 버전으로 연결되도록 합니다. http://m.example.com/dresses/green-dresses"> 페이지에 적합한 hreflang 또는 다른 리디렉션을 추가합니다. rel="canonical" 링크 요소에는 상대 경로보다는 절대 경로를 사용하세요. 권장되는 구조: https://www.example.com/dresses/green/greendresss.html 권장되지 않는 구조: /dresses/green/greendress.html
요약
rel="canonical" 및 rel="alternate" 요소로<link>태그를 지정하여 두 URL 간의 관계를 알립니다.
사용자 에이전트 문자열을 감지하고 적절하게 리디렉션합니다.
데스크톱과 모바일 URL의 사이트설정
Google 알고리즘이 별도 모바일 URL을 이해하도록 하려면 다음 사이트설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데스크톱 페이지에 해당 모바일 URL을 가리키는 특별한 link rel=”alternate” 태그를 추가합니다. 이렇게 하면 Googlebot이 사이트의 모바일 페이지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페이지에 해당 데스크톱 URL을 가리키는 link rel=”canonical” 태그를 추가합니다.
실행이 되지 않을 뿐더러... 컴파일도 되지 않는 상황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이경우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작업중인 문제의 프로젝트를 다시 빌드해볼 필요가 있다.
다음은 Package Explorer에서 수행할 수 있다. (혼선을 피하기 위해 메인메뉴의 사용 설명은 배제한다)
[1] 프로젝트 -> Run As -> Maven Clean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Maven Clean"을 호출한다. 결과는 target폴더 아래에 기존의 작업결과로 작성된 모든 컴파일 및 빌드정보들을 삭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프로젝트 -> Maven -> Update Project Configuration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Maven"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Update Project Configuration"을 호출한다. 망가진 프로젝트에 대해서 POM.xml에서 정의한 바대로 컴파일러, 빌드패스 등 플러그인의 환경설정을 다시 적용한다.
[3] 프로젝트 -> Maven -> Update Dependencies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Maven"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Update Dependencies"을 호출한다. 사용자가 작업중인 프로젝트에 대해서 사용중인 라이브러리(종속 라이브러리)를 점검하여 누락되거나 버전이 맞지 않는 경우 등을 점검한 후 Maven Repository를 새롭게 갱신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정상적인지 점검한 후, 바로 잡는 것이다. 위 설명은 메이븐의 구버전인 경우에 해당한다. 신 버전인 경우에는 위 메뉴(Update Dependencies)가 존재하지 않는다. 아마도 "Update Project Configuration"만 수행해도 종속 라이브러리들을 갱신/관리하는듯하다.
[4] 프로젝트 -> Run As -> Maven install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Maven Install"을 호출한다.개발중인 프로젝트에 메이븐을 설치(적용)한다.이때,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컴파일하고 배포를 위한 WAR파일까지 생성해 둔다.여기까지만 해도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컴파일 및 실행이 되기도 한다.
[5] 프로젝트 -> Run As -> Maven Build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Maven Build"을 호출한다. 프로젝트 환경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Maven으로 프로젝트를 다시한번 빌드하는 것이다.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간혹 수행해야할 때도 있다.
[6] 프로젝트 -> Run As -> Run on Server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Run on Server"을 호출한다.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물론, 위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방법으로 실행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