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jQuery - URL add Hash, get HashjQuery - URL add Hash, get Hash

var url = $(location).attr("href");

url.substring(url.indexOf('#'));

window.location="#222" 

반응형
반응형

rel="canonical" 링크 태그 사용
페이지 헤더에  태그를 사용하여 페이지가 다른 페이지의 중복 페이지라고 밝힐 수 있습니다.

다양한 URL로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지만 https://example.com/dresses/green-dresses를 표준 URL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 다음 단계를 사용해 이 URL이 표준 URL임을 나타내세요.

rel="canonical" 링크 요소를 사용하여 모든 중복 페이지를 표시합니다. 
다음과 같이 rel="canonical" 속성이 포함된  요소를 중복 페이지의  섹션에 추가하여 표준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합니다.
https://example.com/dresses/green-dresses" /> 표준 페이지에 모바일 변형 페이지가 있는 경우 rel="alternate" 링크를 추가하여 페이지의 모바일 버전으로 연결되도록 합니다.
http://m.example.com/dresses/green-dresses"> 페이지에 적합한 hreflang 또는 다른 리디렉션을 추가합니다. rel="canonical" 링크 요소에는 상대 경로보다는 절대 경로를 사용하세요.
권장되는 구조:  https://www.example.com/dresses/green/greendresss.html
권장되지 않는 구조: /dresses/green/greendress.html​

요약

  • rel="canonical" 및 rel="alternate" 요소로 <link> 태그를 지정하여 두 URL 간의 관계를 알립니다.

  • 사용자 에이전트 문자열을 감지하고 적절하게 리디렉션합니다.

데스크톱과 모바일 URL의 사이트설정

Google 알고리즘이 별도 모바일 URL을 이해하도록 하려면 다음 사이트설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데스크톱 페이지에 해당 모바일 URL을 가리키는 특별한 link rel=”alternate” 태그를 추가합니다. 이렇게 하면 Googlebot이 사이트의 모바일 페이지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2. 모바일 페이지에 해당 데스크톱 URL을 가리키는 link rel=”canonical” 태그를 추가합니다.

Google에서는 이 사이트설정을 페이지 자체의 HTML에 포함하거나 사이트맵에 포함하는 등 2가지 방식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데스크톱 URL이 http://example.com/page-1이고 해당하는 모바일 URL이 http://m.example.com/page-1이면 사이트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HTML에서 사이트설정

데스크톱 페이지(http://www.example.com/page-1)에 다음을 추가하고

 

<link rel="alternate" media="only screen and (max-width: 640px)"
 
href="http://m.example.com/page-1">

모바일 페이지(http://m.example.com/page-1)의 필수 사이트설정을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www.example.com/page-1">

모바일 URL에서 데스크톱 페이지를 가리키는 rel="canonical" 태그는 필수입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mobile-sites/mobile-seo/separate-urls?hl=ko

 

별도 URL  |  검색  |  Google Developers

이 설정에서는 각 데스크톱 URL에 모바일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게재하는 관련 URL이 별도로 존재합니다. 일반적인 설정의 경우 데스크톱 사용자에게 게재되는 www.example.com의 페이지와 상응하는 페이지인 m.example.com에서 모바일 사용자에게 게재됩니다. Google에서는 Googlebot 사용자 에이전트가 액세스만 할 수 있다면 특정 URL을 더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별도의 모바일 URL은 다른 URL에서 다른 코드를 데스크톱과 휴대기기

developers.google.com

 

반응형
반응형

실행이 되지 않을 뿐더러... 컴파일도 되지 않는 상황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이경우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작업중인 문제의 프로젝트를 다시 빌드해볼 필요가 있다.

다음은 Package Explorer에서 수행할 수 있다. (혼선을 피하기 위해 메인메뉴의 사용 설명은 배제한다)

[1] 프로젝트 -> Run As -> Maven Clean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Maven Clean"을 호출한다.
결과는 target폴더 아래에 기존의 작업결과로 작성된 모든 컴파일 및 빌드정보들을 삭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프로젝트 -> Maven -> Update Project Configuration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Maven"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Update Project Configuration"을 호출한다.
망가진 프로젝트에 대해서 POM.xml에서 정의한 바대로 컴파일러, 빌드패스 등 플러그인의 환경설정을 다시 적용한다.

[3] 프로젝트 -> Maven -> Update Dependencies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Maven"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Update Dependencies"을 호출한다.
사용자가 작업중인 프로젝트에 대해서 사용중인 라이브러리(종속 라이브러리)를 점검하여 누락되거나 버전이 맞지 않는 경우 등을 점검한 후 Maven Repository를 새롭게 갱신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정상적인지 점검한 후, 바로 잡는 것이다.
위 설명은 메이븐의 구버전인 경우에 해당한다. 신 버전인 경우에는 위 메뉴(Update Dependencies)가 존재하지 않는다. 아마도 "Update Project Configuration"만 수행해도 종속 라이브러리들을 갱신/관리하는듯하다.

[4] 프로젝트 -> Run As -> Maven install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Maven Install"을 호출한다.개발중인 프로젝트에 메이븐을 설치(적용)한다.이때,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컴파일하고 배포를 위한 WAR파일까지 생성해 둔다.여기까지만 해도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컴파일 및 실행이 되기도 한다.

[5] 프로젝트 -> Run As -> Maven Build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Maven Build"을 호출한다.
프로젝트 환경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Maven으로 프로젝트를 다시한번 빌드하는 것이다.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간혹 수행해야할 때도 있다.

[6] 프로젝트 -> Run As -> Run on Server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팝업메뉴를 호출한다음 "Run As"메뉴를 선택한 후, 하위메뉴의 "Run on Server"을 호출한다.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물론, 위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방법으로 실행해도 된다.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XrpC&articleno=160

 

[egov/전자정부/spring] 전자정부프레임워크에서 난처한 오류 발생.. 두번째

[사담] 오랫만에 글을 공개하는 군요. 그간 꾸준히 찾아주시는 미래의 영웅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만한 글을 남기고 싶었는데... 시간이.. 마음의 여유가... 허락치 않았습니다. 조급함

blog.daum.net

 

반응형
반응형

메이븐 플러그 오류(maven-resources-plugin 2.6) 

이클립스를 닫고 

D:\developmentOKH\apache-maven-3.5.0\repository\org\apache\maven\plugins 하위에 모든플러그 폴더를 삭제한 후
OSX = /Users/${USER}/.m2/repository/org/apache/maven/plugin   

프로젝트 우클릭 Maven->Update Project

 

반응형
반응형

log4j2.xml 에서 로그파일 저장, 년도/월별 폴더 생성 후 그 아래에 로그파일 일자시간별 생성 저장.

    <Appenders>
        <Console name="console" target="SYSTEM_OUT">
            <PatternLayout pattern="%d %5p [%c] %m%n" />
        </Console>
        <RollingFile name="file" fileName="./logs/file/all.log" 
                   filePattern="./logs/file/$${date:yyyy}/$${date:MM}/all_%d{yyyyMMddHH}.log">
                <PatternLayout pattern="%d{HH:mm:ss.SSS} [%t] %-5level %logger{36} - %msg%n"/>
                <Policies>
                        <TimeBasedTriggeringPolicy /><!-- Rotated everyday -->
                </Policies>
        </RollingFile>
    </Appenders>

 

<Loggers> 에서 <AppenderRef ref="file" > 이어야 파일로 저장. 

    <Loggers> 
       
        <Logger name="java.sql" level="off"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
        </Logger>
        <Logger name="egovframework" level="ERROR"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
            <AppenderRef ref="file"/> 
        </Logger>
        <Logger name="org.springframework" level="DEBUG"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 
            <AppenderRef ref="file"/> 
        </Logger>


        <Logger name="jdbc.sqltiming" level="off"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
        </Logger>
        <Logger name="jdbc.resultsettable" level="off"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Logger>
        <Logger name="jdbc.sqlonly" level="info" additivity="false"> <!-- info / ERROR / DEBUG / off -->
            <AppenderRef ref="console"/>
        </Logger>

        <Root level="ERROR">
            <AppenderRef ref="console" />
        </Root>
    </Loggers>

 

반응형
반응형

iTerms2 theme 변경하기. 테마 변경하기

https://github.com/mbadolato/iTerm2-Color-Schemes  테마를 다운받는다. 

 

mbadolato/iTerm2-Color-Schemes

Over 200 terminal color schemes/themes for iTerm/iTerm2 (with ports to Terminal, Konsole, PuTTY, Xresources, XRDB, Remina, Termite, XFCE, Tilda, FreeBSD VT, Terminator, Kitty, and MobaXterm) - mbad...

github.com

 

Via iTerm preferences

  • Launch iTerm 2. Get the latest version at iterm2.com
  • Click on iTerm2 menu title
  • Select Preferences... option
  • Select Profiles
  • Navigate to Colors tab
  • Click on Color Presets
  • Click on Import
  • Select the .itermcolors file(s) of the schemes you'd like to use  *** 다운받은 폴더 중 scheme 폴더에서 테마를 선택해야 한다.  ***
  • Click on Color Presets and choose a color schem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