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애자일은 대형 프로젝트에서 안돼”



스크럼, XP, 린 S/W 개발 등은 7~9명 단위의 작은 팀을 기반으로 설명되어 있었고, 이 인원으로 최고의 생산성과 품질을 낼 수 있다 라고 언급하였다. 그나마 스크럼 프로세스 정도가 여러 스크럼 팀으로 확장 될 때 작은 팀들을 여러개 만들고 이를 스크럼의 스크럼이라는 형태의 회의로 이슈를 해결하면 된다라는 확장에 대한 고민을 담았다.

하지만 심지어 스크럼 조차도 개발 외에 요구사항을 받는 방법이라던지, 릴리즈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언급은 없었기 때문에,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서 적용하는데는 제약이 있다는 생각들이 많았다.
그 때문이었을까… 십년 이상동안 대형 프로젝트에서 애자일을 활용하는 극복의 과정은 꽤나 고통스러웠다.

작은 팀 위주에 초점을 맞추던 기존의 프랙티스에서 벗어나 대형 프로젝트에 맞게 일부 변경된 시도를 하던 사람들에게는 많은 비난이 쏟아졌다.이전의 오리진(Origin)을 버리는 것이라 비난하는 이도 많았고 조금이라도 문서화에 초점을 맞추면 “이건 애자일이 아냐” 라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무늬만 애자일”, “하이브리드”, “미니워터폴” 등 다양한 용어들로 변형된 프로세스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하지만,이에 대한 변화는 결국 시장이 주도하게 되는데, 기존 프로세스에 대한 불만과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시장의 흐름에 따라, 애자일의 확산 니즈는 점점 커졌다. 이와 함께 애자일 또한 일반화/정형화/대중화 되기 위한 움직임들이 나타났다.

그리고 다양한 조직의 더 많은 사람들이 애자일 방식을 기반으로 한 나름대로의 프로세스를 만들어 나갔다.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며 현실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것이다.

이의 대표적인 프로세스가 DaD(Disciplined Agile development), SAFe(Scaled Agile framework), LeSS(Large Scaled Scrum) 등이다. 심지어 SAFe는 미국 정부를 비롯하여 애자일을 하는 회사의 50%이상이 활용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애자일 프로세스이다.



<SAFe(Scaled Agile Framework):150명 이상의 Portfolio 관리가 필요한 대형 애자일 방식>




<LESS(Large Scaled Scrum): MAX 80명 애자일 조직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대형 스크럼방식>




이러한 프로세스는 기존의 도그마(Dogma: 독단적인 학설, 이성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가설)라고 이야기 되던 순수 애자일 추구에서 벗어나 현실속에서 기존 문화와 다양한 프랙티스들을 섞는 것을 시도하는 내용들이 담겨 있었다. 시장 상황, 이해관계자들의 일해오던 방식 등을 일부 존중하면서, 애자일 방식을 통해 가치를 얻을 수 있는 중간 단계의 무엇인가를 찾는 노력들이 있었다.


이에, 디지안 씽킹으로 대표되는 디자인 방식의 변화, 린스타트업으로 대표되는 스타트업 바람이 더해져 바탕으로 이제는 소프트웨어 회사의 94%이상이 본인들은 애자일을 하는 회사라 말하고 있다.




<버젼원의 리포트2016: 애자일을 수행하는 회사가 94%라는 설문 결과>


전체적으로 스펙트럼이 소/중/대형을 넘나드는 애자일 방식들이 생겨나게 된 내용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다.


그렇다면 과거의 소규모를 향한 애자일과 중/대형 사업의 애자일과의 구체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현실과 맞물린 일하는 방법이란 과연 무엇일까?


이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려면 2001년의 애자일 선언을 가지고 이야기 하면 좋다.



과거 작은 팀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애자일 방식은 오른쪽 노란색 부분은 마치 금기처럼 무시하려는 분위기가 강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오른쪽에 접근하는 것을 경계했다.


하지만 현실과 맞물리며 대형 프로젝트 같은 경우, 왼쪽보다는 확실히 덜 중요하나 오른쪽 부분 또한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발전되어 갔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대규모 프로젝트(50명 이상)에서 개인과 상호작용만 강조하면, 두 개이상의 팀이 되었을 때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힘들다 때문에 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에만 집중하면 팀 내에서는 진행상황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으나 두 개이상의 팀이 되었을 때 서로의 진행사항을 확인하기 어렵다. 애자일팀들이 아주 쉽게 말하는 “우리팀에 와서 언제든 제품을 보세요” 라는 말은 2팀 이상을 봐야 하는 관리자에게는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대화가 될 수도 있다. 때문에 적당한 문서화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3. 고객과의 협업만 강조하면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모두 포용하지 못할 수 있다. 때문에 계약과 협상 을 통해 전체 이해관계자와 동일한 비전/생각을 갖으며 일을 해야 한다.


4. 상황에 따라 변화를 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주변 팀에 이야기 하지 않으면 두 팀 이상이 될 경우 의존관계를 무시하게 되여 고객의 비즈니스 가치를 늦게 딜리버리하는 상황을 만날 수 있다.

혹시나 대형 프로젝트, 대규모 조직에서 애자일을 적용하다 현실의 벽에 부딪혀 고민하고 있는 독자가 있었다면 위 이야기를 듣고 반가운 생각이 들 수 있다.


하지만, 다시한번 강조하여 이야기 하고 싶다. 개인과 상호작용,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고객과의 협업, 상황의 따른 변화가 여전히 더 중요하다. 그래야 애자일 방식이다.



...

반응형
반응형

[javascript] 요즘 웹페이지에서 영상 플레이시 스크롤이 플레이어를 지나가면 레이어팝업으로 따라가는 스크립트. 


페이스북에서도 영상 플레이하면 스크롤 되었을때 좌측 상단에 레이어로 따라오더라. 

JTBC 뉴스 페이지에서 그렇게 나오길래 보니 jwPlayer를 사용하고 있다. 




jQuery로 적용되어있다. document.ready 에서 window.on('scroll',fun~~~  로 스크롤시 고정 플레이어의 위치를 확인해서 플레이어의 top을 벗어나면 플레이어 사이즈를 변경하고 우측 하단에 bottom 100px, right 50px 주고 fixed 하는 것으로 되어있네. 멋짐. ㅎㅎ 


영상을 보면서 들으면 지문을 읽을 수 있어서 좋다. 








...

반응형
반응형

[AWS] lambda와 EC2/ECS 비교




 Amazon EC2/ECS 

 AWS Lambda

  • 시간단위 리소스 대여
  • 유연한 인프라 설계 (OS/타입)
  • 장애에 대한 고려 필요
  • 인스턴스 추가를 통한 확장
  • 모든 코드 및 언어로 개발 가능
  • 서버 관리 부담 있음
  • 이벤트 요청에 따라서 사용
  • OS/타입 등 인프라 고려 필요 없음
  • AWS 기반 무장애 시스템
  • 요청량에 따라 확장
  • Node.js 및 자바 코드로 함수 구현
  • 서버 관리 부담 없음


SSH를 사용하여 Linux 인스턴스에 연결

http://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AccessingInstancesLinux.html



...

반응형
반응형

[Mac] Mac 끼리 파일 전송할때 


AirDrop


사용방법


1. Finder에서 Command+Shift+R을 눌러서 AirDrop 화면을 불러옵니다.

2. 잠시후, Finder화면에서 근처의 다른 Mac이 나타나면, 전송을 원하는 파일을 Drag & Drop으로 다른 맥의 아이콘위에 떨궈놓습니다.

3. 전송 및 수신 컴퓨터에 확인메세지를 수락합니다.



Airdrop은 두 맥 사이에 파일을 전송/수신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하지만 최신모델만 기본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 버젼의 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아래의 방법으로 Airdrop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출처: OS S Daily.com)


터미널에서 defaults write com.apple.NetworkBrowser BrowseAllInterfaces 1  을 입력하고,

  killall Finder  를 입력하여 Finder를 재시작하거나, 컴퓨터를 재부팅 해줍니다.


위의 터미널 명령어를 입력함으로써, 기본적으로 AirDrop을 지원하지 않는 구 버젼의 맥과, 무선인터넷 카드가 없는 데스크탑도 동일 네트워크 상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AirDrop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전송/수신 컴퓨터 두대 모두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야 합니다.

다시 해제 하고 싶으시면 제일 뒤의 숫자 '1'을 '0'으로 바꿔서 터미널 명령을 입력하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데브옵스(DevOps)는 소프트웨어의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s)의 합성어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정보기술 전문가 간의 소통, 협업 및 통합을 강조하는 개발 환경이나 문화를 말한다. 데브옵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조직과 운영조직간의 상호 의존적 대응이며 조직이 소프트웨어 제품과 서비스를 빠른 시간에 개발 및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브옵스의 목적은 전반적인 배포 파이프라인에 걸쳐있다. 

여기에는 개선된 배치(deployment) 주기를 포함하며 다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더 빠른 타임 투 마켓
  • 새로운 릴리스의 더 낮은 실패율
  • 픽스 간 짧아진 리드 타임(상품 생산 시작부터 완성까지 걸리는 시간)
  • 복구 시 더 빠른 평균 시간 (새로운 릴리스의 충돌 및 그 밖에 현재의 시스템를 비활성화하는 상황에서)

단순한 프로세스들은 데브옵스 접근을 사용하여 더 프로그래밍 가능하게되고 유동적으로 되고 있다.데브옵스는 운영 프로세스의 예측 가능성, 효율성, 보안, 유지보수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 가끔씩 자동화가 이러한 목표를 지원한다.



...

반응형
반응형

[AWS] AWS 온라인 세미나 & 무료 온라인 실습 하기


http://bit.ly/awskr-webinar



무료 온라인 실습 하기


https://qwiklab.com/catalog?locale=en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