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네이버·라인,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 공개  http://www.bloter.net/archives/273017


Clova clova.ai 공식 통합형 인공지능 플랫폼 Clova

 

네이버와 라인이 인공지능 플랫폼 확장을 위해 힘을 합친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주식회사 대표는 3월1일(현지시간)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 기조연설에서 양사 합작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를 공개했다. 클로바(Clova)는 ‘CLOud Virtual Assistant’의 약자로, 음성인식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의미한다.


클로바는 ‘프로젝트J’에서 내놓은 서비스다. 프로젝트J는 네이버랩스와 라인의 인공지능 연구소가 공동 연구개발을 하기 위해 꾸려졌다. 이번에 공개한 클로바는 프로젝트J가 네이버 음성인식 인공지능 플랫폼 ‘아미카’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내놓은 것이다. 네이버는 지난 1월26일 진행된 2016년 4분기 컨퍼런스콜에서 “프로젝트J의 기본적인 구상과 개발 방향은 24시간 언제나 사용자와 함께하는 인공지능 가상비서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앞으로 클로바를 양사 단일 서비스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비스 총괄 역시 프로젝트J를 총괄한 신중호 라인CGO(글로벌경영총괄)가 이어간다. 이번 합작은 양사 인공지능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염두한 것으로 보인다.


클로바는 인간의 오감을 활용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간이 오감을 활용하는 것처럼, 인공지능도 결국 인간의 오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인식에 기반했다. 기존 아미카가 주로 음성인식 서비스를 했던 것에서 나아가 다양한 감각을 인지하는 것으로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클로바는 ▲인간의 오감에 해당하는 ‘클로바 인터페이스’▲인간 두뇌에 해당하는 ‘클로바 브레인’▲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클로바 인터페이스 커넥트’▲콘텐츠·서비스 연결로 ‘클로바 브레인’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클로바 익스텐션 키트’ 등으로 구성된다.


클로바 브레인은 인공신경망 기계번역(NMT)와 자연어처리 등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 아미카가 음성 언어 이해, 대화관리, 응답 생성의 단계로 기술을 구사했다면, 클로바 브레인은 클로바 인터페이스로 인지된 상황을 자동 분석하고 이에 맞는 결과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네이버와 라인은 올 여름 클로바가 탑재된 자체 스마트폰 앱 출시를 시작으로 AI 스피커 ‘웨이브’ 등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소니, 다카라 토미, 윈클 등 각 분야별 전문기업과 파트너십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협의 사항은 없으며 앞으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블로터>와 통화에서 “오늘 발표는 기존에 연구하던 AI플랫폼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클로바의 명칭을 공개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성을 얘기하기 위함”이라며 “자세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추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구글, 기업용 영상회의 서비스 ‘미트’ 출시













.



반응형
반응형


https://ifttt.com/




iTunes : https://itunes.apple.com/us/app/ifttt/id660944635?mt=8


Google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ifttt.ifttt&hl=ko



Applets bring your favorite services together to create new experiences.


Over 360 apps work with IFTTT including Twitter, Google Drive, Weather, Instagram, Email, and devices like Amazon Alexa, Nest, Philips Hue, and your iPhone.


Applets 는 좋아하는 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IFTTT는 Twitter, Google Drive, Weather, Instagram 등 360개가 넘는 앱과 이메일, 그리고 Amazon Alexa, Nest, Philips Hue, Android 등의 기기와 호환됩니다.


간단한 스위치로 Applets를 켜세요.

• 음성과 Amazon Alexa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컨트롤

• The New York Times와 ESPN 같은 매체의 최신 소식을 지속적으로 받기

• 매일 아침 기상 예보 알림 수신

• 슈퍼 근처에 있을 때, 룸메이트에게 메시지 보내기

• 지능적인 자동화 가정 보안 경보로 보안 유지

• 소셜 미디어 최적화

• 모바일 기기의 모든 스크린샷을 특정 앨범에 저장

• 중요한 파일, 사진, 연락처를 Dropbox나 Google Drive 등 클라우드 서비스에 백업 

• 집에 도착할 때, 온도 조절 장치를 최적의 온도로 설정

• 모든 Instagrams를 Twitter 사진이나 Pinterest 핀으로 게시

• 현재 위치에 따라 이벤트 수행

• 이밖에 수천 가지의 응용 사례가 있습니다!


매주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인기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Spotify, YouTube, Google Calendar, Tumblr, Medium, Pocket, Square, Ebay, Giphy, Automatic, LIFX, Fitbit, Withings, littleBits, OnHub by Google, Evernote, Reddit, Digg, Skype, Slack, LINE, MailChimp, Salesforce, Todoist, 외 수백 가지 서비스. 


큐레이트된 컬렉션을 탐색하여 다음 대상을 위한 Applets를 찾으세요.

• 집, 사무실, 자동차

• Android

• 우주 탐험

• 소셜 미디어 사용 방법 개선


좋아하는 서비스로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하세요. ifttt.com/discover에서 Applets의 강력한 기능을 확인하세요



.

반응형
반응형

편리한 주문 시스템, O2O서비스 / YTN 사이언스


챗봇으로 만든 대화형 커머스 '톡 주문'  http://blog.lgcns.com/1142



What is O2O?






반응형
반응형

넷플릭스 사전엔 버퍼링이란 없다


"넷플릭스는 (모뎀 시절)다이얼톤 처럼 버퍼링을 유물로 만들겠다."


헤이스팅스 CEO "모든 기기서 바로 볼 수 있도록 하겠다"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최고경영자(CEO)는 27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Mobile World Congress)에서 기조연설을 하며 넷플릭스의 목표는 모든 기기에서 바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헤이스팅스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모뎀으로 통신에 연결하던 시절에 울렸던 다이얼톤을 언급하며 버퍼링을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 서버나 코덱, 콘텐츠 전달 메커니즘에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넷플릭스는 DVD 대여 서비스로 시작해 2007년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업체로 변신했다. 지난해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하며 190개 나라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전세계 9천300만명이 넷플릭스 가입자이며, 이들 중 대부분이 스마트폰으로 넷플릭스를 이용하고 있다. 미디어기업 CEO가 MWC에서 처음으로 기조연설을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헤이스팅스는 "많은 회사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속도는 느려지고 있다"며

 "넷플릭스는 코덱에 투자해 300Mbps(초당 메가비트) 속도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신사업자와 협력을 통해 속도를 높여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길 희망한다며, 200Mbps 속도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콘텐츠 확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헤이스팅스는 "1억명에 달하는 글로벌 가입자가 있기 때문에 플랫폼이 더 커질 수 있다"며 "서비스 초반에는 대부분 헐리우드 콘텐츠뿐이었다"며 "지금은 터키나 일본, 한국 등과 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마존과 애플 등과의 경쟁에 대한 질문에 헤이스팅스는 "그 기업들은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회사"라고 말하며 "앞으로 인터넷을 통해 모든 동영상이 제공될 예정이며, 넷플릭스는 그 중 하나다"라고 대답했다.



원문보기: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228074134

반응형
반응형

구글이 제시한 '관리자의 자격'



2002년 무렵 구글에는 관리자가 없었다. 당시의 구글은 개발자에 의한, 개발자를 위한, 개발자의 회사였다. 그들은 철저히 개발자 중심 문화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관리자가 필요없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코드를 생산하는 개발자 중심 문화에서 관리자는 잘하면 필요악, 그렇지 않으면 개발자에게 기생하는 부차적 존재로 취급되었을 것이다.

개발자 중심의 문화는 구글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2002년에 국한되는 이야기도 아니다. 지금도 미국에서는 코딩 실력이 좋은 개발자가 관리자가 되기를 거부하거나 마음속으로 관리자의 업무를 불필요하게 생각하는 일이 드물지 않다. 지위가 올라가도 코드를 생산하지 않으면 부차적 존재라는 자괴심을 느낄 수밖에 없는 문화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관리자들은 기술로부터 멀어지지 않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기울인다. 최근 칼럼에서 언급한 개발자 무정부주의(developer anarchy)는 이런 개발자 중심 철학과 문화의 연장선에 놓여있다.

관리자의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은 구글은 2008년에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관리자 무용론을 실제로 증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걸 증명까지 해야할까 싶지만, 아벨 아브람이 최근 인포큐에 기고한 글에 의하면 구글의 연구는 기대했던 것과 반대의 결론을 도출했다고 한다. 관리자가 쓸모없는 존재가 아니라 팀의 생산성을 담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뜻밖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아벨 아브람 기고 원문 바로가기]


팀에 마이너스가 되는 엉터리 관리자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팀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좋은 관리자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것은 우리의 상식이나 경험에 비추어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럼 팀에 도움이 되는 좋은 관리자는 어떤 사람인가? 


* 구글의 연구팀은 좋은 관리자가 가져야 하는 8가지 덕목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1. 좋은 코치(coaches)다.


2. 팀에게 권한을 양도하며 마이크로매니지를 하지 않는다.


3. 팀원의 성공에 관심을 표명하며 개인적 삶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4. 생산적이며 결과를 중심으로 사고한다.


5. 훌륭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지고 있다.


6. 팀원들이 경력을 키워나가도록 도움을 준다.


7. 팀을 위한 명확한 비전을 가지고 있다.


8. 팀에게 조언을 해주기에 충분한 기술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다.


좋은 코치는 스스로 뛰는 사람이 아니라, 선수가 원하는 포지션에서 마음껏 뛰게 해주는 사람이다. 기술 관리자(technical manager) 중에는 자신의 기술적 역량과 판단을 팀원의 것보다 우위에 놓고 시시콜콜하게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 있다. 이런 태도는 다음 항목인 마이크로매니지와 연결된다. 팀원이 아니라 자신의 기술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팀원을 스스로 생각하는 창의적인 개발자가 아니라 자신의 명령을 오차없이 수행하는 병사로 취급한다. 이런 관리자 아래에서 일하는 개발자가 건강한 동기부여를 가질 리 없다.


■ 진정한 개발자 세계에서 관리자는 '상관'이 아니다

사소한 부분을 일일이 간섭하고 통제하는 마이크로매니지는 관리자의 그릇과 연결된 문제다. 넷플릭스는 이걸 “통제(control)가 아니라 문맥(context)"이라고 표현했다. 좋은 관리자는 팀원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팀원에게 필요한 일의 전후맥락을 설명한 후, 믿고 맡긴다. 사소한 통제에 집착하는 관리자는 문맥을 제시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며, 따라서 관리자로서의 역량이 부족한 것이다. 관리자의 마이크로매니지는 개발자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치명적인 독이다.

팀원의 개인적 삶에 관심을 갖는 것은 관리자 자신의 취향과 스타일에 달려있는 문제다. 하지만 팀원의 성공에 관심을 갖는 것은 좋은 관리자가 갖춰야 하는 필수 덕목이다. 최근에 나는 회사에서 자신의 팀원과 '경쟁'하는 관리자를 발견하고 전후맥락을 살핀 다음 인사조치를 단행한 경험이 있다. 자기가 가진 권력적 우위를 이용해서 팀원의 아이디어를 자신의 아이디어로 둔갑시키는 관리자를 발견한 것이다. 이건 관리자가 가질 수 있는 모습 중에서 최악이다. 좋은 관리자는 팀원을 이용해서 자기를 돋보이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팀원의 성공을 위해서 봉사해야 한다.

결과를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개인적인 호불호, 지연이나 학연, 아부, 허황된 장담, 소문, 감정에 휘둘리는 관리자는 관리자로서의 자격이 없다. 누가 좋은 품질의 코드를 생산하는가,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일을 마치는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아이디어를 제안하는가, 다른 사람과 잘 협업하는가, 스스로 할 일을 찾아서 적극적으로 행동하는가, 의사소통을 잘 해서 자기가 하는 일을 투명하게 만드는가. 이런 구체적인 결과만으로 판단을 해야한다. 출퇴근 시간, 휴가, 재택근무, 병가 같은 근태 역시 결과 중심의 사고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옳다.

관리자가 좋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다만 여기에서 말하는 커뮤니케이션은 말을 뉴스앵커처럼 또박또박 유려하게 하라는 뜻이 아니다. 투명하고 솔직해야 한다는 뜻이다. 공감(empathy)하고 공명(resonance)해야 한다는 뜻이다. 아무리 역량이 뛰어나고 성실한 관리자라고 해도 타인의 이야기에 공감할 줄 모르면 팀원에게 고통을 준다. 공감. 8개의 항목 중에서 이게 제일 중요하다. 팀원의 입장과 처지를 자기 것처럼 이해하고, 고민하고, 아파하고, 억울해하고, 분노하고, 노력하고, 기뻐하는 것. 관리자가 가져야 하는 덕목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공감능력이다. 이게 핵심이며 여기에 비하면 다른 능력은 모두 부차적이다.

명확한 비전과 기술적 능력은 관리자 자신의 역량 문제다. 있으면 좋고, 없으면 아쉽지만 그렇다고 해서 관리자로서의 결정적인 결격사유는 아니다. 비전은 더 위에 있는 디렉터나 CTO에게 빌릴 수 있고, 기술적 능력이 부족하면 팀원들에게 빌릴 수 있기 때문이다(비전을 남에게 빌릴 수 없는 CTO나 임원급 간부는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비전을 스스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주제는 나중에 다루겠다).

이상 구글 연구진의 발표내용을 중심으로 관리자의 자격을 살펴보았다. 불만을 품은 직원은 회사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를 떠난다는 말이 있다. 관리자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다. 진정한 개발자 세계에서 관리자는 '상관'이 아니다. 수행하는 일의 기능(function)이 서로 다를 뿐이다. 관리자는 개발자가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옆에서 봉사하는 사람이지 개발자를 상대로 명령하거나 독단적으로 판단하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좋은 관리자는 이런 사실을 이미 잘 알고 있다. 행여 관리자라는 타이틀을 봉사가 아니라 권력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글을 읽고 생각을 바꾸기 바란다. 관리자의 자격은 그 착각이 없는 사람으로 국한되기 때문이다.



원문보기: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70227091914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