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www.bloter.net/archives/234334 

 

<데브포스트>는 160개의 해커톤 1만여개의 프로젝트, 1만3281명의 해커에게 그들이 해커톤에서 사용한 기술을 물었다. 이를 기반으로 기술, 언어, API 인기 순위가 담긴 ‘학생 해커 리포트‘도 공개했다. 해커톤 프로젝트에서 해당 언어, 기술이 얼마나 많이 태그 됐는지에 따라 순위가 집계됐다.

다음 순위들은 학생 해커톤에서 집계된 것이므로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 해커톤은 보통 24~48시간처럼 짧은 시간 안에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 그래서 API를 이용한 웹, 모바일 앱 개발이 주를 이룬다. 자원도 한정돼 있기에 무료 혹은 비용이 적은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이 순위들은 실제 IT업계에서 쓰는 비중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

기술 & API 순위

모바일 플랫폼

플랫폼 %
Android 38.2
iOS 22.7
Windows Phone 4.9

프로그래밍 언어

1 HTML/CSS 11 Ruby
2 JavaScript 12 XML
3 Python 13 Ajax
4 Java 14 Shell
5 C/C++ 15 Processing
6 PHP 16 Lua
7 Objective-C 17 CoffeeScript
8 C# 18 Go
9 Swift 19 MATLAB
10 JSON 20 OpenGL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마크업 언어다. 하지만 거의 모든 웹 개발에서 쓰이기 때문에 포함됐다. 제이슨도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지만 포함됐다.

스위프트는 출시된 지 13개월 밖에 안 됐지만 9위에 올랐다.

데이터베이스

1 MongoDB
2 MySQL
3 SQLite
4 PostgreSQL
5 FoundationDB

커뮤니케이션 API

1 Twilio
2 Yo
3 SendGrid
4 Moxtra
5 Mailjet

소셜 API

1 Facebook
2 Twitter
3 Reddit
4 Instagram
5 Google+

결제, 금융 API

1 Venmo
2 Paypal
3 Stripe
4 Braintree
5 Blockchain

벤모 API가 페이팔보다 더 많이 쓰였다.

 

 

반응형
반응형
[엑셀] 셀 세로/가로 선택 후 내용 복사.

 

 

1. 복사할 셀 첫 열의 셀 선택하고 싶은 끝까지 선택하기.

  :   Ctrl + Shift + End

 

2. 동일한 내용을 선택된 셀에 복사하기

 : Ctrl + D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 최대절전모드 끄기



어느날 부터인가 컴퓨터가 대기모드로 들어가서 꺼진다.


아무 설정하지 않았는데.  컴퓨터 전원관리에서 변경해도 꺼진다.


그럴때, 최대절전모드 끄기 명령어 실행.


[윈도우] - [검색] : CMD 검색.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명령어 창에 " powercfg -h off  " 라고 입력하면 끝!


명령어창 닫는 명령은  " exit "





 

* 배치파일(.bat)을 항상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기

  1. 배치파일의 바로가기를 만든다.

  2. 바로가기 속성에서 "고급(D)..." 선택

  3.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을 체크한다.

  4. 시작프로그램 폴더에 바로가기를 넣어두면 부팅시 항상 실행.

 

 

 

.

반응형

'프로그래밍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호스트(hosts) 파일 변경하기  (0) 2015.10.07
OpenSSL Convert PEM  (0) 2015.09.08
[Linux] Install Ubuntu 13.10  (0) 2013.12.23
[Linux] How To Dual Boot OS X and Linux  (0) 2013.12.23
[CMD] Window Console: conemu-maximus5  (0) 2013.06.28
반응형
깨끗한 코드 만들기

 

 


가독성의 기본
1. 코드는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2. 코드는 다른 사람이 그것을 이해하는 데 들이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3. 1회용 코드는 되도록 피해야 한다(스스로가 희생양이 될지도).
참고: Perl 코드(WORN: Write Once Read Never)


코드 읽기 vs 코드 쓰기
읽기: 쓰기의 비율은 읽기 = 10: 쓰기 = 1
비율이 이렇게 높으므로 읽기 쉬운 코드가 매우 중요하다. 비록 읽기 쉬운 코드를 짜기가 쉽지는 않더라도 말이다. 하지만 기존 코드를 읽어야 새 코드를 짜므로 읽기 쉽게 만들면 사실은 짜기도 쉬워진다.
이 논리에서 빠져나갈 방법은 없다. 주변 코드를 읽지 않으면 새 코드를 짜지 못한다. 주변 코드를 읽기가 쉬우면 새 코드를 짜기도 쉽다. 주변 코드를 읽기가 어려우면 새 코드를 짜기도 어렵다. 그러므로 급하다면, 서둘러 끝내려면, 쉽게 짜려면, 읽기 쉽게 만들면 된다.

현실에서는 ? 데이비드 파나스(소프트웨어 공학 태두)
소프트웨어 설계자가 요구 사항으로부터 이성적이고 오류가 없는 방식으로 설계한 그림은 엄청나게 비현실적입니다. 어느 시스템도 이런 이성적인 방식으로 개발되지 않았으며, 아마도 앞으로도 이런 일은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심지어 교과서나 논문에 나온 작은 프로그램 개발조차도 비현실적입니다. 교과서나 논문에 나온 프로그램은 개선되고 수정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저자들이 바라는 바를 보여주지 실제 일어난 과정을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단위 테스트 실행시 지켜야할 원칙 : F.I.R.S.T.
빠르게(Fast): 테스트는 빨라야 한다.
독립적으로(Independent): 각 테스트는 서로 의존하면 안 된다. 한 테스트가 다음 테스트가 실행될 환경을 준비해서는 안 된다.
반복가능하게(Repeatable): 테스트는 어떤 환경에서도 반복 가능해야 한다.
자가검증하는(Self-Validating): 테스트는 부울(bool) 값으로 결과를 내야 한다. 성공 아니면 실패다.
적시에(Timely): 테스트는 적시에 작성해야 한다.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하려는 실제 코드를 구현하기 직전에 구현한다.


이름 짓기
1. 수학 함수라고 해서 어려울 필요는 없다. i)함수 포인터 타입 정의 ii) 좌표를 구조체로
2. 표현을 잘개 쪼개기.
 - 거대한 표현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고 함수로 분리한다.
 - 하위표현을 간결한 이름으로 대체해 함수로 분리한다.
 - 코드를 읽는 사람이 핵심 ‘개념’을 파악하게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한다.
3. 변수는 내버려두면 계속 늘어난다. 변수를 덜 사용하고 최대한 ‘가볍게’ 만들어 가독성을 높인다. 아래와 같이 실천한다.
 - 방해되는 변수를 제거: 결과를 즉시 처리하는 방식으로, 중간 결과값을 저장하는 변수를 제거
 - 각 변수의 범위를 최대한 작게 줄임: 각 변수 위치를 옮겨 변수가 나타나는 줄의 수를 최소화.

    안 보이면 멀어진다.
 - 값이 한번만 할당되는 변수를 선호: const, final 등으로 값이 한 번만 할당되어 바뀌지 않는(즉 불변)

    변수는 이해하기 쉽다.

코드 흐름 제어 : 코드 흐름을 읽기 쉽게 만들어야 논리가 명확해진다. 아래와 같이 실천한다.
 - if/else문의 블록 순서에 주의: 긍정적이고 쉽고 흥미로운 경우가 앞쪽에 위치
 - 삼항연산자(: ?)나 do/while, goto는 코드 가독성을 떨어뜨리므로 되도록 사용 금지
 - 중첩된 코드 블록의 흐름을 따라가려면 많은 집중이 필요하다  선형적인 코드 추구
 - 함수 중간에 반환하면 중첩을 피하고 코드를 더 깔끔하게 작성 가능하다. 

   함수 앞부분에서 ‘보호 구문’으로 간단한 경우를 미리 처리하는 방안도 고려
 


켄트 백의 간단한 설계 규칙 네 가지
모든 테스트를 실행한다.
중복을 없앤다.
프로그래머 의도를 표현한다.
클래스와 메소드 수를 최소로 줄인다.

 

 

 

.

반응형
반응형

JavaScript InfoVis Toolkit

 

 

http://philogb.github.io/jit/index.html

 

Demo : http://philogb.github.io/jit/demos.html

 

The JavaScript InfoVis Toolkit provides tools for creating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s for the Web.

 

자바스트립트 그래프, 정보표시

 

 

 

 

 

 

 

 

.

반응형
반응형

레퍼런스 사이트 

 

https://dribbble.com

 

http://www.slideshare.net/theresaneil/mobile-design-strategic-solutions

 

http://m.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