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상  : 수량이나 정도가 일정한 기준보다 더 많거나 나음. 기준이 수량으로 제시될 경우에는,

           그 수량이 범위에 포함되면서 그 위인 경우를 가리킨다.

 

ex) A >= B : A는 B 이상이다.

 

이하 : 수량이나 정도가 일정한 기준보다 더 적거나 모자람. 기준이 수량으로 제시될 경우에는,

          그 수량이 범위에 포함되면서 그 아래인 경우를 가리킨다.

 

ex) A <= B : A는 B 이하이다.

 

초과 : 일정한 수나 한도 따위를 넘음. 기준이 수량으로 제시될 경우에는,

          그 수량이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그 위인 경우를 가리킨다.

 

ex) A > B : A는 B를 초과한다.

 

미만 : 정한 수효나 정도에 차지 못함. 또는 그런 상태. 기준이 수량으로 제시될 경우에는,

          그 수량이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그 아래인 경우를 가리킨다.

 

ex) A < B : A는 B 미만이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Archit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X] Shuttle — SSH shortcut menu for OS X  (0) 2013.08.05
[Erlang] 얼랑 : Erlang/OTP  (0) 2013.07.11
TDD, BDD  (0) 2013.06.13
도로명에 따른 우편번호 신규 내려받기  (0) 2013.06.04
개인정보보호법  (0) 2013.05.29
반응형

1. <% @CODEPAGE="65001" language="VBScript" %>
 
코드 페이지는 숫자, 구두점, 기타 그림 문자 등을 포함하는 문자 집합이다.
각 언어와 로케일마다 다른 코드 페이지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코드 페이지 값
949   : 한국어 (EUC-KR)
65001 : 유니코드 (UTF-8)
 
 
ASP에서 코드 페이지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Session.CodePage 프로퍼티나 @CODEPAGE 명령어를 사용한다.
결과는 같지만 적용범위의 차이가 있다.
 
Session.CodePage 프로퍼티를 이용해서 코드 페이지를 지정하면 세션 범위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모든 스크립트에 적용되지만, @CODEPAGE를 사용하면 지정한 페이지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페이지 상단에 @CODEPAGE를 지정하여 해당 페이지 전체에 적용하거나,
코드 중간에 Session.CodePage 프로퍼티를 지정하여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2. Session.CodePage = 65001
현재 세션의 동적 코드 페이지 설정.
스크립트 일부분에서 외국어로 된 문장을 출력하려면 코드 페이지를 일시적으로 출력할 외국어의 코드 페이지로 변경하여 출력 후 원래의 코드 페이지 값으로 복원해주면 된다.
 
3. Response.CharSet = "UTF-8"
문자 집합 이름을 응답 개체의 content-type 헤더에 추가한다.
 
4.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해당 페이지의 (HTML,ASP,JSP,PHP 등)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타 태그를 설정.
 
5. 에디트플러스 등으로 저장할 때 반드시 해당 Encoding 방식으로 저장한다.
65001 일땐 필히 UTF-8로 저장해야함.

반응형
반응형

cujoJS — Build modular, maintainable web apps

cujojs

Homepage: http://cujojs.com/
GitHub: https://github.com/cujojs
Twitter: http://twitter.com/cujojs

 

 

cujojs's Repositorieshttps://github.com/cujojs/repositories

 

 

RESTful HTTP client for JavaScript

 : https://github.com/cujojs/rest 

반응형
반응형
Javascript library 추가하기  - APTANA

 

link : https://wiki.appcelerator.org/display/tis/JavaScript+Library+Support

 

JavaScript Library Support

메타 데이터의 끝으로 건너뛰기
메타 데이터의 시작으로 이동
Chapters

Libraries

Studio ships with the ability for users to extend support for JavaScript libraries in content assist. Below is a list of libraries and content assist files we've located that should be compatible with Studio. This is not a complete list, and compatibility is not guaranteed, but if you see something on this list and it doesn't work, please let us know.

Dojo (http://dojotoolkit.org)

The XML files Dojo ships require a little bit of massaging to be readable by the Studio content assist processor.

Drop the SDOCML file anywhere into your Web Project (feel free to put it in a special folder).

Alternately, to update docs to a newer version (should one come out)

ExtJS/Sencha (http://extjs.com)

Drop the SDOCML file anywhere into your Web Project (feel free to put it in a special folder).

Google

Drop the VSDoc files into your Web Project.

jQuery (http://jquery.org)

Install the jQuery ruble and reference it:

  1. Commands > Install Bundle > jQuery
  2. Right click on a project, select Properties > Project Build Path and select the checkbox for jQuery 1.6.2.

If you already have the jQuery bundle:

  1. Choose Commands > Bundle Development > Update User Bundles

or

  1. Find the Aptana Rubles folder on your system
  2. Delete the Ruble
  3. Restart Studio
  4. Install the Ruble again as above

OpenLayers (http://openlayers.org/)

There is a current bug with adding the single http://www.openlayers.org/api/OpenLayers.js file to a project to get content assist. As a workaround:

Note that this technique will not actually show documentation on the classes. For that, we need a SDOCML file which could be created from the source Natural Docs.

YUI (http://developer.yahoo.com/yui/)

Drop the SDOCML file into your Web Project.

반응형
반응형
APTANA plugin - Syntax HighLighter

 

http://colorer.sourceforge.net/eclipsecolorer/

 

 

 

* APTANA에서 추가.

  [Help] - [Install New Software] - [Add]

  

 

Eclipse platform plugin

EclipseColorer is based on a native Colorer-take5 library, so each platform has its own native part library. By default the package contains plugin's stuff compiled for win32, Linux(x86 and x86_64) and MacOS (ppc and x86 platforms).

Features

  • Enchanced and fixed word wrapping mode.
  • Automatic folding support for mostly all (200+) supported languages
  • Per-type customizable color schemas and editor parameters.
  • Automatic errors and todo comments annotation.
  • Paired constructions highlighting and matching.
  • Shortcuts for pairs matching.
  • Different color schemes.
  • Replacement of tabs with spaces option.
  • Choosing of currently used syntax mode in editor (list of all available types).
  • Dynamic library reloading.
  • Powerful and flexible outliner for all common languages.
  • Errors list is included into the outliner view.
  • Colored sources generation into HTML files (Available in the navigator's context menu).
  • Find more in screenshots section.
반응형
반응형

Jindo

 

http://dev.naver.com/projects/jindo

 

Jindo는 NHN에서 제작한 Javascript Library 이다. 사내의 Javascript Application 제작시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로직을 컴포넌트화 하여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아래 그림과 같이 Jindo는 desktop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와 컴포넌트, 모바일에서 지원하는 프레임워크와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다.
캡처_2.PNG


 

레퍼런스

Jindo

- Jindo Jindo Mobile
한국어 버전 [http]API Reference [http]API Reference
영어 버전 [http]API Reference [http]API Reference

Jindo Component


Jindo Mobile Component


지원 브라우저



Desktop Mobile
msie.sm.png
(6.0 이상)
android.png
(2.1 ~ 4.1)
chrome.sm.png
(2 이상)
ios.png
(3.0 ~ 6.x)
webkit.sm.png
(4.0 이상)
-
gecko.sm.png
(3.0 이상)
-
presto.sm.png
(10.0 이상)
-

지원도구

Jindo 사용시 유용한 도구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지원도구에는 진도추출기와 진도업데이터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선 및 추가할 예정이다.

진도추출기

  • 서비스 코드에서 사용하는 Jindo 만을 추출해서 서비스에 최적화된 custom Jindo 파일을 생성한다.
  • 파일 크기가 줄어들고 불필요한 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로딩성능에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 진도추출기가이드

진도업데이터

  • Jindo 를 사용 중인 서비스에서 Jindo Library 를 업그레이드 할 때 주의해야 할 변경사항을 엑셀보고서로 출력해준다.
  • Jindo Library 업그레이드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비용을 절감해 줄 수 있다.
  • 진도업데이터가이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