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벚나무는 겨울이 추우면 추울수록
더욱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고 알려져 있다.
추운 겨울을 잘 견뎌낸 벚나무가 제철이 되면
더욱 아름다운 꽃을 피울 수 있는 것처럼
기업도 불황을 계기로 크게 발전해갈 수 있다.
- 이나모리 가즈오, ‘불타는 투혼’에서

 

 

다이아몬드가 귀한 것은
갈고 닦는 혹독한 시련을 거쳐
찬란한 빛을 발하기 때문입니다.
좋은 쇠는 화로에서 백번 단련된 뒤에 나옵니다.


불황은 지금 당장은 고통스럽고 괴로운 것이지만
다음의 도약을 위한 하나의 단계가 되기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살다 보면 자주
나를 도와줄 사람을 찾아
너무 먼 곳을 살피느라 아주 가까운 곳에
내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잘 보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사랑은 늘 나를 필요로 하는
쪽으로 열려 있습니다.


- 이영철의《사랑이 온다》중에서 -


* 사람은 누구나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살아갑니다.
나를 도와줄 사람,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바로 옆, 가장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내가 도와줘야 할 사람도
내 옆에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치 새  (0) 2014.08.21
오늘부터! 지금부터!  (0) 2014.08.20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0) 2014.08.18
다정함  (0) 2014.08.16
올바른 질문  (0) 2014.08.15
반응형

리더들의 공통된 맹점은 자신의 결함을 인정하지 않고
건전한 비판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자신의 시각을 바꾸려 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결함이나 이해의 부족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견해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자신의 능력이나 이해의 확장을 원하지 않는 것이다.
- 카렌 블레이켈리 교수 (김성회 저, 용인술’에서 재인용)

 

 

실수인정과 사과는 나약함이 아닌
위대한 힘을 필요로 합니다.
흠이 하나도 없는 완전무결한 리더가 아닌,
자신의 실수나 부족함을 솔직히 인정하고
끝없이 개선해가는 리더가 위대한 리더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에게 있어
진정한 변화는 의지의 영역이 아니다.
인지의 영역이다. 백 번 각오하고
다짐하는 것보다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 알프레드 아들러의《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중에서 -


* 변화는 방향을 뜻합니다.
어느 순간 방향이 바뀌었다는 뜻입니다.
깨달음의 작은 점 하나로 어떤 사람은 180도
정반대 방향으로 바뀌고, 어떤 사람은 0.1미리
작은 전환이 이루어져 새로운 길을 가게
됩니다.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진정한 변화의 시작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부터! 지금부터!  (0) 2014.08.20
내 옆에 있다  (0) 2014.08.19
다정함  (0) 2014.08.16
올바른 질문  (0) 2014.08.15
유유상종(類類相從)  (0) 2014.08.14
반응형
"돈이 다정함을 대신할 수는 없네.
그리고 권력도 다정함을 대신할 수는 없지.
이렇게 앉아서 죽어갈 때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돈으로도 권력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고 말이야.
아무리 돈과 권력이 많아도 이렇게 죽어 가는데
필요한 감정을 거기서 얻을 수는 없네."


- 미치 앨봄의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중에서 -


* 울산으로 이사온 지 2 년 반만에
다정한 친구를 다시 만났습니다. 이사오기 전과
똑같이, 이사온 후에도 늘 변함없이 다정하고 세심하게
배려하고 찾아준 지란지교라고 부르고픈 친구.
이번에는 휴가를 이용해 내가 찾아가서
십 여년을 주말이면 늘 함께 오르던
관악산을 함께 등산했습니다.
다시한번 그 친구의 다정한 사랑을 느끼며,
soul mate란 무엇일까, 이런 생각을
하게 하는 아침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옆에 있다  (0) 2014.08.19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0) 2014.08.18
올바른 질문  (0) 2014.08.15
유유상종(類類相從)  (0) 2014.08.14
마법의 한 순간  (0) 2014.08.13
반응형



 

"답을 찾기 위해서는..."
현자가 말했다.
"먼저 올바른 질문이 있어야 합니다.
마법사는 올바른 질문을 얻기 위해
강물 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는 것입니다."


- 레너드 제이콥슨의《마음은 도둑이다》중에서 -


* 질문이 잘못되면
대답도 엉터리가 되고 맙니다.
올바른 질문이어야 올바른 해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올바른 질문 속에 답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강물도 알고 있는 답을
사람들만 모르기 쉽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0) 2014.08.18
다정함  (0) 2014.08.16
유유상종(類類相從)  (0) 2014.08.14
마법의 한 순간  (0) 2014.08.13
꿈꾸는 집  (0) 2014.08.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