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일부 과학자들은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감염 때문에
2050년까지 3억 명의 인구가 목숨을 위협받고
세계 경제에 100조 달러의 부담을 안길 것이라
예상한다. 박테리아는 그저 항생제에 저항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먹잇감으로 삼는
경향까지 보인다. 어떻게 그럴까?


- 프레드 프로벤자의 《영양의 비밀》 중에서 -


*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들은
인간이 생각하는 것보다 휠씬 무섭고
'지혜로운' 존재인 듯합니다. 그들은 고도의 의식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어쩌면 우리보다 한걸음 더
빨리 진화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그들을
싹 없애야 하는 적으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함께 공생해 가는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자기만의 이야기가 있다  (0) 2024.11.07
'좋은 선생님'이 된다는 것  (0) 2024.11.05
호떡집  (0) 2024.11.04
아이들이 숲에서 써 내려간 시(詩)  (0) 2024.11.04
숲이 '안녕' 하고 속삭이네요  (0) 2024.10.31
반응형

이렇게 

한 번 생각해 보세요. 

버릴 수 있는 것은 버리고,

버릴 수 없는 것은 안고 간다. 

해결되지 않은 채로 끌어안는다. 

머리로 배우려 하지 말고 몸으로 익히자.

막상 해보면 불안과 공생하는 것도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란 걸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히라이 쇼수의《좌선을 권하다》중에서 -



* 몸은 말합니다.

내가 들 수 있는 무게인지

도저히 들 수 없는 무거운 것인지...

욕심이나 불안은 몸과 머리의 부조화에서 

비롯됩니다. 몸이 말하는 것을 제대로 듣지 않고

머리로만 생각하고 움직이면, 해결되지 않은 것을

끌어안은 채로 힘겹게 살아가게 됩니다.   

생각을 내려놓고 몸으로 익히세요.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어벤저스'  (0) 2017.03.30
내 젊은 날을 반성한다  (0) 2017.03.29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0) 2017.03.27
한계의 벽  (0) 2017.03.27
생명을 먹다  (0) 2017.03.24
반응형
경쟁이 낳는 비극 중 하나는,
타자의 불행을 자기 행복의 기초로 삼는 일이다.
경쟁이 낳는 최대 비극은,
서로 경쟁하는 가운데 모두 공멸한다는 점이다.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 강수돌의《팔꿈치 사회》중에서 -


* 현대 사회에 경쟁은 불가피합니다.
그러나 그 경쟁은 공멸이 아닌 공생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함께 살자고 하는 경쟁이어야지
함께 죽자고 하는 경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다른 사람의 성공과 행복이 나에게도
기쁨과 행복이 되는 경쟁이
좋은 경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숨의 크기  (0) 2013.05.01
'바운스', 일류인생의 일류노래  (0) 2013.04.30
자연이 주는 행복  (0) 2013.04.27
연인도 아닌 친구도 아닌...  (0) 2013.04.26
김병만의 '적는 버릇'  (0) 2013.04.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