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누구에게나 

자기만의 시간, 

자기만의 길이 있습니다.

그 길을 가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수칙이 필요합니다.

첫째, 절대고독의 징검다리를 잘 건너라.

둘째, 길이 안 보이면 기다려라.

셋째, 기다림을 즐겨라.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가슴 깊이 새겨야 할 것이 있습니다.

늘 안전한 길은 없다.



- 고도원의《절대고독》중에서 -



* 꽃길도 있고 비단길도 있습니다.

동시에 돌밭길, 가시밭길도 있습니다.

자기가 선택한 길도 있고, 운명처럼 숙명처럼

주어지는 길도 있습니다. 그 어떤 길을 가든지 

늘 안전한 길은 없습니다. 도처에 덫이 있고

곳곳이 장애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매일매일 걸어가야 합니다.

'나의 길'을 가야 합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닻과 닻줄  (0) 2017.11.19
누군가 나를 믿어주면...  (0) 2017.11.16
왕자나 공주와 결혼하기  (0) 2017.11.15
이야기 창조자  (0) 2017.11.15
나의 나무를 찾자  (0) 2017.11.15
반응형

그림은 

그리움의 다른 말이에요.

그림은 기다림의 줄임말이지요. 

화가는 그림으로 바람도 잡고 해와 달도 

동시에 잡아내요. 어쩌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려낼 수 있어요. 


- 전수민의《이토록 환해서 그리운》중에서 - 


* '그림 같다'고 하지요? 

더없이 아름다운 풍경을 보면...

미켈란젤로는 '대리석을 보면 그 안의 천사가 

보인다'는 어록을 남겼습니다. 보통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화가의 눈에는 '그림'이 보입니다. 

깊은 그리움과 오랜 기다림이 

눈을 뜨게 합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혼의 성장, 영혼의 여행  (0) 2017.06.16
창조 작업  (0) 2017.06.15
내 몸을 알자  (0) 2017.06.13
'어떻게'가 더 중요하다  (0) 2017.06.12
고통의 짐  (0) 2017.06.11
반응형
백발백중이라는 사람이 있어요.
왕이 사냥을 나가면서 그를 데리고 갑니다.
정말로 한 방에 한 마리씩 정확히 맞춥니다.
왕이 신기해서 어떻게 단 한 방에 잡을 수
있느냐고 물어요. 그랬더니 그가 하는 말이
이렇습니다. "저는 사냥감이 백 보 안에
들어와야 쏘지, 그 전에는 안 쏩니다."


- 장길섭의《라보레무스》중에서 -


* 백발백중.
우연도 요행도 아닙니다.
줄기찬 반복 훈련과 몰입의 합작물입니다.
여기에 꼭 하나 덧붙여야 할 것이 있습니다.
사정거리 안에 들 때까지 숨죽여 기다리는
기다림의 시간입니다. 기다릴 줄 모르면
아무리 잘 훈련된 특등사수도
헛발을 쏘게 됩니다.

 

百發百中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식과의 거리  (0) 2015.01.21
선택의 문  (0) 2015.01.20
신성한 호흡  (0) 2015.01.17
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  (0) 2015.01.16
마법사  (0) 2015.0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