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jQuery - Back button Detect, reload  http://www.vvaves.net/jquery-backDetect/

브라우저에서 뒤로가기 버튼 선택시 페이지를 리로드해주는 쿼리. 

단, 라이브러리를 업로드해야 한다. 

https://github.com/ianrogren/jquery-backDetect

 

ianrogren/jquery-backDetect

jQuery backDetect is a jQuery plugin that is used to determine when a user clicks the back button and fire a callback function. - ianrogren/jquery-backDetect

github.com

backDetect

Determining when a user clicks their browser's back button has never been easier with this jQuery plugin. With a quick easy install and minimal set up work you'll be firing callback functions on back button declarations in no time.

View the Project on GitHubianrogren/jquery-backDetect

Using jQuery-backDetect

Can append to any element or class:

$(window).load(function(){ $('body').backDetect(function(){ // Callback function alert("Look forward to the future, not the past!"); }); });</script>

Click the back button to test.

반응형
반응형

제주도 모바일 교통정보 

http://www.jejuits.go.kr/mobile/index.do



반응형
반응형

어도비, ‘포토샵 라이트룸 CC’ 클라우드 포토그래피 출시

어도비가 10월23일 새로운 어도비 포토샵 라이트룸 CC 포토그래피 서비스를 출시했다. 새 라이트룸 CC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접근성이 향상돼 앞으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사진을 편집, 정리, 저장 및 공유할 수 있다.


새로운 라이트룸 CC는 포토샵 CC와 클래식 라이트룸 CC(구 라이트룸 CC)의 이미징 기술을 모두 적용했다. 사진 색감 및 밝기를 조절하는 슬라이더는 사용이 보다 쉬워졌고 프리셋, 빠른 수정 도구도 좀더 간편해졌다.



모바일, 데스크톱 그리고 웹상에서 풀 해상도 화질로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기기에서 사진을 편집하면 라이트룸 CC에 연결된 모든 기기 및 온라인상에서 변경사항이 자동 적용된다. 사진 공유도 가능하다. 또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제공해 모든 해상도 사진 백업을 지원한다.


인공지능으로 사진 정리 돕는다

어도비의 이미지 처리 인공지능, ‘어도비 센세이’의 활용도도 높아졌다. 원하는 키워드를 검색하면 사진에 있는 사물이 무엇인지 파악해 알아서 검색해준다. 원래 태그를 달아 검색이 가능했지만 센세이가 자동으로 태그를 달아주기 때문에 사진 정리가 한층 편해졌다. 예를 들어 풍경 사진을 찍었을 때 ‘공원’이나 ‘하늘’ 등으로 검색하면 관련 사진을 다 찾아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 공유도 가능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어도비 디자이너 커뮤니티 비핸스 등과 라이트룸 CC와 새롭게 통합된 어도비 포트폴리오에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모바일·웹 업데이트하고 데스크톱 기능은 보강

iOS 및 안드로이드 라이트룸 앱도 업데이트됐다. 웹용 라이트룸 CC는 어도비 포트폴리오와의 연계가 향상돼 몇 번의 클릭만으로 사진을 개인 포트폴리오에 게시할 수 있게 됐다. 또 어도비 포토샵 라이트룸 클래식 CC는 데스크톱 중심 워크플로우에 초점을 맞춰 업데이트됐다.


새로운 라이트룸 CC 플랜은 새로운 라이트룸 CC 플랜(월 1만1천원),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포토그래피 플랜(월 1만1천원), 1TB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포토그래피 플랜(월 2만3100원) 중 선택할 수 있으며 100GB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트룸 모바일 플랜은 iOS에서 월 5.49달러, 안드로이드에서는 월 5500원에 이용 가능하다.


https://www.adobe.com/kr/creativecloud/plans.html






...

반응형
반응형






...

반응형
반응형

음성인식 인공지능 스피커 전쟁이구만. 


모바일 퍼스트는 2007년 아이폰 나오면서 시작되었는데, 

이젠 사물인터넷으로 보이스 퍼스트 시대가 되어버림. 


아직도 모바일 퍼스트로 가지 않은 시스템은 지금이라도 변경되어야 함을 자각해야 할 것인데. 


이달 초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7'이 열린 베를린 전시장에서는 전시회 기간 내내 "오케이 구글", "알렉사"를 부르는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정작 이 음성 소프트웨어를 만든 구글과 아마존의 부스는 없거나 아주 작았다. 아마존과 구글의 음성비서들은 LG전자, 필립스(Phillips), 보쉬(Boche), 밀레(Miele), 지멘스(Siemens) 등 세계 유수기업들이 세운 대형 부스 곳곳의 냉장고, 청소기, 전등, 자동차 부품 속에서 목소리에 반응했다. 


2017년 전 세계 IT업계 최대의 화두인 '보이스 인공지능'의 모습이다.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등 한국 IT 기업들이 아직 완벽하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각기 인공지능(AI) 스피커를 서둘러 내놓고 있는 이유다. 


인공지능 스피커는 인간의 목소리라는 명령에 반응하고, 목소리에 든 데이터를 수집한다. 10년 전인 2007년 탄생한 애플의 아이폰은 사람들이 정보를 소비하는 공간과 습관을 일거에 뒤바꿔 놓으며, '모바일 퍼스트(mobile first)' 시대를 열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산업 지형과 기업 순위가 바뀌는 결과를 초래했다. 


"2007년 스마트폰의 등장은 단기간에 인터넷의 이용 방식을 변화시켰고, 미디어, 금융, 상거래,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영역을 휩쓸고 있는 거센 폭풍의 진원지로 기능했다. 그 과정에서 애플과 구글은 스마트폰 생태계의 성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 지배력을 확보했다. 이제는 아마존 알렉사를 필두로 구글 어시스턴트, 애플 시리, 마이크로소프트 코타나, 삼성 빅스비뿐만 아니라 네이버 라인의 클로바, 카카오 아이, 그리고 SK텔레콤 누구, KT의 기가지니 등이 보이스 플랫폼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 뛰고 있다. 누가 승리할 것인가?"'보이스 인공지능 서비스 전쟁' 중에서)


"아마존은 음성비서의 뛰어난 점이 '편재성(ubiquity)'이라는 사실을 간파했다. 목소리로 명령을 전달한다는 것은 굳이 좁은 스크린을 찾아 가거나 손에 쥐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 전체에 컴퓨터가 존재해야만 했다. 이를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 360도로 배열된 일곱 개의 마이크를 탑재한 원통형 스피커이다. 손을 대지 않고 목소리로 기계를 깨우는 인터페이스 기술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컴퓨팅을 가능하게 했다."(보이스 전쟁에 뛰어든 키 플레이어들 '시리, 왕좌를 내어주다' 중에서) 


아이폰이 열어젖힌 모바일 퍼스트 시대에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명령을 수행했다. 그로부터 불과 10년이 흐른 지금, 폰을 손으로 집어들 필요조차 없이 말로써 요청하면 쇼핑은 물론 메신저 보내기, 가전제품 제어까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세상을 '보이스 퍼스트 월드(Voice First World)'로 명명됐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917_0000097650




...

반응형
반응형

[APP] AWS 모바일 - AWS에서 모바일 앱을 구축하는 가장 빠른 방법


https://aws.amazon.com/ko/mobile/


모바일 앱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세트

AWS에서는 확장성이 뛰어난 완전관리형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으므로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 없이 로직,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스트리밍, 콘텐츠 전송, 데이터 웨어하우징 및 기계 학습 같은 기능을 앱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구축에 도움이 되는 도구

AWS를사용하면 손쉽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모바일 앱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서버 없는 모바일 백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자격 증명과 로그인을 관리합니다. 푸시 알림을 전송하고, 사용 패턴을 추적하며, 인앱 분석으로 앱을 최적화합니다. 다양한 실제 디바이스에서 테스트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