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창의성이란 
깨어 있고, 감각적이고, 열정적이고, 
주변 것들에 관심을 가지고, 몰입하는 것입니다. 
그런 창조적인 태도를 갖는다면 
당신은 창의적인 직업에서 
성공하게 될 것입니다. 


- 존 헤가티의《지그할 때, 재그하라!》중에서 - 


* 깨어있다는 것은 
살아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감각적은 열려있다는 뜻입니다.
열정적이라는 것은 가슴이 뛴다는 뜻입니다.
몰입한다는 것은 집중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저절로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
성공도 저절로 뒤따라옵니다. 

. .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마의 어린 시절  (0) 2018.02.21
고전의 힘  (0) 2018.02.21
사랑을 먹고 자란 아이  (0) 2018.02.14
기억의 뒷마당  (0) 2018.02.13
무자비한 태도와 행동  (0) 2018.02.12
반응형

일은 항상성이 있습니다. 

일은 밥 먹고 숨 쉬는 것과 같이 

평생 나와 함께 다니는 것입니다. 

일은 갑자기 주어지지도 않지만 갑자기 

사라지지도 않습니다. 심지어 내가 죽어도 

일은 있습니다. 각자가 하고자 했던 그 무엇이 

사회의 어두운 이면을 밝히고 사람과 세상을 

회통하게 하는 것, 그것이 일이며, 여기에 

지금 이 시절의 미래가 걸려 있습니다. 


- 박병원의《일철학》중에서 - 



* 우리는 곧잘 

"일이 많아서 죽겠다"고 말합니다.

행복한 비명입니다. 일이 없어 보세요.

그거야말로 죽을 맛입니다. 즐겁게 하는 것,

목숨을 걸듯 집중하고 몰입해서 하는 것,

그것이 나에게 주어진 일을 

감당하는 태도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치유작업  (0) 2018.01.04
좋은 경험  (0) 2018.01.03
순조로운 출발  (0) 2018.01.01
내면을 보는 눈이 있는가?  (0) 2017.12.30
'아힘사'  (0) 2017.12.29
반응형

사람들은 바쁘지 않을 때보다 바쁠 때 더 행복하다.

의미 없는 일보다 의미 있는 일을 할 때 더 행복하다.

그때 더 몰입하고 삶에 만족하게 된다.

몰입감과 만족감은 결과에서 행복을 얻으려 할 때와는 반대로

과정에서 행복을 얻으려 할 때 더 많이 나타난다.

- ‘왜 똑똑한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을까?’ (라즈 라후나탄)에서


행복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입니다.

행복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연습입니다.

내 행복은 내 마음, 내 손에 달려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잠자리에 들기 전과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목표를 소리 내어 읽어라.

무의식은 당신이 잠들었을 때나 일에 몰입할 때도

끊임없이 목표를 되새기고 그 목표가 이루어지도록 뇌에 명령한다.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나 기회를 포착하게 한다.

- 랩 무어, ‘레버리지’에서


목표를 소리 내어 읽으면 무의식에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어

집중력과 목표의식을 고양시키게 됩니다.

목표에 집중하지 못하면 뇌가 부정적인 뉴스나 정보,

조잡한 드라마에 현혹되어 목표 실행을 방해합니다.

도파민 공급을 막아 공허감, 슬픔, 무기력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대다수 스포츠 심리학자들이 말하듯

진정 위대한 선수와 그저 괜찮은 선수를 가르는 기준은

신체적, 기술적 능력이 아닌 정신력이다.

방금 전 벌어진 일을 잊고 앞으로 일어날 일도 생각하지 않고

지금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에만 몰입하는 능력이 바로 그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 몰입하는 능력이 위대한 선수를 만든다.

- 라즈 라후나탄, ‘왜 똑똑한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을까?’에서 


지나간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에 끌려 다니면

아무 것도 해낼 수 없습니다.

과거와 미래는 일단 제쳐 놓고 현재의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을 때 위대함을 일궈 낼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어리석은 사람을 뜻하는 우리말, 바보의 어원은 ‘밥보’이다.

우리 조상들은 밥 먹는 일, 즉 몸 잘되는 욕심에만

집중하는 사람을 두고 어리석다고 한 것이다.

욕심으로 일하면 내가 하는 게 돈으로만 보이니

흥미가 없고 지겹기만 하다.

- 이기동 성균관대 교수

 

‘돈이 사람의 몸과 마음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마음과 정신을 움직일 순 없습니다.’ (디 호크, 비자 창업자)

돈과 물질만으로 동기부여 시키는 것은

직원을 바보로 만드는 것입니다.

일의 의미와 사명감,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율이

직원의 몰입과 행복을 이끌어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