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객이 어느 회사에 대해 할 수 있는 최고의 칭찬은
그 회사의 마케팅 책임자에게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는 것이다.
‘나는 당신 회사의 판매원들이 회사를 위해 일하는 것인지,
나를 위해 일하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 제임스 로저스, 전 IBM 마케팅 담당 부사장


진정으로 섬긴다는 마음으로 고객을 대하고,
그들에게 최대한의 이익을 주겠다는 생각으로
회사를 경영하면 회사는 무한히 번성하게 되어 있습니다.
즉, 남을 이롭게 하면 그 이로움이 결국 나에게 돌아옵니다.
불교에서 배우는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정신도 같은 이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네팔에 살아도
처음 듣는 민족 이름이 매일 생긴다.
닌바 민족은 티베탄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훔라주에
사는 민족이다. 훔라에는 여섯 개의 소수민족 언어가
사용되며 4백 년에서 천 년도 더 된 티베트 불교 사원이
있는 곳이다. 문화혁명 때 티베트 지역의 사원은 많이
파괴되었지만, 국경선 하나로 네팔로 속한 이 지역은
다행히 파괴되지 않고 보존되었다. 산으로 막혀
강수량이 적은 곳이라 네팔에서 트레킹을
하기 힘든 우기 시즌이 이곳을
방문하기 좋은 시기다.


- 서윤미의《나의 히말라야에게》중에서 -


* 몇 해 전 네팔을 방문했을 때의 기억이
새롭습니다. 히말라야 산맥의 그 첩첩산중에
수많은 소수민족이 살고 있고, 이런 곳에 어떻게
이토록 오래된 사원이 건재할 수 있을까 하는 놀라움이
컸습니다. 1966년부터 10년 동안 광풍처럼 불어 닥친
중국의 문화혁명에 많은 것들이 쓸려 나갔지만
'산으로 막힌' 국경 덕분에 간신히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언제 다시 네팔에 갈 수 있을까'
안타까움과 그리움이 겹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C%B8%ED%99%94%EB%8C%80%ED%98%81%EB%AA%85

 

문화대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화혁명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삐삐밴드의 음반에 대해서는 문화혁명 (음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76년 베이징. “(윗줄) 신선한 피와 생명으로 당중앙을 보위하자! (아랫줄) 신선한 피와 생

ko.wikipedia.org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영어: Cultural Revolution,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은 1966년 5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벌어졌던 사회·문화·정치상의 대변혁 또는 소란으로, 공식 명칭은 무산계급문화대혁명(중국어 간체자: 无产阶级文化大革命, 정체자: 無産階級文化大革命, 병음: Wúchǎn Jiējí Wénhuà Dàgémìng 우찬제지 원화다거밍 )이고 약칭은 문혁(중국어: 文革, 병음: wéngé 원거 )이다. 중국에서는 이 기간을 십년 동란(十年動亂)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림  (0) 2022.03.28
생명은 기계에 있지 않다  (0) 2022.03.25
한 번의 거짓말  (0) 2022.03.23
삶을 즐길 수 있으려면?  (0) 2022.03.23
제2, 제3의 Next Plan  (0) 2022.03.21
반응형

인생은 고통이고 고통의 원인은 무지다. 

그러나 고통과 무지는 하나의 현상일 뿐 영원불변의 무엇이 아니다. 그것은 분명 타파될 수 있는 무엇이다. 붓다는 무지가 타파되어 고통이 극복된 상태, 그것을 열반(nirvna)이라 불렀다. 산스크리트 ‘니르바나’에서 니르(nir)는 ‘없다’, ‘아니다’, ‘없어지는(out)’ 등의 뜻을 갖는 접두어이고, 바나((vna)는 ‘불꽃’, ‘불어 끄다(to blow)’ 등으로 해석된다. 그러니 말뜻으로 보면 열반이란 ‘불어서 끄다, 불어서 꺼버린 상태, 불꽃이 꺼진 상태’의 뜻을 갖는다.
 
여기서 불꽃은 앞서 말한 소유와 영원을 향한 욕망을 상징한다. 물론 그 욕망이란 불길의 연료는 무지다. 그러니까 열반이란 무지라는 연료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아 욕망이란 불길이 사위어 버린 상태를 의미한다. 욕망의 불길이 꺼졌다면 그곳엔 더 이상 고통이 없고 고통이 없는 상태란 바로 행복을 의미한다. 열반이란 현대의 언어로 말하자면 행복이다.
 
고통 무지는 현상에 불과할 뿐
 
영원불멸 하지 않아 타파 가능
 
“춘다여, 이 세상은 원래 무상한 것이다 … 나는 진실을 터득하여 일체의 고통에서 벗어났다. 그러므로 내겐 이제 노병사(老病死)가 모두 없다 … 춘다여, 이것이 모든 여래의 떳떳한 법이다.”
 
“내 이제 진리로 그대들에게 말하노라. 이제 나는 나의 사부대중을 위하여 열반의 덕을 말하리라. 비구들이여, 열반에는 네 가지 덕이 있으니, 영원함(常)과 행복(樂)과 참나(我)와 청정함(淸淨)이다. 여래의 법신은 영원한 것이요, 열반은 행복이며, 여래는 언제 어디서나 참 나로 존재하며, 여래의 바른 법은 청정한 것이다.”
 
<장아함>의 말씀에서 우리가 가장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부처님은 열반을 성취함으로써 태어남과 늙음과 병듦과 죽음을 모두 초월하여 완전한 행복에 도달하였다는 사실이다. 부처님께서 도달하신 그 열반의 경지는 영원하고 행복하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우리 모두의 참 모습이다. 청정하다는 말은 일체의 어떠한 욕망이나 무지가 전혀 없어 완전무결하다는 뜻이다. 거듭 말하지만 이는 무지를 타파하여 욕망이 극복됨으로써 가능한 경지이다.
 
또한 우리는 지금 부처님께서 남기신 말씀을 따라 언어와 개념으로 열반을 논하지만 사실 이 경지는 오로지 체험으로만 도달할 수 있다. 우리는 부처님의 말씀에 따라 그러한 경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사실로 믿을 뿐이다.
 
그러나 열반이 죽음마저도 초월된 어떤 경지라 해서 아예 죽지 않고 영원히 사는 무엇은 아니다. 열반은 기독교가 말하는 육신의 부활에 이은 영생(永生)이나 도교가 말하는 장생불사(長生不死)가 아니다. 도리어 초기불교는 육신의 죽음이야 말로 완전한 열반(無餘涅槃)이라고 생각했다.
 
결국, 열반은 소유와 영원이 도무지 불가능하다는 세계와 인간의 참 모습(實相)을 투철하게 깨달아, 그 결과 욕망으로부터 자유롭게 됨으로써 성취하게 되는 완전한 마음의 평화, 즉 절대적 행복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오로지 깨달음이라고 하는 체험으로써만 도달할 수 있다.
 
붓다는 열반이라고 하는 완전한 행복의 경지를 몸소 보여줌으로써 인간을 향한 무한 신뢰와 희망을 선사하신다.

#

어느 맑은 봄날, 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는 나뭇가지를 바라보며 제자가 물었다.
스승님 저것은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겁니까 바람이 움직이는 겁니까
스승은 제자가 가리키는 곳은 보지도 않은 채 웃으며 말했다.
무릇 움직이는 것은 나뭇가지도 아니고 바람도 아니며 네 마음 뿐이다.

#

영화광 김지운의 영화 <달콤한 인생>은 이렇게 스승과 제자의 선문답으로 시작된다.


선우는 백사장에게 묻는다.

"다 집어치우고 한 가지만 물어보자. 넌 도대체 나한테 왜 그런 거냐?"

그렇게 묻는 선우의 아랫배에 백사장은 단검을 몇차례 꽂는다. 송곳 같은 단검이 몇차례 슉슉 오가자 갑작스런 통증을 참지 못한 선우가 빙상장 위에 고꾸라진다.

"그뭐야 그 표정은? 억울해, 억울한 거야? 네가 이렇게 된 이유를 모르겠지? 어 자꾸 딴 데서 찾는 거지. 아, 그럼 날 찾아 오면 안되지. 이 사람아. 마, 인생은 고통이야. 몰랐어? "

백사장을 해치운 선우는 스카이라운지에 올라간다. 선우는 보스와 대면한다. 선우가 백사장에게 묻듯 보스가 선우에게 묻는다. 왜 그랬냐고! 그리고 선우가 보스에게 묻는다. 7년 동안 당신 밑에서 개처럼 일한 나에게 왜 그랬냐고!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