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의 건강이라고 하면
궁극적으로는 식사와 운동이다.
나는 다양한 인체실험을 되풀이하면서
내 몸에 맞는 습관을 음미해 왔다. 그렇게
건강 신봉자인 내가 도달한 최고의 식사 습관은
매우 단순하다. 자신의 '신체'와 대화를 나누고
정말로 먹고 싶은 것, 몸이 원하는 것을
먹으면 된다. 운동하는 습관도 단순하다.
쓰레기 줍기를 하면 된다.
이상이다.
- 요시카와 미쓰히데의 《나는 매일 남이 버린 행운을 줍는다》 중에서 -
* 가장 좋은 것은 자신과의 사귐입니다.
내가 무엇을 할 때 최상의 컨디션인지, 가장 행복한지를
헤아려 보살피는 것입니다. 그것이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고 행복감을 안겨 준다면 금상첨화입니다. 거창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아주 작은 것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당장이라도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것이 있습니다.
쓰레기 줍기입니다. 집주변부터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쓰레기
- 쓰레기 줍기 2025.02.07
- 세포 재생, 세포 파괴 2020.11.16
- 좋은 사람과 쓰레기를 구분하려면 2019.04.08
- 쓰레기 천지 2019.03.08
쓰레기 줍기
2025. 2. 7. 14:03
반응형
반응형
세포 재생, 세포 파괴
2020. 11. 16. 09:41
반응형
신체는
지속적으로 자기 재생을 한다.
신체는 일생 동안 매일 300억 개의
새로운 세포(동화 작용)를 만드는데,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같은 양의 오래된
세포도 파괴한다. 죽은 지 오래된 세포는 분해되면서
엄청난 양의 세포 잔해를 남기고, 이 파편들은
림프계에 즉시 흡수되어 제거된다.
이 쓰레기는 체외로 운반하는
물이 충분해야 제거할 수
있다.
- 안드레아스 모리츠의《건강과 치유의 비밀》중에서 -
* 작은 세포 하나가
모든 생명체의 원천입니다.
수많은 세포가 매일 매 순간 만들어지고,
또 그만큼의 세포가 파괴되고 죽어 잔해로 쌓입니다.
그 잔해와 파편들을 제때제때 배출하고 씻어내야
세포의 재생이 원활해집니다. 물과 피, 림프계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잘 흘려보내고
비워내면 세포의 파괴는 두려울 게
없습니다. 재생의 시작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은 격렬하다' (0) | 2020.11.18 |
---|---|
음악이 중풍 치료에도 좋은 이유 (0) | 2020.11.17 |
마음 따라 얼굴도 바뀐다 (0) | 2020.11.16 |
'나 하나만이라도' (0) | 2020.11.13 |
'그냥, 웃는 얼굴'이 좋다 (0) | 2020.11.12 |
좋은 사람과 쓰레기를 구분하려면
2019. 4. 8. 03:43
반응형
- 모건 프리먼
반응형
'생활의 발견 > LIFE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 료우카이, 알겠다! (0) | 2019.04.29 |
---|---|
왕좌의 게임 시즌 8, 스크린채널 오늘! (0) | 2019.04.19 |
결국 관계라는 건... (0) | 2019.04.04 |
의사(義士), 열사(烈士), 지사(志士) (0) | 2019.03.28 |
카카오뱅크 주식계좌 개설 (0) | 2019.03.27 |
쓰레기 천지
2019. 3. 8. 07:17
반응형
2001년 9월,
남이섬은 쓰레기 천지였다.
갓 취임한 신입 사장의 첫 업무는 청소였다.
다음 업무도 청소였고, 그다음 업무도 청소였다.
내가 남이섬에 들어오기 전 땅속 깊숙이 묻혀 있었던
쓰레기가 내 발목, 아니 남이섬을 붙들고 있었다. 그때
쓰레기를 얼마나 치웠는지 한 번 따져봤다. 2002년 1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일반 쓰레기 1,675.7톤, 합해서 3,500톤이 넘는
쓰레기가 수거된 것으로 집계됐다. 쓰레기 치우는 데만
1억 6,400만 원이 넘는 돈이 들어갔다.
- 강우현의《남이섬에 가고 싶다》중에서 -
* 쓰레기 천지였던 남이섬이
지금은 한해 400만 명이 찾아오는 관광 명소로 탈바꿈했습니다.
몇 날 몇 달 오로지 쓰레기 치우는 일이 새로 부임한 사장의
주요 업무였습니다. 쓰레기를 치운 공간에 나무와 꽃을
심고 아름다움을 가꾸었습니다. 섬뿐만이 아닙니다.
우리 마음에도 쓰레기가 가득합니다. 이 쓰레기를
깨끗이 쓸어내고 꽃을 심는 것이 명상입니다.
새가 날아들고 코끝에 스치는 바람결에
향기가 실려 옵니다.
...
남이섬은 쓰레기 천지였다.
갓 취임한 신입 사장의 첫 업무는 청소였다.
다음 업무도 청소였고, 그다음 업무도 청소였다.
내가 남이섬에 들어오기 전 땅속 깊숙이 묻혀 있었던
쓰레기가 내 발목, 아니 남이섬을 붙들고 있었다. 그때
쓰레기를 얼마나 치웠는지 한 번 따져봤다. 2002년 1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일반 쓰레기 1,675.7톤, 합해서 3,500톤이 넘는
쓰레기가 수거된 것으로 집계됐다. 쓰레기 치우는 데만
1억 6,400만 원이 넘는 돈이 들어갔다.
- 강우현의《남이섬에 가고 싶다》중에서 -
* 쓰레기 천지였던 남이섬이
지금은 한해 400만 명이 찾아오는 관광 명소로 탈바꿈했습니다.
몇 날 몇 달 오로지 쓰레기 치우는 일이 새로 부임한 사장의
주요 업무였습니다. 쓰레기를 치운 공간에 나무와 꽃을
심고 아름다움을 가꾸었습니다. 섬뿐만이 아닙니다.
우리 마음에도 쓰레기가 가득합니다. 이 쓰레기를
깨끗이 쓸어내고 꽃을 심는 것이 명상입니다.
새가 날아들고 코끝에 스치는 바람결에
향기가 실려 옵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심 (0) | 2019.03.11 |
---|---|
고래를 위하여 (0) | 2019.03.09 |
아무도 가지 않은 길 (0) | 2019.03.07 |
지문 (0) | 2019.03.06 |
시대를 잘 읽어야 한다 (0) | 2019.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