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Youtube] 유튜브 레드 드디어 가입


광고도 안나오고, 구글 뮤직도 들을 수 있고, 넘나 좋아~ 


메탈리카 포에버~ 


크롬에서 zenmate로 미국 vpn 접속해서, music.google.com 활성화 OK! 


그러면 구글 뮤직 다 들을 수 있음. 





반응형
반응형

[그래픽] “요즘 유튜브에서 뭐 보니?”





반응형
반응형

2017년, 그들은 점점 성장하고 있다. 어린아이었던 그들이 디지털 업계의 큰손이 돼 간다. 늘 수익 창출의 늪에서 허덕이는 IT 기업의 입장에선 중요한 기점이다. Z세대가 아닌, 하지만 Z세대들의 소비가 중요한 미디어 기업 관계자들은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온 노력을 다한다. <애드위크><디파이미디어>는 13세에서 20세 사이의 청소년 1452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이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어떤’ 소셜 미디어를 ‘언제’ 사용하며 ‘왜’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는지 등을 물어봤다.


Z세대의 미디어 이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인포그래픽(사진=애드위크)


‘유튜브 없인 못살아요’ 50%

Z세대에게 유튜브는 완벽히 일상을 점령했다. 이용하는 소셜 플랫폼을 묻는 질문에서 95%의 청소년이 유튜브를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다음 순서는 인스타그램 69%, 페이스북 67%, 스냅챗 67%, 트위터 52% 순으로 이어졌다. 더 놀라운 점은 ‘이것 없이는 못살아’라는 항목에 50%의 청소년이 유튜브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과거 ‘TV 없이는 못살아’라고 외쳤던 청소년 세대가 있었다면 이제는 유튜브가 그 자리를 완전히 대체했음을 알 수 있다.

선호하는 미디어 플랫폼에는 성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여자아이들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스냅챗과 같은 동영상·이미지 공유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선호했다. 반면 남자아이들은 트위치tv처럼 게임 스트리밍 방송 플랫폼을 더 선호했다. ‘유튜브 없이는 못살아요’라고 응답한 청소년 수도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24%가량 더 많았다. 주로 남자 청소년들이 영상 중심 서비스에, 여자 청소년들이 관계 지향적인 서비스에 더 친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웬만한 유명인보다 믿음직한 SNS 스타

설문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가수, 배우 등 연예인이나 사회적으로 유명한 인물들만큼 SNS 스타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물건을 구입할 때 어떤 인물의 조언을 믿느냐는 질문에 대해 경우에 따라 주류 유명인보다 온라인상의 인물을 신뢰한다는 응답이 더 높기도 했다.

미용에 관한 물건을 구매할 때는 주류 유명인의 의견을 더 신뢰하는 쪽이 44%이었지만, 온라인 스타의 의견을 신뢰하는 응답은 48%로 더 높았다. 옷이나 액세사리 같은 물건에는 주류 유명인이 43%, 온라인 스타가 41%로 아직까진 주류 유명인의 영향력이 높았다. 반면 테크 기기에 대해서는 온라인 스타의 의견을 신뢰한다는 응답이 70%로 압도적이었다.

SNS 스타에 대한 신뢰도 만큼, 해당 인플루언서들이 진행하는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다. 79%의 청소년이 광고에 기반한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해서 괜찮거나 불편하지 않다는 응답을 내놓았다. 유명인들이 제품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으면서 은근슬쩍 제품을 콘텐츠에 노출시키는 형태의 브랜디드 광고에 대해서도 61%가 괜찮다고 응답했다. 유명인들의 정치적 발언 역시 62%가 긍정적인 응답을 했다.


관계는 스냅챗에서, 정보는 유튜브에서

이밖에도 상황별 이용 플랫폼도 달랐다. 주로 지인들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냅챗이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 플랫폼이 강했고, 이 밖의 정보 습득성이나 재미 콘텐츠를 위해서는 유튜브가 강했다.

친구들과 소식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스냅챗을 이용한다는 의견이 35%로 가장 높았고, 페이스북 26%, 인스타그램 18%가 뒤를 이었다. 뉴스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페이스북과 유튜브의 이용률이 23%로 동일했다. 트위터가 14%로 뒤를 이었다. 재밌게 웃기 위해서는 유튜브를 이용한다는 의견이 51%로 1위를 차지했다. 또한 팁을 얻거나 정보를 얻기 위한 ‘하우투’ 콘텐츠 역시 유튜브에서 얻는다는 의견이 66%로 압도적이었다. 쇼핑 추천을 얻기 위해서도 24%의 청소년이 유튜브를 본다고 응답했고, 인스타그램 17%, 페이스북 16%가 뒤를 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MIT 6.00 컴퓨터 공학과 프로그래밍(Python) 오픈 코스

 

http://www.hakawati.co.kr/387

 

MIT 공대에서 컴퓨터 공학과 프로그래밍 소개에 관한 강의가 유튜브에 올라왔다. 최근에 업로드된 강의가 있음에도 이 강의들을 정리한 이유는 아무래도 한글 자막이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

출처 : MIT OpenCourseWare YouTube

교수 : Eric Grimson, John Guttag

제 01강 - 연산이란 - 데이터 타입, 연산자 및 변수 소개

제 02강 - 연산자와 피연산자 - 분기문, 조건문 그리고 반복문

제 03강 - 공통 코드 패턴, 반복 프로그램

제 04강 - 기능을 통한 분해 및 추상화, 재귀 소개

제 05강 - 부동 소수점, 계통적 명세화, 루트 찾기

제 06강 - 이분법, 뉴턴/랩슨, 그리고 리스트 소개

제 07강 - 리스트와 가변성, 딕셔너리, 의사코드, 그리고 효율성 소개

제 08강 - 복잡성 - 로그, 선형, 이차 방정식, 지수 연산 알고리즘

제 09강 - 이진 탐색, 버블 그리고 분류 선택

제 10강 - 분할 정복 방법, 합병 정렬, 예외

제 11강 - 테스트와 디버깅

제 12강 - 디버깅 추가 강의, 배낭 문제, 동적 프로그래밍 소개

제 13강 - 동적 프로그래밍 - Overlapping subproblems, Optimal substructure

제 14강 - 배낭 문제 분석,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소개

제 15강 - 추상 데이터 타입, 클래스와 메소드

제 16강 - 캡슐화, 상속, 쉐도잉

제 17강 - 연산 모델 - 랜덤워크 시뮬레이션

제 18강 - 시물레이션 결과 제시, Pylab, Plotting

제 19강 - 편향된 랜덤워크, 배포

제 20강 - 몬테카를로(Monte Carlo) 시뮬레이션, 추정 파이

제 21강 - 시뮬레이션 결과 검증, 곡선 적합, 선형 회귀

제 22강 - 일반, 균등 그리고 지수 분포 - 통계의 오류

제 23강 - 주식 시장 시뮬레이션

제 24강 - 과정 개요 - 컴퓨터 과학자들은 무엇을 하나요?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