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을
인지하고 인정하면
두려움의 힘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현존감이 깊어진다. 훈련을 통해서 저항을
멈추면 마귀들이 사라짐을 깨닫는다.
여전히 두렵지만 보다 큰 현존감과
자기-연민의 공간에 다시 연결되면서
선 위에 머문다.
- 타라 브랙의《끌어안음》중에서 -
* 우리 주변은 마귀들이 많습니다.
두려움의 마귀, 낙심과 절망과 공포의 마귀....
시시때때로 나타나 우리를 못살게 만듭니다.
심지어 극단의 선택으로 몰아가기도 합니다.
그 마귀를 이겨내는 것은 피하지 않는
것입니다. 뒷걸음을 치더라도
등을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인지
- 두려움의 마귀 2024.07.31
- '스몰 트라우마' 2023.09.07
- 두려움의 마귀 2023.07.24
- 아픔이 길이 되려면 2020.05.04
-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2018.08.16
- 주의를 집중하지 않은 곳에서 일어나는 일은 두 눈을 뜨고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https://brunch.co.kr/@hesse24/96 2018.01.24
두려움의 마귀
'스몰 트라우마'
스트레스와 불안의 원인인
'스몰 트라우마'를 극복하려면
스트레스와 불안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근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스몰 트라우마는
스트레스와 불안 양쪽 모두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이 특정 상황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몰 트라우마는 또한 우리의 인지에
영향을 끼쳐 불안을 유발하고 정신적으로 수많은
토끼 굴을 파게 하며, 그 결과 스트레스 반응과
다른 생리적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멕 애럴의 《스몰 트라우마》 중에서 -
* '스몰'은 '작은 것'이 결코 아닙니다.
스몰이라고 가벼이 여기거나 등한시하려 들 때
스몰은 빅이 되고 비거가 됩니다. 요즘 목도하고 있는
'묻지 마' 범죄들은 이러한 스몰 트라우마들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못하고 점차 커지다가 엉뚱한 대상으로
터져 나온 결과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초기 단계의
스몰 트라우마를 스스로, 또는 사회적으로
잘 보살피는 시선과 배려가 필요합니다.
small trauma
각 개인의 삶에서 자신감 혹은 자존감을 잃게 만드는 일상에서의 경험, 사건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어린 시절 친구들로부터 반복적으로 놀림을 받은 경험, 너무 급한
나머지 교실에서 오줌을 싼 경험, 발표할 때 실수를 한 경험, 어릴 적 길을
잃어버렸던 경험, 집단폭행을 옆에서 보면서 두려움에 떨던 경험, 왕따 경험 등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스몰(small)" 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이러한 경험들이 일상생활
도처에 널려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결코 이러한 경험들로 인한
피해자의 고통이 “작다(small)” 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끄러움 (0) | 2023.09.11 |
---|---|
너무 슬픈 일과 너무 기쁜 일 (0) | 2023.09.11 |
책을 '먹는' 독서 (1) | 2023.09.06 |
아주 위험한 인생 (0) | 2023.09.05 |
겸손 (0) | 2023.09.04 |
두려움의 마귀
두려움을
인지하고 인정하면
두려움의 힘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현존감이 깊어진다. 훈련을 통해서 저항을
멈추면 마귀들이 사라짐을 깨닫는다.
여전히 두렵지만 보다 큰 현존감과
자기-연민의 공간에 다시 연결되면서
선 위에 머문다.
- 타라 브랙의《끌어안음》중에서 -
* 우리 주변은 마귀들이 많습니다.
두려움의 마귀, 낙심과 절망과 공포의 마귀...
시시때때로 나타나 우리를 못살게 만듭니다.
심지어 극단의 선택으로 몰아가기도 합니다.
그 마귀를 이겨내는 것은 피하지 않는
것입니다. 뒷걸음을 치더라도
등을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녀 같은 할머니, 소년 같은 할아버지 (0) | 2023.07.26 |
---|---|
청년들의 생존 경쟁 (0) | 2023.07.25 |
장맛비 (0) | 2023.07.22 |
자기 존엄 (0) | 2023.07.21 |
흥미진진한 이야기 (0) | 2023.07.20 |
아픔이 길이 되려면
우리 몸은
스스로 말하지 못하는
때로는 인지하지 못하는 그 상처까지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몸은 정직하기 때문입니다.
물고기 비늘에 바다가 스미는 것처럼
인간의 몸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시간이 새겨집니다.
- 김승섭의《아픔이 길이 되려면》중에서 -
* 우리는 누구나 상처를 겪으며 삽니다.
몸의 상처든 사회적 상처든 그 상처가 아물어야
한 발짝이라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 아픔이 몸의 상처로만 남지 않고
새로운 길이 되리라는 희망은,
그 상처를 이겨낼 수 있는
가장 좋은 치료제입니다.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는 신의 선물이다 (0) | 2020.05.06 |
---|---|
우두머리 수컷 침팬지 (0) | 2020.05.04 |
아름다운 세상 (0) | 2020.05.04 |
아침 건강관리 기술 (0) | 2020.05.04 |
이야기의 주인공 (0) | 2020.04.29 |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사람에게 있어
진정한 변화는 의지의 영역이 아니다.
인지의 영역이다. 백 번 각오하고
다짐하는 것보다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 알프레드 아들러의《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중에서 -
* 변화는 방향을 뜻합니다.
어느 순간 방향이 바뀌었다는 뜻입니다.
깨달음의 작은 점 하나로 어떤 사람은 180도
정반대 방향으로 바뀌고, 어떤 사람은 0.1미리
작은 전환이 이루어져 새로운 길을 가게
됩니다.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진정한 변화의 시작입니다.
...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는 것이 시작이다 (0) | 2018.08.18 |
---|---|
고통과 기쁨 (0) | 2018.08.17 |
올바른 질문 (0) | 2018.08.15 |
'자리이타'(自利利他) (0) | 2018.08.14 |
떠돌다 찾아올 '나'를 기다리며... (0) | 2018.08.13 |
주의를 집중하지 않은 곳에서 일어나는 일은 두 눈을 뜨고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https://brunch.co.kr/@hesse24/96
'생활의 발견 > C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든 당신에게 꼭 전하고 싶은 좋은 글 (0) | 2018.03.04 |
---|---|
깨달음,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불교계 명언 (0) | 2018.02.10 |
숫자로 보는 인간관계의 법칙 (0) | 2018.01.16 |
당신 삶을 바꾸기 위해 필요한 건 단 하나, '피드백' 이다! (0) | 2018.01.08 |
폐목강심, 치화양제(閉目降心,治火良劑) (0) | 2017.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