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제주박물관은 국립해양박물관‧제주대학교박물관과 공동으로 특별전 <해양 제주 OCEAN JEJU – 바다에서 바라본 제주바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제주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고, ‘탐라국’이 있었던 아주 오래전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한 번쯤 들어봤던 이름의 사람들, 혹은 이름을 남기지 않은 사람들, 그리고 언제인가 본 듯한 삶의 모습들을 이야기합니다.
<1부-바다를 건너다>는 제주바다를 건너간 사람들, 그리고 바다를 건너온 이방인들의 이야기입니다. 아주 일찍부터 제주사람들은 바다를 건너 육지와 왕래하였습니다. 오랜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어 제주바다에는 일정한 바닷길이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주바다의 독특한 해저지형과 계절풍, 해류, 조류에 따라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지식인들의 기록에 간혹 등장하는 진짜 제주사람들이 들려주는 제주바다 이야기는 육지에서 온 관리에게도, 제주에 사는 선비에게도 낯선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구 반대편에서는 16세기 이후 많은 유럽국가들이 무역과 탐험을 위해 아시아의 바다로 진출하였습니다. 한때 ‘Ilha dos Ladrones(도둑들의 섬)’, I.Fungma(풍마) 등으로 불렸던 제주는 18세기 항해자들에 의한 본격적인 탐사가 이루어지면서 드디어 ‘Quelpart(켈파트)’라는 확실한 이름을 갖게 됩니다. 특히 1653년 제주에 표류한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Hendrik Hamel)의 난파기는 제국의 바다를 꿈꾸던 사람들의 호기심을 더욱 자극하였습니다.
<2부-바다에서 살아가다>는 바로 그 제주바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제주사람들에게 섬은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조건이고, 바다는 살아가는 터전입니다. 바람에 날릴 만큼 얕은 토양, 비가 내려도 금방 말라버리는 하천, 장기瘴氣 가득한 바람과 습기 등 화산섬의 척박한 조건은 바다가 있어 그래도 살 만했습니다. 검은 해류를 따라온 고기를 쫓아 어부는 배를 띄우고, 바람이 멎는 날이면 해녀들은 바다밭으로 나갔습니다. 그러나 바다는 풍요롭지만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주섬은 무사한 항해와 풍어를 바라는 간절한 믿음을 들어줄 신들이 함께했습니다. 육지에서 온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눈 먼 바람과 괴이한 비도 제주사람들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 전시의 주제는 바로 사람입니다. 많은 사진작가들이 제주만의 독특한 삶을 카메라에 담아왔습니다. 허벅에 물을 길어 등에 메고 가는 여인들. 도롱이를 입고 털벌립을 쓴 테우리. 애기구덕에 동생을 재우는 아이. 테왁과 망사리를 들고 바다로 들어가는 해녀들. 사진 속의 제주사람들은 지금 우리의 눈에 낯설지 모르지만, 제주에서는 가장 보통의 존재들입니다.
제주바다가 시작되는 곳, 섬의 가장 끝에는 등대 이전에 도대불이 있었습니다. 해가 저물 무렵 가장 먼저 바다에 나가는 어부가 불을 켜고, 마지막에 포구에 들어온 어부가 불을 껐다고 합니다. 이 전시는 바람에 흔들리는 도대불을 등대 삼아 바다로 나가던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예) 여기서 서울더레 해집주양?(여기서 서울에 전화할 수 있지요?), 제주엔 참 종거 만쑤다양,(제주엔 참 좋은 것이 많이 있습니다.), 저녁에랑 전복죽 쒀줍서양.(저녁식사때는 전복죽을 쑤어주세요.), 다시 오쿠다 양.(다시 오겠습니다.), 영 갑서양.(이쪽으로 가세요.)
~꽈
예)얼마나 사쿠꽈?(얼마나 사겠습니까?), 이거 얼마우꽈.(이거 얼마입니까.)
-라 : -해라
-(어)아 : -해
-밑서 : -세요
-십서 : -세요
제주도방언의 명령법 어미 체계는 표준어와 매우 다르다. 표준어에 쓰이는 대표적 어미 형태인 "-아라~어라"가 사용되지만 의의와 기능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제주도방언의 명령법 어미는 하대, 평대, 존대의 세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형태는 '-라'와 '-아~-어', '-밑서','-십서'이다. '-라'는 하대의 어말어미이다. 어간에 직접 연결되기도 하고 '-어시라/아시라','엄시라/암시라'처럼 선어말 어미와 결합된 형으로도 쓰인다. '-어시-~/-아시-'와 '-엄시-~/-암시-'는 동작상을 표현한다. 이들은 상호 대립되는 의미 자질을 갖는다. 앞 것은 '완료 종속상'이고 뒤에 것은 '미완료 존속상'이다. 동작상이 체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제주도방언에서만 보이는 어미활용의 특징이다. 표준어의 대표적 명령법 어미 형태인 '-아라','-어라','-여라'는 표준어에서와는 다른 기능으로 사용된다.
'- 아/어/여-'는 회상법 선어말 어미이고, '-라'는 평서법 어미이다. 평대의 명령법 어미는 '-아~-어'이다. '-아~-어'는 여러 서법에 두루 쓰이는 추상적인 언어형식이다. 반말체 어미 '-아~-어'가 구체적인 서법이 되는 데는 그 위에 얹히는 억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존대 대상에게 하는 청원 명령에는 '-밑서'를 쓴다. '밑'은 상대자에게 존대의 자질을 부여하고, '-서'가청원 명령을 표시한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차이가 많은 경우에 쓰이지만, 별 차이가 없는 경우에 쓰이기도 한다. 존대 명령법 어미에는 '-십서'도 있다. '-십서'는 '-밑서'에 '-시-'가 결합된 것으로 이중 존대법의 형태이다.
주체존대의 '-시-'는 제주도 원래의 방언에는 없었으나 표준어의 영향으로 사용된 것이다. 또한 용언의 원형, 시상, 변칙 용언, 활용어미에 있어서의 'ㄴ'과 'ㅇ' 등에 대하여 표준어 및 고어와 대비하면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제주 방언의 활용어미 가운데 상당수가 고어형 그대로 보존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고어형 그대로인 것과 고어형과 관련되는 게 드러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제주 방언은 용언의 기본형이 표준어와 색다르다는 점이 확인된다. 제주 방언은 그 서술형 어미 및 의미형 어미 역시 독특한 것이 드러나며, 변칙 용언 또한 표준어와는 차이가 있다. 시상보조어간(선어말어미) 또한 제주 방언에서는 유다른 모습을 드러내며, 종결어미나 연결어미 밑에 맨 나중 발음이 'ㄴ' 혹은 'ㅇ'으로 된 경우는 흥미로운 과제를 던져 진다.
&&&&&&&&&&&&&&&&&&&&&&&&&&&&&&&&&&&&&&&&&&&&
사람
제주 사투리
표준어
제주사투리
표준어
아방
아버지
아즈방
아저씨,아주버니
어멍
어머니
아즈망
아주머니
하르방
할아버지
오라방
오빠
할망
할머니
똘
딸
(친척) → 괸당 (홀아비) → 홀아방 (처녀) → 비바리
(남자) → 소나리 (여자) → 지집아이
제주도사투리로 가족,친척을 괸당이라는 말로 표현을 많이 합니다.
◆ 아 방 : 아버지 ◆ 어 멍 : 어머니 ◆ 하르방 : 할아버지 ◆ 할 망 : 할머니 ◆ 다 슴 : 의붓 ◆ 다슴아덜 : 의붓아들 ◆ 다슴똘 : 다슴딸 ◆ 씨아방 : 시아버지 ◆ 씨어멍 : 시어머니 ◆ 씨아주방 : 남편의 형제 ◆ 족은아덜 : 작은 아들
◆아덜 : 아들
◆ 메누리 : 며누리 ◆ 가시아방 : 장인 ◆ 가시어멍 : 장모 ◆ 동 세 : 동서 ◆ 예펜(예청) : 여편네 ◆ 소나이 : 사나이 ◆ 제집아이 : 여자아이 ◆ 비바리 : 처녀 ◆ 촐람생이 : 남의 말에 잘 끼어드는 성급한 사람 ◆ 두가시 : 부부 ◆ 삼촌 조케 : 삼촌조카(삼촌과 조카) ◆ 두린아이 : 어린아이 ◆ 괜당(방상) : 친족 ◆ 사농바치 : 사냥꾼 ◆ 꿩바치 : 꿩사냥꾼 ◆ 침바치 : 침을 넣는 사람
그리고 제주도에서는 '삼촌' 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는데, 이 호칭은 친척 삼촌에게도 사용하지만 가까운 이웃들에게 사용하는데, 그 범위가 정해져 있지 않고 남녀 관계없이 전부 '삼촌'이라고 부릅니다.
가령 님이 제주도에서 살면서 이웃집에 놀러 갈일 생긴다면 이웃집에 들어가는 길에 그곳의 할머니를 만나면 "삼촌 안녕하세요" 그곳의 아버지를 만나도 "삼촌 안녕하세요." 그곳의 어머니를 비롯한 나이가 연배인 다른사람들에게..."삼촌 안녕하세요....ㅡ.ㅡ;" 이렇게 인사를 한다고 생각을 하면 되겠죠...^^
동물,식물
제주사투리
표준어
제주사투리
표준어
송애기
송아지
감저
고구마
몽생이
망아지
지실
감자
강생이
강아지
모물
메밀
도세기
돼지
어욱
억새
빙애기
병아리
태역
잔디
독세기
달걀
재배낭
구실잣밤나무
노리
노루
굴묵낭
느티나무
고냉이
고양이
가라지
강아지풀
꿩마농
산달래
숙대낭
삼나무
생이
새
폭낭
팽나무
[ 동물 ]
방언:표준어
고냥 독생이 : 굴뚝새
놀개기 : 날개
박생이 : 동박새
독(독새기) : 닭
고냉이 : 고양이
송애기 : 송아지
몽생이 : 망아지
돗(도새기) : 돼지
밭갈쇠 : 밭을 가는 소
부랭이 : 숫소
염송애기 : 염소
강생이 : 강아지
중이 : 쥐
갓돔 : 도미
겡이 : 게
구젱기 : 소라
물꾸럭 : 문어 게염지 : 개미
멩마구리 : 맹꽁이
베랭이 : 버러지
베염 : 뱀
빙애기 : 병아리
생이 : 새
나람쥐 : 다람쥐
쥉이 : 쥐
여호 : 여우
노리 : 노루
빙아리 : 병아리
쉐 : 소
쉐막 : 외양간
다세기 : 돼지
두테비 : 두꺼비
골개비 : 개구리
젱비리 : 올챙이
[식물]
표준어-방언
깻잎- 유입
나물-노물
느티나물-굴묵상
부추-새우리
잔디-태역
강아지풀-가라지
상추-부루
대나무-대낭
감나무-감낭
팽나무-퐁낭
녹두-녹디
잡초-검질
감자-지실
고구마-감저
달리-꿩마농
메밀-모물
산국수-도채비고장
삼나무-숙대낭
쑥-숙
억새 -어욱
양파-다마내기
열무- 초마기 열무김치(초마기 김치)
제주도방언-곰세마리
동요<곰세마리>(제주도방언)
곰 쉬모리가 혼집에 있어
아방곰 어멍곰 아기곰
아방곰은 뽕뽕해
어멍곰은 쭌쭌해
아기곰은 잘도 아꼬아
으쓱 으쓱 잘 혼다.
제주도방언-음식
◆ 걸명 : 제사 끝에 잡귀에 주기 위하여 음식을 조금씩 뗀 것 ◆ 고적 : 장례 때 일가에서 부조로 드리는 떡이나 쌀 ◆ 돌래떡 : 메밀가루나 쌀가루 등으로 만든 둥글고 납작한 떡 (상가에서 만들어 역군을 대접하였다) ◆ 둠비 : 두부 ◆ 비제기 : 비지 ◆ 누넹이 : 누룽이, 눌은 밥 ◆ 마농지 : 마늘 장아찌 ◆ 모몰죽 : 메밀죽(*모몰범벅) ◆ 반지기 : 쌀과 잡곡으로 반반 섞은 밥 ◆ 세미떡 : 만두(속에 팥이나 무채 등을 넣어 만든 반달 모양의 떡) ◆ 송애기떡 : 고사떡, 말똥 모양의 떡 ◆ 쉰다리 : 밥을 발효시켜 만든 단술의 일종 ◆ 오매기 : 술을 빚기 위하여 자조로 만든 떡 ◆ 은절미 : 메밀로 만든 네모난 떡 ◆ 조펌벅 : 조로 만든 범벅(*조축· 조침떡· 조팝) ◆ 고비리 : 증식(밤에 중간에 먹는 음식) ◆ 체 : 생채소를 간 맞추어 만든 것 ◆ 양 석 : 양식 ◆ 곤 밥 : 쌀밥 ◆ 짐 치 : 김치 ◆ 촐 래 : 반찬 ◆ 송 키 : 채소 ◆ 바릇괴기 : 바닷고기 ◆ 식개태물 : 제사음식 ◆ 지 름 : 기름 ◆ 상외떡 : 밀가루로 만든 빵 ◆ 곤 떡 : 쌀떡 ◆ 친 떡 : 친떡(시루떡) ◆ 죄기떡 : 밀가루 검칠을 가루로 만든 떡 ◆ 전기떡(쟁기떡) : 메밀가루로 만든 떡(빙떡) ◆ 제 펜 : 쌀가루로 만든 찐떡 ◆ 솔 펜 : 쌀가루로 만든 반달같은 떡 ◆ 절 밴 : 쌀가루로 만든 원형의 떡 ◆ 우 찍 : 작은 원형 떡 ◆ 중 괘 : 네모난 지진떡 ◆ 약 괘 : 직사각형 지진떡 ◆ 돗괴기 : 돼지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