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국립제주 박물관 해양제주 VR전시 이벤트 굿즈 도착 (0) | 2020.11.02 |
|---|---|
| 40살 이후의 미(美)를 결정하는 것 (0) | 2020.11.02 |
| 주말이 삭제된 사람들이 봐야 할 글 (0) | 2020.10.27 |
| 토스 소비 타이틀 (0) | 2020.10.24 |
| 직장인, 좋게 얘기해봐야 최고급 노예 (0) | 2020.10.23 |
| 국립제주 박물관 해양제주 VR전시 이벤트 굿즈 도착 (0) | 2020.11.02 |
|---|---|
| 40살 이후의 미(美)를 결정하는 것 (0) | 2020.11.02 |
| 주말이 삭제된 사람들이 봐야 할 글 (0) | 2020.10.27 |
| 토스 소비 타이틀 (0) | 2020.10.24 |
| 직장인, 좋게 얘기해봐야 최고급 노예 (0) | 2020.10.23 |
교육은
세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가정, 학교, 지역 공동체이다.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측면이 있다. 자연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그 사실을 잊어버렸다. 학교는 지나치게 거대해졌다.
인간이 사라져버렸다. "남자로 태어난 것도, 여자로
태어난 것도 굉장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 아이들의 이런 감상이 우리에게
생명을 절절히 느끼게 한다.
- 하이타니 겐지로의《하이타니 겐지로의 생각들》중에서 -
*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교육에 '자연'이 없습니다. '인간'이 사라졌습니다.
이제라도 자연과 인간을 되찾아 주어야 합니다.
내가 남자로 태어난 것, 여자로 태어난 것,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고귀한 존재감을
찾을 수 있고, 신비롭고 오묘한 자연의
섭리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
| 한 심리학자가 명상 치유에 큰 기대를 가진 이유 (0) | 2017.12.01 |
|---|---|
| 용서와 자기 해방 (0) | 2017.11.30 |
| '아버지와 불편하면 돌아가라' (0) | 2017.11.28 |
| 휘게(Hygge) (0) | 2017.11.27 |
| 서로 대화하며... (0) | 2017.11.25 |
우리는
지구라는 학교에서 뭔가를 배우기 위해
잠시 이곳에 온 신성한 존재이고, 자신이
배워야 할 것을 정해 스스로 수업 시간표를 짠
학생들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빛에서 왔으며,
동시에 빛의 일부이기도 하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지혜로운
존재다. 우리 모두는 이것을
꼭 기억해야만 한다.
- 브라이언 와이스의《파워 오브 러브》중에서 -
* 양자물리학에서
'빛은 파동과 입자의 결합'이라 말합니다.
그로부터 우주가 생성되고 생명이 탄생했다고 하지요.
그러니 우리 모두가 빛에서 왔다는 말은 틀린 말이
아닙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빛입니다.
신성한 존재입니다. 당신과 나는
빛과 빛의 만남입니다.
사랑의 빛입니다.
...
|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을 때 비로소 들리는 것 (0) | 2017.08.21 |
|---|---|
| 독서가 답이다 (0) | 2017.08.21 |
| 신체 감각 (0) | 2017.08.17 |
| 현명한 선택, 현명한 사람 (0) | 2017.08.16 |
| 외교에도 명상이 필요하다 (0) | 2017.08.16 |
순응하지 말고 불복종하라.
지시받은 대로 일한 사람은 노벨상을 받지 못한다.
학교는 너무 복종하는 법만 가르친다.
불복종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 이토 조이치 MIT 미디어랩 소장
과거의 경험과 성공법칙을 그대로 따라서는 안됩니다.
미래의 흐름에 저항해서는 안됩니다.
과거에 형성된 지식과 권위에는 불복종하는 대신,
미래의 흐름에는 앞장서 복종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
| Best 보다 Better를 목표로 삼자 (0) | 2017.06.22 |
|---|---|
| 의도적으로 조직을 흔들어 불균형을 만들어라 (0) | 2017.06.21 |
| CEO가 되는 비결을 듣고 싶은가요? (0) | 2017.06.19 |
| 속도가 아니라 방향입니다 (0) | 2017.06.16 |
| 인간은 변화가 아닌, ‘변화 당하는 것’을 거부한다 (0) | 2017.06.15 |
옛날에는 골목길이 있었다.
거무튀튀한 나무 전봇대를 기준 삼아
술래잡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다방구,
왕거미놀이를 했다. 골목길이 알고 보면 놀이를 통한
사회성과 창의력, 규율과 배려를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사회화 교육의 첫 장소였던 것이다. 굳이 집에서
아빠가 야단을 쳐 가며 교육할 필요도 없었다.
동네 어른들이 꾸짖거나 타일러서
바로잡아 주었다.
- 탁경운의《나의 직업은 아빠입니다》중에서 -
* '골목길 학교'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동네 친구들과 어울려 놀고, 웃고, 떠들다가
동네 어른들의 꾸지람에 의기소침했던 기억들이
먼 옛날의 아련한 추억으로만 남아 있습니다.
'골목길 학교'에서는 동네 어른들이 모두
훌륭한 선생님이었는데, 그 선생님조차
사라져 보이지 않습니다.
.
| 내 아이의 교육을 말한다 (0) | 2016.12.06 |
|---|---|
| 알맹이 (0) | 2016.12.05 |
| '오리지널' 아이디어 (0) | 2016.12.01 |
| 숨쉬기를 배우다 (0) | 2016.11.30 |
| 솔직하게 말하기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