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흔히
기품을 겉모습이나 패션에
관련된 말이라고 여기곤 한다.
그건 심각한 오해다. 인간이란 존재는
무릇 행동과 자세에 기품이 있어야 한다.
기품이란 훌륭한 취향, 우아함,
균형과 조화의 동의어다.


- 파울로 코엘료의《흐르는 강물처럼》중에서 -


* 기품.
사람이 풍기는 기운입니다.
그 풍기는 기운에 따라 다른 사람이
다가오기도 하고 멀리 흩어지기도 합니다.
표정 하나, 말 한마디에도 기품이 드러납니다.
미소 하나, 발걸음 하나에도 드러납니다.
그 사람의 안에 담긴 인격의 향기가
저절로, 숨김없이, 바깥으로
풍겨나오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류는 위기로 인해 발전한다  (0) 2016.04.14
예의주시  (0) 2016.04.14
통, 통, 통! 어디로 튈지 아무도 몰라  (0) 2016.04.12
괴짜들을 돕는 일  (0) 2016.04.11
책과 공부  (0) 2016.04.09
반응형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
링컨 대통령부터 피터 드러커 까지 많은 사람들이
이 말을 되풀이한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미래는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다.
미래는 행동의 결과로 펼쳐진다.
- 피터 디아만디스, ‘볼드’에서


그렇습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것입니다.
내가 선택한 것이 곧 나의 미래가 됩니다.
미래에 대한 확고한 비전을 가지고
그것을 향해 끝없이 정진하면,
언젠가는 예측이 현실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믿음과 행동.
우리는 언제나 믿는 대로 행동한다.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은 우리가 믿는
무엇 때문에 하는 것이다. 만약 원하지 않은
행동을 한다면 잘못된 믿음을 가졌기
때문이다. 진실을 믿으면
현실이 바뀐다.


- 알렉산더 로이드, 벤 존슨의《힐링코드》중에서 -


* '믿음'이 먼저입니다.
믿고 따라가고, 믿고 사랑하는 것입니다.
음식도 믿으니까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농약과 방부제 덩어리라 의심하면 누가 먹겠습니까?
믿음과 진실, 믿음과 행동은 일치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의 몸과 마음도 건강하고,
우리 사회도 건강해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흐름과 함께 가라  (0) 2016.03.30
네가 나를 길들이면  (0) 2016.03.29
장미빛 인생  (0) 2016.03.26
엄청난 회복력  (0) 2016.03.25
자립심과 이타심  (0) 2016.03.24
반응형
교육의 목표는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생각하지만
공동체를 위해서 일하는 것을 인생에서 가장
고귀한 업적으로 여기는 개인을 길러내는 것’이다.
전문 지식만 갖춘 사람은 조화롭게 발달한 인간이라기보다는
잘 훈련된 개와 비슷한 상태가 된다.
- 아인슈타인

이어집니다. “개인을 가르친다는 것은
그의 타고난 재주를 북돋는 것 외에도
그가 현 사회에서의 권력과 성공을 찬미하는 대신
다른 인간들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도록 만들려는 시도여야 한다.
우리는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늘 공정하게 대하고
남들을 기꺼이 돕는 것으로만 사회의 영속과
개개인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

반응형
반응형
모든 동물은 자신에게 필요하고, 또 바라는 부분이 진화되어 왔다.
말은 빨리 달리고 싶어 해서 빨라졌다.
새들도 날고 싶어 했기 때문에 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는 헤엄치고 싶어 했기 때문에 물갈퀴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모든 것들은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 엘버트 허버드, ‘인생의 서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다윈과 스펜서가 주장한 창조의 원리입니다.
진실한 소망은 늘 답을 얻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이 정한대로 됩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이
곧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모든 동물은 자신에게 필요하고, 또 바라는 부분이 진화되어 왔다.
말은 빨리 달리고 싶어 해서 빨라졌다.
새들도 날고 싶어 했기 때문에 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는 헤엄치고 싶어 했기 때문에 물갈퀴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모든 것들은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 엘버트 허버드, ‘인생의 서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다윈과 스펜서가 주장한 창조의 원리입니다.
진실한 소망은 늘 답을 얻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이 정한대로 됩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이
곧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